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급식용 친환경 및 일반농법 채소류의 미생물적 품질 비교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Ordinary Agricultural Vegetables Used in a School Foodservice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6 no.1, 2010년, pp.49 - 61  

김양숙 (국립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문혜경 (국립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basic information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environmentally friendly vegetables used in school foodservices. Comparisons were made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eight different kinds of vegetables grown by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급식에서 사용된 친환경 및 일반농법으로 재배된 엽채류 5종과 과채류 3종에 대한 미생물적 품질을 분석하여 재배유형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해 친환경농법으로 재배된 채소의 미생물적 안전성은 일반농법으로 재배된 채소류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을 보고하는 바이다. 따라서 친환경 채소류를 단체급식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반드시 일반농법 채소에 대해 적용하는 것과 동일한 세척 및 소독방법으로 관리해야 함을 제언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친환경 채소류와 일반농법 채소류에 대한 미생물적 품질을 분석하여 재배유형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해 봄으로써 친환경 채소류 전처리 시의 안전성 확보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토양에 접한 부분을 먹는 엽채류와 토양으로부터의 오염이 덜한 과채류의 미생물적 품질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친환경 채소류와 일반농법 채소류를 엽채류와 과채류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 농업이란? 2006년 6월 서울과 수도권지역 46개소의 위탁급식학교에서 발생한 환자 수 3,613명의 대형 식중독 사고에 대한 대책으로 당시 교육인적자원부는 위탁급식의 직영전환을 추진하였으며 더불어 안전하고 우수한 식재료 사용의 일환으로 친환경 및 품질인증 농 · 축 · 수산물 사용을 확대하도록 권장하였다(교육인적자원부 2007). 친환경 농업이란 합성농약, 화학비료 및 항생 ‧ 항균제 등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이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농 · 축 ‧ 임업 부산물의 재활용 등을 통하여 농업 생태계와 환경을 유지 ‧ 보전하면서 안전한 농 ‧ 축 ‧임산물을 생산하는 것으로, 친환경 농산물은 그 생산방법에 따라 유기 ‧ 무농약 · 저농약 농산물로 분류된다(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9). 친환경 농산물은 일반적인 관행농법과 비교하면 생산성 측면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환경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소득증가에 따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안전한 농산물을 찾는 소비자가 늘어 그 사용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현행 친환경 농산물 인증제도에서 무엇의 안정성은 입증되었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급식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안전성 문제를 다각적으로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즉 현행 친환경 농산물 인증제도에서는 농약이나 중금속 등의 안전성은 여러 경로를 통해서 입증되나 식재료의 위생적 의미로서의 비중이 큰 미생물적 품질에 대해 언급된 연구결과는 매우 제한적이라 하겠다. 원 등(2002)은 당근, 감자, 상추, 오이, 가지, 배추, 샐러리의 유기농 채소에서 총 호기성 세균이 3×104∼8×106 CFU/g 범위로 검출되었고, 대장균군은 82.
친환경 농산물이 미생물적으로 안전하다고 단정할 수 없는 선행연구로 무엇이 있는가? 즉 현행 친환경 농산물 인증제도에서는 농약이나 중금속 등의 안전성은 여러 경로를 통해서 입증되나 식재료의 위생적 의미로서의 비중이 큰 미생물적 품질에 대해 언급된 연구결과는 매우 제한적이라 하겠다. 원 등(2002)은 당근, 감자, 상추, 오이, 가지, 배추, 샐러리의 유기농 채소에서 총 호기성 세균이 3×104∼8×106 CFU/g 범위로 검출되었고, 대장균군은 82.1%, 대장균 23.2%로 검출되었고 식중독 세균인 Enterobacter(33.4%), Klebsiella(17.2%), Citrobacter(11.6%)도 상당수 검출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친환경 농산물은 농약이나 비료 등 화학자재에 대한 안전성은 확보되나 미생물적으로 안전하다고 단정할 수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교육인적자원부 (2004):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 개정판. pp. 57-105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학교급식 개선종합대책(2007-2011년). Avaliable from: http://www.mest.go.kr/me_kor/inform/1/2/_icsFiles/afieldfile/2008/06/17/200701191011251716.pdf.Accessed December 13, 2007 

  3.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9): 친환경농업육성법, 친환경농 산물정보시스템. Avaliable from: http://www.enviagro.go.kr/ portal/statute/Statute_rules_01.jsp. Accessed December 1, 2009 

  4. 원용준, 윤창용, 서일원, 남혜선, 이동미, 박동희, 이향미, 김세실, 이계용 (2002): 유기농채소에서 식중독 원인균의 오염도 조사.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보고서 vol.6(521) 

  5. 이승인 (2009): 왜 친환경 농산물 학교급식인가?-초. 중. 고교생 97.8%가 급식. 농민신문. Avaliable from: http://www. 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63981&subMenu dsearch Accessed September 12, 2009 

  6. 이홍남 (2006): 전통식에 바탕을 둔 친환경 자연식사의 영양 학적 우수성과 학교급식에의 활용을 통한 초등학교 아동의 건강증진 사례. 전국영양사학술대회 자료집. 대한영양사협회. 서울. pp.147-149 

  7. Choi JW, Park SY, Yeon JH, Lee MJ, Chung DH, Lee KH, Kim MG, Lee DH, Kim KS, Ha SD (2005):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fresh vegetables distributed in markets. J Fd Hyg Safety 20(1):43-47 

  8. Hong SG, Park HM, Cho KW, Chang DI (2007): Development of a washing, sterilization, Dehydration system for leaf vegetables. J Biosystems Eng 32(6):408-415 

  9. Hwang HR (2007):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dietitians of the safety of food materials and the monitoring systems by parents at schools in Gyeongnam. Masters degree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pp.21-26 

  10. Kim HY (2004): A study for the quality depending on sanitization and storage method of raw vegetables in foodservice operatio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6):684-694 

  11. Kim HY, Cha JM (2002): A study for the quality of vegetable dishes without heat treatment in foodservice establishment.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3):309-318 

  12. Kim MH, Shin WS (2008): Microbiological quality of raw and cooked foods in middle and high school food service establishm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0):1343-1356 

  13. Kim SH, Chung SY (2003): Effect of pre-preparation with vinegar against microorganism on vegetables in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2):230-237 

  14. Lee YS, Park MJ (2008): Parental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used for school foodservice in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Korean J Food Culture 23(6):737-747 

  15. Moon HK, Jean JY, Kim CS (2004): Effect of sanitization on raw vegetables not heated in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Diet Assoc 10(4):381-389 

  16. Oh JS, Lee JS, Kang KH, Kim HT, Chung WB, Jeong SJ (2001): Effect of continuous application of organic farming materials on th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plant growth, yield and components of tomato. Korean J Organic Agriculture 9(2):77-91 

  17. Ryu MJ, Suh JS, Lyu ES (2004): A perception of dietitians for using imported foods and pro-environment farm products for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Busan. J Korean Diet Assoc 10(4):452-466 

  18. Seol HR, Park HS, Park KH, Park AK, Ryu K (2009):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foods and kitchen environments in childcard center and kindergarten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2):252-260 

  19. Shin WS, Hong WS, Lee KE (2008):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quality for raw materials and cooked foods in elementary school food establish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30):379-389 

  20. Snyder OP (1995): HACCP in meat, poultry and fish processing.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Glasgow. pp.230-299 

  21. Warriner K, Ibrahim F, Dickinson M, Wright C, Waites WM (2003): Internalization of human pathogens within growing salad vegetables. Biotechnol Genet Eng Rev 20:117-134 

  22. Yoo WC, Park HK, Kim KL (2000):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prepared foods and raw materials of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Dietary Culture 15(2):123-137 

  23. Yu YM, Youn YN, Choi IU, Yuan X, Lee YH (2007): 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leaf vegetables and fruits according to types of cultiv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Korean J Food Preserv 14(1):35-4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