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름구조를 적용한 저속 유속 센서
Air Flow Sensor with Corrugation Structure for Low Air Velocity Dete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센서학회지, v.20 no.6, 2011년, pp.393 - 399  

최대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 융합기술대학원) ,  이상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 융합기술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fabricated the novel air flow sensor using air drag force, which can be applied to the low air flow detection. To measure the low air flow, we should enlarge the air drag force and the output signal at the given air flow. The paddle structure is applied to the devi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열대류형 유속 센서는 기본적인 열을 발생시켜 바이오 분야와 같은 열에 민감한 분야에 대해서 적용에 한계가 있고[13], 바람저항형은 민감도가 낮아 정밀한 유속측정이 필요한 분야에 적용하기 힘든 단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한 센서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바람저항형 소자를 기반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저속의 공기 유속 측정이 가능한 소자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주름 구조를 적용하여 같은 유속에 대해 민감도를 향상시키도록 하였고, 패들을 적용하여 바람 저항을 극대화하도록 하였다.
  • 기본적으로 휨형 소자는 소자자체가 수직으로 형성된 것에 비해 저항력이 작을 수밖에 없으며, 정확한 휨각도를 조절해야 하므로 공정 과정이 정밀하게 제어되어야 한다[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면형 소자를 유지하되, 이를 유속에 수직으로 배치하여 주어진 바람에 대해 최대의 항력을 받고자 하였다. 또한, 같은 항력에 대해 변화 신호를 크게 하기 위해 주름구조를 사용하여, 그 변화를 극대화 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면형 소자를 유지하되, 이를 유속에 수직으로 배치하여 주어진 바람에 대해 최대의 항력을 받고자 하였다. 또한, 같은 항력에 대해 변화 신호를 크게 하기 위해 주름구조를 사용하여, 그 변화를 극대화 하고자 하였다. 주름 박막 구조는, 일반 평면 구조에 비해 작은 힘에도 큰 변형을 나타나기 때문에, 다이아 프레임 등에 많이 사용된 바 있다[14-16].
  • 본 연구에서는 MEMS기술을 이용하여 저속 유속의 측정을 위해, 주름 구조와 패들을 적용한 바람 저항 유속센서를 설계, 제작하고 검증하였다. 바람의 저항을 크게 하기 위해 외팔보 자유단에 패들을 제작하였으며, 저항을 극대화하기 위해 바람에 수직으로 배치하여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기 유속 센서의 방식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공기의 유속 측정 센서는 MEMS 기술이 적용되어 활발히 연구 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로써, 자동차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뿐만 아니라, 바이오,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1-12]. 이러한 공기 유속 센서는 크게 열대류 방식[1-6]과 바람저항 방식으로 나누어질수 있다[7-12].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열 대류 방식은 가운데 히터가 있고 히터 양쪽의 온도차이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민감도가 좋은 장점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열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이러한 열 발생을 위해 전력이 계속적으로 공급 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7].
공기의 유속 측정 센서은 어느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가? 공기의 유속 측정 센서는 MEMS 기술이 적용되어 활발히 연구 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로써, 자동차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뿐만 아니라, 바이오,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1-12]. 이러한 공기 유속 센서는 크게 열대류 방식[1-6]과 바람저항 방식으로 나누어질수 있다[7-12].
공기의 유속 측정 센서 중 열대류 방식은 어떤 단점이 있는가? 이러한 공기 유속 센서는 크게 열대류 방식[1-6]과 바람저항 방식으로 나누어질수 있다[7-12].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열 대류 방식은 가운데 히터가 있고 히터 양쪽의 온도차이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민감도가 좋은 장점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열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이러한 열 발생을 위해 전력이 계속적으로 공급 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7]. 또한, 온도 차이를 이용한 방식으로 인해 외부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어 추가적인 온도 보정장치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 Qiu, S. Hein, E. Obermeier, and A. Schubert, "Micro gas-flow sensor with integrated heat sink and flow guide", Sens. Actuators A., vol. 54, no. 1, pp. 547-551, 1996. 

  2. T. Neda, K. Nakmura, and T. Takumi, " A polysilicon flow sensor for gas flow meters", Solid- State Sensors and Actuators and Eurosensors IX., pp. 548-551, Stockholm, Sweden, 1996. 

  3. S. H. Kim, T. J. Nam, and S. K. Park", Measurement of flow direction and velocity using a micromachined flow sensor", Sens. Actuators A., vol. 114, no. 2-3, pp. 312-318, 2004. 

  4. S. C. Roh, Y. M. Choi, and S. Y. Kim, "Sensitivity enhancement of a silicon micro-machined thermal flow sensor", Sens. Actuators A., vol. 128, no. 1, pp. 1-6, 2006. 

  5. C. Sosna, R. Buchner, and W. Lang," A temperature compensation circuit for thermal flow sensor operated in constant-temperature-difference mode", IEEE Trans. Instrum. Meas., vol. 59, no. 6, pp. 1715- 1721, 2010. 

  6. P. Bruschi, M Piotto, and G. Barillaro, "Effects of gas type on the sensitivity and transition pressure of integrated thermal flow sensors", Sens. Actuators A., vol. 132, no. 1, pp. 182-187, 2006. 

  7. Y. H. Wang, C. Y. Lee, and C. M. Chiang, "A MEMS-based air flow sensor with a free-standing micro-cantilever structure", Proc. of IEEE Conf. on Sensors., pp. 2389-2401, Sandiego, USA, 2007. 

  8. Y. Su, A. G. R. Evans, A. Brunnschweiler, and G. Ensell, "Characterization of a highly sensitive ultrathin piezoresistive silicon cantilever probe and its application in gas flow velocity sensing", J. Micromech. Microeng., vol. 12, no. 6, pp. 780-785, 2002. 

  9. C. Y. Lee, C. Y. Wen, H. H. Hou, R. J. Yang, C. H. Tsai, and L. M. Fu, "Design and characterization of MEMS-based flow-rate and flow-direction microsensor", Microfluid Nanofluid., vol. 6, no. 3, pp. 363-371, 2009. 

  10. Q. Zhang, W. Ruan, H. Wang, Y. Zhou, Z. Wang, and L. Liu, " A self-bended piezoresistive microcantilever flow sensor for low flow rate measurement", Sens. Actuators A., vol. 158, no. 2, pp. 273-279, 2010. 

  11. J. Chen, J. Engel, and C. Liu, "Development of polymer-based artificial haircell using surface micromachining and 3d assembly", Solid-State Sensors and Actuators and Microsystems., pp. 1035-1038, Warsaw, Poland, 2003. 

  12. M. Dijkstra, J. J. van Baar, R. J. Wiegerink, T. S. J. Lammerink, J. H. de Boer, and G. J. M. Krijnen, "Artificial sensory hairs based on the flow sensitive receptor hairs of crickets", J. Micromech. Microeng., vol. 15, no. 7, pp. 132-138, 2005. 

  13. D. P. Martin, J. J. Grant, and J. V. Ringwood, "Evaluation of a prototype thermal anemometer for use in low Air-speed drying measure calculations" Flow Meas. Instrum., vol. 12, no. 5-6, pp. 285-396, 2002. 

  14. O. C. Jeong and S. S. Yang, "Fabrication of a thermopneumatic microactuator with a corrugated p+ silicon diaphragm", Sens. Actuators A., vol. 80, no. 1, pp. 62-67, 2000. 

  15. J. H. Han, J. Y. Kim, T. S. Kim, and J. S. Kim, "Performance of Fabry-Perot microcavity structures with corrugated diaphragms", Sens. Actuators A., vol. 79, no. 2, pp. 162-172, 2000. 

  16. F. Ke, J. Miao, and Z. Wang, "A wafer-scale encapsulated RF MEMS switch with a stressreduced corrugated diaphragm", Sens. Actuators A., vol. 151, no. 2, pp. 237-243, 2009. 

  17. M. D. Giovanni, Flat and corrugated diaphragm design handbook, MARCEL DEKKER INC, New York, pp.249-258, 1982. 

  18. P. R. Scheeper, W. Olthuis and P. Bergveld, "The design, fabrication, and testing of corrugated silicon nitride diaphragms", J. Microelectromech. Syst., vol. 3, no.1, pp. 36-42, 1994. 

  19. http://www.efunda.com/designstandards/sensors/stra in_gages/strain_gage_sensitivity.cf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