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서양 해자(垓字)의 비교 고찰
A Comparative Considerations of the Moat at the East and West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28 no.3, 2010년, pp.29 - 38  

정용조 (고려대학교 대학원) ,  박주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  심우경 (고려대학교 조경학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자란 성벽 외곽에 파 놓은 못 또는 물길로 적이 성벽에 직접 접근할 수 없도록 하거나 이를 경계로 공간을 구분하고자 설치된 시설의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고대로부터 중세에 이르기까지 동양과 서양에서 존재했던 해자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수행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양의 해자는 자연적 해자와 인공적 해자를 동시에 설치하였으나, 서양의 해자는 천연의 요새지에 성(城)을 쌓아 자연적 해자를 많이 활용하였다. 둘째, 한국의 해자는 일본 및 중국, 서양의 다른 국가에 비해 해자의 규모가 작다. 셋째, 동양의 성은 읍이나 왕궁을 보호하기 위해 성을 쌓았으나, 서양에서는 왕이나 영주, 대저택, 부호의 저택을 보호하기 위해 성을 쌓았으며, 적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자연적 해자와 인공적 해자를 병행하여 활용하였다. 넷째, 동양에서 풍수지리는 우리 민족의 기층적 사상 체계를 이루어온 수많은 사상들 중 하나로 신라 이후 우리 민족에게 깊은 영향을 끼친 관념임을 부인할 수 없으며, 성의 위치를 정할 때에도 풍수지리를 고려하였다. 성을 둘러싸고 있는 해자는 성내에 있는 좋은 기(氣)가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다섯째, 서양에서 Ha-Ha수법은 담장 대신 정원 부지의 경계선에 해당되는 곳에 도랑을 파서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막도록 한 것으로서 이 도랑의 존재를 모르고 원로를 따라 거닐다가 갑자기 원로가 도랑으로 차단되고 있음을 발견하였을 때 부지불식 중에 지르는 감탄사로 원래 중세기 때의 군사용 호였는데, 정원에 수직적으로 담을 둘러치는 물리적인 경계 없이 정원을 바라볼 수 있게 정원의 경계선에 깊은 도랑과 같은 모양으로 파 놓음으로써 가축이 정원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고, 목장이나 산림, 경작지 등을 정원의 구성요소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oat is a pond or waterway paved on the outside of a fortress that is one of the facilities to prevent enemy from approaching the fortress wall or classify it as the boundary space, and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at that was existed in the East and the We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대로부터 중세에 이르기까지 동양과 서양에 존재했던 해자에 대하여 동·서양의 사례를 통해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한 각 지역에 소개된 성곽은 얼마나 되는가? 우리나라의 성(城)은 도성, 행재성, 읍성, 진성, 관성, 장성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어 실로 성곽의 나라라고 할 만큼 그 수가 많다. 지금까지 알려진 남한 각 지역에 소개된 성곽만 하더라도 무려 1,200여 개소에 이르고 있다. 이들 성곽에 대한 토목적, 고고학적 연구 성과는 간과하더라도 성곽이 역사의 경관 속에서 주거와 행정, 군사적 측면의 복합 기능을 갖고 그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특정 장소에 입지 선정이 이루어지고 경관 구조적 측면에서도 성곽이 읍성 경관의 전부는 아니라할지라도 가장 현저한 경관요소로서 남아있다(한국조경학회, 1996).
해자란 무엇인가? 해자란 성벽 외곽에 파 놓은 못 또는 물길로 적이 성벽에 직접 접근할 수 없도록 하거나 이를 경계로 공간을 구분하고자 설치된 시설의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고대로부터 중세에 이르기까지 동양과 서양에서 존재했던 해자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수행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양의 해자는 자연적 해자와 인공적 해자를 동시에 설치하였으나, 서양의 해자는 천연의 요새지에 성(城)을 쌓아 자연적 해자를 많이 활용하였다.
동서양에 존재했던 해자의 특성 다섯가지는 무엇인가? 해자란 성벽 외곽에 파 놓은 못 또는 물길로 적이 성벽에 직접 접근할 수 없도록 하거나 이를 경계로 공간을 구분하고자 설치된 시설의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고대로부터 중세에 이르기까지 동양과 서양에서 존재했던 해자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수행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양의 해자는 자연적 해자와 인공적 해자를 동시에 설치하였으나, 서양의 해자는 천연의 요새지에 성(城)을 쌓아 자연적 해자를 많이 활용하였다. 둘째, 한국의 해자는 일본 및 중국, 서양의 다른 국가에 비해 해자의 규모가 작다. 셋째, 동양의 성은 읍이나 왕궁을 보호하기 위해 성을 쌓았으나, 서양에서는 왕이나 영주, 대저택, 부호의 저택을 보호하기 위해 성을 쌓았으며, 적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자연적 해자와 인공적 해자를 병행하여 활용하였다. 넷째, 동양에서 풍수지리는 우리 민족의 기층적 사상 체계를 이루어온 수많은 사상들 중 하나로 신라 이후 우리 민족에게 깊은 영향을 끼친 관념임을 부인할 수 없으며, 성의 위치를 정할 때에도 풍수지리를 고려하였다. 성을 둘러싸고 있는 해자는 성내에 있는 좋은 기(氣)가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다섯째, 서양에서 Ha-Ha수법은 담장 대신 정원 부지의 경계선에 해당되는 곳에 도랑을 파서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막도록 한 것으로서 이 도랑의 존재를 모르고 원로를 따라 거닐다가 갑자기 원로가 도랑으로 차단되고 있음을 발견하였을 때 부지불식 중에 지르는 감탄사로 원래 중세기 때의 군사용 호였는데, 정원에 수직적으로 담을 둘러치는 물리적인 경계 없이 정원을 바라볼 수 있게 정원의 경계선에 깊은 도랑과 같은 모양으로 파 놓음으로써 가축이 정원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고, 목장이나 산림, 경작지 등을 정원의 구성요소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고재희(2009). 전통풍수지리교과서: 양택총괄. 풍수인테리어. 서울: 문예마당. 

  2. 신미정(1998). 해자의 조경적 활용방안: 파리공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심정보(1999). 한국읍성의 연구. 서울: 학연문화사. 

  4. 이상준(1997). 경주월성의 변천과정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이원근(1980). 삼국시대 성곽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재혁(1986). 조선시대 충청 해안지역의 성곽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유형원. 반계수록 권 22. 

  8. 윤국병(1978). 조경사. 서울: 일조각. 

  9. 윤성주(1985). 전주지방의 성곽에 대한 역사지리학적 연구: 산성과 읍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장경호(1987). 해자의 기원과 그 기능에 관한 고찰. 삼불 김원룡 교수 정년퇴임 기념총론집(II). 

  11. 정용조, 박주성, 심우경(2010). 경주 월성의 해자에 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37-44. 

  12. 정용조, 오휘영, 정재훈(2009). 진주성 일원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93-102. 

  13. 차용걸(2003). 한국의 성곽. 서울: 눈빛. 

  14. 한국조경학회(1996). 동양조경사. 서울: 문운당. 

  15. 한서대학교 박물관(2008). 해미읍성IV. 한서대학교 박물관 총서 제 10집. 

  16. Tobey, G. B.(1984).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pp.131-135. 

  17. Yoshihiro Kawamura(2006). Nijo Castle World Heritage. 京都新聞出版. pp. 45-49. 

  18. 萬博藝林圖書 有限公司(2008). 紫禁城. 外文出版社. pp.8-87. 

  19. http://blog.naver.com/pondfire/140049509772. 

  20. http://blog.naver.com/3byuno/43836766. 

  21. http://blog.naver.com/jandk2001. 

  22. http://cafe.daum.net/joyzit/Jiy6/319. 

  23. http://en.wikipedia.org/wiki/moa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