$\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부지방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반경생장량과 지형, 기후 인자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 Radial Growth and Topographic and Climatic Factors in Red Pine and Oak in Central Regions of Ko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99 no.6, 2010년, pp.908 - 913  

변재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노대균 (산림조합중앙회) ,  김성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최정기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  이영진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중부지방의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생장에 기후와 지형인자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입목의 반경생장량과 기상 인자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수목의 목편을 채취하고 연년반경생장량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년반경생장량이 기본적으로 수령에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하여 수령을 독립변수로 하는 생장량을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령 30년 일때의 생장량을 표준생장량으로 정의하여 추정하였다. 표준생장량의 공간분석을 통해 소나무 생장의 공간적인 변이성을 발견하였으며, Generalized Additive Model(GAM) 통해 지형 및 기상인자와 표준 생장량간의 관계를 밝힐 수 있었다. 기온상승은 소나무 생장에는 부(-)의 영향을 참나무에는 양(+)의 영향을 주며, 강수량 증가는 두 수종 모두에게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준생장량과 지형 및 기상 인자간의 관계식을 GIS기반 임상도의 소나무와 참나무류 공간분포에 적용하여 기온상승에 대한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공간분포변화를 예측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소나무는 참나무류에 비해 기후변화에 취약하며, 60년 이후에는 동해안 및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소나무림이 참나무류림으로 대체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climatic and topographic factors on tree radial growth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in central regions of Korea.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annual tree radial growth and climatic factors, we took the core samples from individual trees and measure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생장반응을 지형 및 기상인자와의 영향관계 분석을 통해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공간 상관성 및 공간 분포의 변화를 예측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생장량과 수령의 관계식을 통하여 표준생장량을 추정하였으며, 통계분석을 통하여 표준생장량과 TWI, 기온, 강수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 였다.
  • 입목의 생장은 일반적으로 연령, 밀도 및 경쟁, 지형, 토양등과 연관된 지위, 기온, 강수, 습도와 같은 기상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주요수종인 소나무 및 참나무류에 대해 입목생장과 수령, 지형 및 기상인자등과의 영향 관계를 구명하고 이를 기초로 소나무 생장의 공간 변이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표준생장량이 Topography Wetness Index(TWI)(Ramus and Jan, 2007), 기온(T), 강수량(P)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가정하여 Generalized Additive Models(GAM)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모델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개체목의 연년 반경 생장량은 기본적으로 수령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으로 가정하여 다음과 같은 반경생장 모델을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소나무는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우리나라의 여러 수종 중 소나무는 양질의 목제품과 문화적인 가치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수종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소나무는 개벌 후 자연적으로 갱신되 거나 식재되어 우리나라 산림면적의 27%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 속의 산림은 어떠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가? 지구면적의 약 1/3 정도를 차지하는 산림은 지구 전체 광합성의 2/3가량을 담당하고 있으며(산림청, 2007), 도시 속의 산림은 탄소흡수, 공기정화, 기온조절 등을 통해 쾌적한 생활공간을 제공하고 있다(김순아 등, 2009). 국토면적의 65%를 차지하고 있는(산림청, 2008a) 우리나라에서는 기후 및 환경변화에 따른 산림생장 및 분포의 변화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생장반응을 지형 및 기상인자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이에 생장량과 수령의 관계식을 통하여 표준생장량을 추정하였으며, 통계분석을 통하여 표준생장량과 TWI, 기온, 강수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 였다. 기온상승은 소나무에는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소나무가 참나무류에 비해 기온에 취약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강수량의 증가는 두 수종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수종의 공간적 상관성을 비교해 본 결과, 소나무는 지역별로 생장의 변이를 보일 수 있는 반면, 참나무는 공간적인 상관성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온이 매년 0.04°C씩 증가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60년 이후에는 동해안 인근지역과 남부 내륙지방을 시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소나무 및참나무류의 생장에 미치는 인자별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는 향후 소나무 및 참나무류의 식재 및 갱신에 참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 연구의 모형을 토대로 지리형태학적인 공간정보를 이용하면 소나무와 참나무류 뿐만 아니라 모든 수종의 공간적 분포패턴을 밝히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성덕, 송호경. 1995. 경북 불영계곡 소나무(Pinus densiflora)림의 재생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4(2): 258-265. 

  2. 김순아, 이우균, 손요환, 조용성, 이미선, 2009. 산림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모형의 국내 적용성 분석. 한국임학회. 98(1): 1-16. 

  3. 산림청, 2007. 기후변화와 산림. 리플렛 자료. http:// carbon.kfri.go.kr(2007. 9. 10). 

  4. 산림청, 2008a. "산림기본통계". 

  5. 산림청, 2008b. "생장목편 DB 구축". 

  6. 산림청, 2009. "소나무 고사원인과 미래전망". 

  7. 서정호, 이우균, 손요환, 함보영. 2001. 안면도 소나무 임분의 동적 생장모델, 한국임학회지90(6): 725-733. 

  8. 손영모, 이경학, 이우균, 권순덕. 2000. 우리나라 주요 6수종의 수간곡선식. 한국임학회지 91(2): 213-218. 

  9. 이상태, 배상원, 장석창, 황재홍, 정준모, 김현섭. 2009. 지역별 잣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연구. 한국임학회지. 98(6): 733-739. 

  10. 이우균. 1994. Spline 함수와 선형방정식을 이용한 수간 및 임분 간곡선 모델, 한국임학회지83(1): 63-74. 

  11. 이종수, 이우균, 윤정호, 송철철. 2006. 공간통계와 GIS를 이용한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분포 패턴. 한국임학회지 95(6): 663-671. 

  12. 임경빈, 민영택, 김영모, 한상석, 권혁민. 1995. 참나무. 임목육종연구소. pp. 187. 

  13. 함보영, 이우균, 정재서, 이준학. 2004. IKONOS영상과 GIS를 이용한 참나무류의 공간분포 및 출현확률추정. 한국산림측정학회지 7(1): 74-84. 

  14. 환경부. 1997. 금강소나무 분포 정밀조사 결과보고서 -경북 내륙지역 중심으로-. pp. 91. 

  15. Choi, S.H., Lee, W.K. and Son, Y.H. 2009. 04. 22 Simulating vegetation responses to climate change using MC1 model. A3 foresight program. Jinju, Korea. 

  16. Choi, S.H., Lee, S.C., Kim, S.N., Kwak, H.B., Kang, B.J. and Lee, W.K. 2010. Application of GIS and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s in Mapping of Past and Future Climatic Variables in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In preparation. 

  17. Kirilenko, P.A. and Solomon, M.A. 1998, Modeling dynamic vegetation response to rapid climate change using bioclimatic classification, Climate change, 38: 15-49. 

  18. Lee, J.H., Lee, W.K., Jun, E.J., Kim, S.W. and Kwak, D.A. 2003. Regional Level Impact of Global Warming on the Distribution of Oak Stands in Central Korea. The Korean Journal of Qusternary Research(제4기 학회) 17(2): 135-138. 

  19. Lee, W.K., Biging, G.S., Son, Y., Byun, W.H., Lee, K.H., Son, Y.M. and Seo, J.H. 2006. Geostatistical analysis of regional differences in stem taper form of Pinus densiflora in central Korea. Ecological research 21: 513-525. 

  20. Pekka, N. and Pertti, H. 2001.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radial growth of Scots pine in northenmost Fennoscandia. Forest Ecology and Mangement 142: 65-77. 

  21. Ramus, S. and Jan, S. 2007. Effect of DEM resolution on the calulation of topographic indicies : TWI and its components. Journal of Hydrology 347: 79-89. 

  22. SAS Institute, Inc., 1998. The SAS System for Windows, Release 6.12. 

  23. Trevor, H., Robert, T. 1986. Generalized Additive Models. Statistical Science 1(3): 297-318. 

  24. Sheng, D., Norikazu Y., Fukuju Y., Kyoichi O., Shengqi, W. and Qingchun, H. 2007. The effect of climate on radial growth of Quercus liaotungensis forest trees in Loess Plateau, China. Dendrochronologia 25: 29-36. 

  25. Yueh-Hsin, L., Juan A., Blanco., Brad, S., Clive W. and Hamish, K. 2010. Relationships between climate and tree radial growth in interior British Columbia, Canad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9: 932-9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