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이 연구는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 및 행복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문화관광연구원에서 2010년 7월 5일부터 7월 16일까지 실시한 국민여가활동실태조사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총 사례수는 3,051명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여가활동 유형에 따라 여가만족 및 행복은 차이가 있다. 즉, 여가만족은 70대이상, 가계수입 600만원이상, 대학원이상, 스포츠활동 집단에서 높고, 행복은 30대, 가계수입 600만원이상, 대학원이상, 스포츠활동 집단에서 높다. 둘째, 한국인의 여가활동 정도는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활동 빈도와 비용이 많을수록 여가만족은 높은 반면, 여가활동 시간이 많이 소요될수록 여가만족은 감소한다. 셋째, 한국인의 여가활동 정도는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즉,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수록 행복은 높은 반면, 빈도가 많을수록 행복은 낮아진다. 넷째, 한국인의 여가만족은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만족이 높을수록 행복 또한 높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among the Korean. To attain the goal of the study described above paragraphs, this study utilized the survey data on the condition of Korean leisure activities performed by Korea Culture Tourism Research Institute. The number of samples are total 3,051 peoples.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has a differenc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eisure type. Second, the degree of leisure activities influence on the leisure satisfaction. Third, the degree of leisure activities influence on the happiness. Fourth, leisure satisfaction influence on the happiness.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세 가지 관점에서 행복과 관련된 삶의 질 | Diener가 정의한 세 가지 관점에서 행복과 관련된 삶의 질이란 무엇인가요? |
첫째, 삶의 질을 외부의 객관적 기준 및 조건으로 정의하는 것이다. 즉, 개인의 삶의 질이 소득, 구매능력, 교육수준, 여가시간, 건강상태 등의 사회경제적 지표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는 것이다. 둘째, 개인이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판단하는 상태라는 것이다. 즉, 수입, 건강, 사회적 지위 등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객관적 지표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개인의 정서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는 인간의 삶의 질이 물질적, 환경적 외부 요인을 대하는 내적 태도나 정서 등의 성격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행복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 Diener[18]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관점에서 행복과 관련된 삶의 질을 정의하고 있다. 첫째, 삶의 질을 외부의 객관적 기준 및 조건으로 정의하는 것이다. 즉, 개인의 삶의 질이 소득, 구매능력, 교육수준, 여가시간, 건강상태 등의 사회경제적 지표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는 것이다. 둘째, 개인이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판단하는 상태라는 것이다. 즉, 수입, 건강, 사회적 지위 등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객관적 지표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개인의 정서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는 인간의 삶의 질이 물질적, 환경적 외부 요인을 대하는 내적 태도나 정서 등의 성격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15]. |
한국인의 행복점수 | 한국인의 행복점수는 얼마인가요? |
100점 만점에 70.5점으로 조사되었다
최근에 한국인들은 과거에 비해 더 불행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사회를 위한 경제연구소가 현대리서치 등에 의뢰해 행복지속가능지수를 산출한 결과, 한국인의 행복점수는 100점 만점에 70.5점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2008년에 조사된 72점에 비해 1. |
자아실현을 통한 행복의 증진 | 자아실현을 통한 행복의 증진은 무엇을 통해 가능한가요? |
여가활동과 같은 개인적으로 의미있는 활동, 내재적으로 동기화된 활동의 참가를 통해 가능하다.
행복이나 심리적 복지는 인간의 최상의 욕구인 자아실현의 욕구가 충족된 상태에서 나타나는 최종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자아실현을 통한 행복의 증진은 여가활동과 같은 개인적으로 의미있는 활동, 내재적으로 동기화된 활동의 참가를 통해 가능하다. 인간은 자신이 원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내재적으로 동기화된 활동에 참가함으로써 인지된 자유, 활동의 장악, 능력의 발현을 경험함으로써 활동의 기쁨과 만족을 얻게 된다[23].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