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광한루원(廣寒樓苑)에 내재(內在)된 상상환경요소(想像環境要素) 고찰(考察)
Considerations on the Imaginary Environmental Elements in the Gwanghalu Garden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28 no.1, 2010년, pp.38 - 48  

심우경 (고려대학교 조경학연구실) ,  박주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  정용조 (고려대학교 대학원)

초록

전라북도 남원시 천거동 78 일대에 위치한 광한루원은 광한루를 중심으로 6,000여$m^2$의 연못을 파고 월궁(月宮)을 상징하는 각종 상상환경요소들을 도입하여 조영한 조선시대의 대표적 관아정원(官衙庭苑)으로서 천문(天文)적 우주를 축소하여 상징적으로 조성한 역사적 공공정원이다. 또한 자연의 원리에 순응하고, 선도적 신선사상을 가장 구체적으로 표현한 정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한루 및 광한루원의 1) 점경물에 표현된 상상환경 요소, 2) 단청, 편액, 그림, 문양에 표현된 상상환경요소, 3) 시인묵객들의 시문에 표현된 상상환경요소의 사상적 배경과 상징성을 파악해 보고, 조경설계에서 서구의 과학적 접근에 의해 단절된 상상환경을 자연환경, 인공환경 외 제3의 환경으로서 그 가치를 강조하고, 현재 재조명되고 있는 상상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한국전통조경에 내재된 상상환경을 현대조경교육에 계승 가능성을 가늠해 보는 기초자료를 삼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wanghalu garden which has a pond of approximately $6,000m^2$ around the pavilion at Namwon City, used as official uses consists of the various imaginary environmental elements such as moon palace as an immortal world, miniatured cosmology and law of nature. This study has focused on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경관의 꾸밈새가 서구의 경관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때문에 풍토 여건과 함께 정신문화적인 배경 또한 매우 중요하다(박경복, 2006). 특히 우리나라의 경관의 꾸밈새는 서구의 경관과 달리 직접적인 표현이나 시각 위주가 아닌, 상징적인 간접 표현법이 주로 활용되어 시(時)와 공(空)에 따라 오감을 통해 달리 인지되는 소우주적인 문화 경관이라는 점에서 더욱 사상적 배경이 중요시되고 있다(민경현, 1998: 37)
광한루각에 올라 연못 쪽을 바라보면 있는 화강암으로 조각한 자라상이 가진 두 가지 설화는 어떤 관점에 따라 나눠지는가? 남원지에는 이 석상을 자라로 보느냐 거북으로 보느냐의 관점에 따라 두 가지 설화를 적고 있다. 석구(石龜)로 보는 견해에서의 의미는 “지리산은 남원에서 바라보면 동남방에 위치한 셈인데 예로부터 동남풍만 불어오면 남원에 천재지변이 잦았다고 한다.
광한루원 내에 식재되어 있는 수종들을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수목증 개체 수 상위 10종의 수종은 무엇인가? 광한루원 내에 식재되어 있는 수종들을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수목증 개체수 상위 10종의 수종들은 소나무(140개체), 느티나무(90개체), 은행나무(65개체), 왕버들(45개체), 단풍나무(38개체), 팽나무(35개체), 산수유(30개체), 주목(20개체), 버드나무(18개체), 백목련(18개체)의 순이었고, 나머지 수종들은 각각 1~16개체씩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갈홍 저, 장영창 역(2003). 포박자. 서울: 자유문고. 

  2. 강봉진(1971). 남원광한루 실측보고. 대한건축학회지. 15(40): 44-49. 

  3. 강우방(2007). 한국미술의 탄생. 서울: 솔출판사. 

  4. 구미래(1992). 한국인의 상징세계. 서울: 교보문고. 

  5. 김두규(2005). 복을 부르는 풍수기행. 서울: 동아일보사. 

  6. 김봉렬(2006).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2. 서울: 돌베개. 

  7. 김종대(2001). 우리문화의 상징세계. 서울: 도서출판 다른세상. 

  8. 남원시(2000). 廣寒樓禮讚詩選. 

  9. 남원문화원(1994). 남원의 명승과 고적. 남원시. 

  10. 남원문화원(1995). 용성지. 남원시. 

  11. 리화선(1993). 조선건축사 II. 서울: 도서출판발언. 

  12. 민경현(1998). 숲과 돌과 물의 문화. 서울: 도서출판 예경. 

  13. 박경복(2006). 韓.中.日 歷史文化景觀 比較를 통한 想像的 環境 復原.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박언곤(1991). 한국의 누. 서울: 대원사. 

  15. 박주성(2002). 신선사상이 한국전통조경문화에 미친 영향. 고려대학교 생명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심우경(2007). 古墳壁畵에 表現된 理想鄕이 庭苑文化에 미친 影響.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11-24. 

  17. 심우경(1987). 造景에서 생태학과 風水思想의 關聯性.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 149-160. 

  18. 양선아(2003). 남원의 토지이용 및 가로변천연구 -조선후기 남원읍성을 기준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강수(2000). 노자와 장자. 서울: 도서출판 길. 

  20. 이윤정(1999). 한국전통조형 양식을 응용한 가구디자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조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은창(1984). 조선시대의 관어원림연구 -영호남지방의 관어원림유적을 중심으로-. 경상논집. 29: 185-256. 효성여자대학교. 

  22. 이중환 저, 이익성 역(2003). 택리지. 서울: 을유문화사. 

  23. 임영주(2004). 한국의 전통문양. 서울: 대원사. 

  24. 전호태(2004). 벽화여, 고구려를 말하라. 서울: 사계절출판사. 

  25. 정동오(1974). 이조시대의 정원에관한 연구 -호남지방의 고정원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 21-37. 

  26. 정동오(1996). 춘향전을 중심으로한 춘향의집주변 경관과 후원에 관한 고찰. 호남문화연구 24집. 

  27. 정동오(1986). 한국의 정원. 서울: 민음사. 

  28. 정재서(2002). 도교와 문학 그리고 상상력. 서울: 도서출판 푸른숲. 

  29. 정재서(2005). 이야기 동양신화2. 서울: 황금부엉이. 

  30. 정재서(2006). 한국도교의 기원과 역사. 서울: 이화여대출판부. 

  31. 정재훈(1984). 한국 조경의 미(1)-광한루원. 미술세계. 1: 153-156. 

  32. 조성교(1975). 남원지. 남원군. 

  33. 조용헌(2009). 조용헌 살롱-643. 조선일보(2009. 2. 2). 

  34. 최지연(2000). 전통주택에 사용된 문양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최창조(2003). 땅의 눈물 땅의 희망. 서울: 궁리출판. 

  36. 한정섭역(1993). 동양의 신선사상. 가평: 불교통신교육원. 

  37. 황전신 편저, 이익희 역(2005). 그 상상력의 비밀. 서울: 도서출판노트북. 

  38. 홍희표(1991). 목월시에 나타난 상징의 고찰. 목원대학교 학술논문집. 19: 79-110. 

  39. 허균(2007). 사찰장식, 그 빛나는 상징의 세계. 파주: 돌베개. 

  40. Eliade(1991), 상징, 신성, 예술. 박규태 역. 서울: 서광사. 

  41. Laurie, M.(1991). In Francis, M. and R. T. Hester, Jr(ed.), The Meaning of Gardens. The MIT Press. 

  42. Simonds, O.J.(1997). Landscape Architecture, 3rd Ed.. 안동만역. 조경학. 보문당,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