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석 주기별 오염물질 방출에 따른 마산만의 체류시간 및 해수교환율 변화
Variation in Residence Time and Water Exchange Rate by Release Time of Pollutants Over a Tidal Cycle in Masan Bay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14 no.4, 2011년, pp.249 - 256  

박성은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이원찬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홍석진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김형철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김진호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초록

EFDC와 라그랑쥐 입자추적모델을 이용하여 조석주기별로 오염물질의 방출 시점이 다를 경우에 대한 마산만의 체류시간 및 해수교환율의 정량적 차이를 계산하였다. 체류시간은 만 전체에 대해 약 40일이었고 그 범위는 부도 남쪽 해역에서 약 20일 이하, 소모도 상부에 위치하는 마산만 내측에서는 약 100일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체류 시간의 공간적 차이는 주로 조석잔차류와 만 내측으로부터의 거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만 전체 면적에 대한 체류시간의 평균값은 대조기 및 소조기에 각각 약 36일과 42일로 나타났다. 해수교환율은 30%가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입자 방류 시점에 따라 최소 약 65일부터 최대 105일까지 약 40일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grangian particle transport model coupled with the EFDC have been performed to estimate the residence time and water exchange rate by release time of pollutants over a tidal cycle in Masan Bay. The modelled residence time for the whole bay was about 40 days, ranging from less than 20 days in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산만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해양오염 총량관리제도(국토해양부, 경상남도[2008])가 도입되었고, 인천·시화연안, 광양만, 부산연안, 울산연안과 함께 5대 특별관리해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해역으로 해수 유동이 미약한 상태에서 주요 하천(삼호·산호천, 창원천 등) 및 하수종말처리장(덕동, 진해)을 통해 지속적인 육상기인 오염물질의 유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산만 내부로 유입된 각종 오염물질들이 만 외측으로 수송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고, 특히 물질이 해역으로 방출된 시점에 따라서 어느 정도의 수송 시간 차이가 날 수 있는 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마산만을 대상으로 입자 방출 시점이 다를 경우에 대한 체류시간과 해수교환율의 정량적 차이를 계산한 것이다. 마산만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해양오염 총량관리제도(국토해양부, 경상남도[2008])가 도입되었고, 인천·시화연안, 광양만, 부산연안, 울산연안과 함께 5대 특별관리해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해역으로 해수 유동이 미약한 상태에서 주요 하천(삼호·산호천, 창원천 등) 및 하수종말처리장(덕동, 진해)을 통해 지속적인 육상기인 오염물질의 유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조시별로 입자의 방출 시점이 달라질 경우 마산만의 체류시간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수치모델로 평가하기 위하여 총 8개 Case에 대한 체류시간 계산을 수행하였다. Fig.

가설 설정

  • 개방경계의 각 격자점에서 매 시간 간격마다 주요 4개 분조(M2, S2, O1, K1)의 조화상수를 이용하여 조위값을 부여하였고 총 계산시간은 140일이었다. 담수유입 및 바람에 의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가정하고 조류에 의한 해수순환만을 고려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류시간의 계산은 무엇인가? 체류시간의 계산은 입자추적모델을 이용하여 대상 해역 내에 균일하게 입자를 배치시킨 후, 각각의 입자를 추적하여 만외로 유출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산정한다. 이때 조석 주기에 따라 입자를 방출시킨 시간이 다를 경우 입자의 체류시간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시간에 입자를 방출시켜 얻은 체류시간을 각 격자별로 평균하여 시간에 따른 변동성분을 배제한 것이 평균체류시간(Average residence time)이다.
체류시간은 무엇인가? 물질 수송 시간을 표현하는 다양한 정의 가운데 최근 연구들을 통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체류시간(Residence time), 교체시간(Flushing time), 그리고 연령(Age)으로(Monsen et al.[2002]), 이 중 체류시간은 공간적으로 초기 위치가 제각기 다른 물입자 하나 하나가 특정 해역 범위 내에서 얼마나 오래 체류하였는지를 나타낸다(Zimmerman[1976], Takeoka[1984]). 따라서 물입자의 초기 위치, 방출 시점, 경계로부터의 거리 등에 따라 물질 수송 시간의 공간적 차이(Spatial heterogeneity)를 재현할 수 있어 최근 생물학적 과정이나 생지화학적 반응의 공간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연구 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Monbet[1992], Nixon et al.
체류시간이 최근 생물학적 과정이나 생지화학적 반응의 공간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연구에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2002]), 이 중 체류시간은 공간적으로 초기 위치가 제각기 다른 물입자 하나 하나가 특정 해역 범위 내에서 얼마나 오래 체류하였는지를 나타낸다(Zimmerman[1976], Takeoka[1984]). 따라서 물입자의 초기 위치, 방출 시점, 경계로부터의 거리 등에 따라 물질 수송 시간의 공간적 차이(Spatial heterogeneity)를 재현할 수 있어 최근 생물학적 과정이나 생지화학적 반응의 공간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연구 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Monbet[1992], Nixon et al.[1996], Jørgensen and Richardson[1996]; Bricelj and Londsdale[1997]; Josefson and Rasmussen[2000]; Braunschwei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주환, 박선중, 김양선, 소재귀, 2009, 해수유동모형의 조간대 모의 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1(5), 357-370. 

    인용구절

    인용 구절

    EFDC는 3차원 모형으로 Hydrodynamics, Water quality, Sediment transport, Toxics 모듈이 포함되어 있고 연안, 하구, 호소, 습지 등 다양한 수환경에 적용이 가능하여 국내에서도 여러 대학 및 연구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다(Park et al.[1995], 김종규 등[2008], 강주환 등[2009], 허영택 등[2009], 서동일 등[2009], 서승원 등[2010])

  2. 고영찬, 김종인, 류청로, 2000, 부산항의 개발단계별 수질환경 변동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14(3), 11-19. 

    원문보기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국내의 경우 평균체류시간의 공간분포를 재현한 박성은 등[2009]의 연구를 제외하면 체류시간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조량법(Tidal prism method)을 이용한 교체시간(Flushing time)이나 해수교환율(Water exchange rate)을 그대로 체류시간으로 기술한 경우가 많았고(박병수 등[1998]; 고영찬 등[2000]), 그밖에 Knudsen식에 의한 교체시간이나 단순박스모델을 이용한 물질수지 계산과정에서 체류시간을 정의한 경우도 있었다(김종구 등[2000], 홍석진 등[2000][2007]).

  3. 국토해양부, 경상남도, 2008,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제1차 연안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1-234. 

  4. 김종구, 김동명, 양재삼, 2000, Box 모델을 이용한 금강 하구해역의 물질수지 산정,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3, 76-90. 

    인용구절

    인용 구절

    국내의 경우 평균체류시간의 공간분포를 재현한 박성은 등[2009]의 연구를 제외하면 체류시간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조량법(Tidal prism method)을 이용한 교체시간(Flushing time)이나 해수교환율(Water exchange rate)을 그대로 체류시간으로 기술한 경우가 많았고(박병수 등[1998]; 고영찬 등[2000]), 그밖에 Knudsen식에 의한 교체시간이나 단순박스모델을 이용한 물질수지 계산과정에서 체류시간을 정의한 경우도 있었다(김종구 등[2000], 홍석진 등[2000][2007]).

  5. 김종규, 곽경일, 정경호, 2008, 섬진강 하구역의 3차원 혼합특성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1(3), 164-174. 

    원문보기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EFDC는 3차원 모형으로 Hydrodynamics, Water quality, Sediment transport, Toxics 모듈이 포함되어 있고 연안, 하구, 호소, 습지 등 다양한 수환경에 적용이 가능하여 국내에서도 여러 대학 및 연구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다(Park et al.[1995], 김종규 등[2008], 강주환 등[2009], 허영택 등[2009], 서동일 등[2009], 서승원 등[2010])

  6. 김차겸, 장선덕, 이종섭, 1994, 진해만 조류의 2차원 수리 및 수치모델링, 한국해양학회지, 19(2), 83-94. 

  7. 박병수, 류청로, 김종화, 1998, 입자추적모형에 의한 내만에서의 해수 교환,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4(4), 410-418. 

    원문보기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국내의 경우 평균체류시간의 공간분포를 재현한 박성은 등[2009]의 연구를 제외하면 체류시간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조량법(Tidal prism method)을 이용한 교체시간(Flushing time)이나 해수교환율(Water exchange rate)을 그대로 체류시간으로 기술한 경우가 많았고(박병수 등[1998]; 고영찬 등[2000]), 그밖에 Knudsen식에 의한 교체시간이나 단순박스모델을 이용한 물질수지 계산과정에서 체류시간을 정의한 경우도 있었다(김종구 등[2000], 홍석진 등[2000][2007]).

  8. 박성은, 홍석진, 이원찬, 2009, Particle Tracking Model을 이용한 평균체류시간의 공간분포 계산, 한국해양공학회지, 23(2), 47-52. 

    원문보기 상세보기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국내의 경우 평균체류시간의 공간분포를 재현한 박성은 등[2009]의 연구를 제외하면 체류시간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조량법(Tidal prism method)을 이용한 교체시간(Flushing time)이나 해수교환율(Water exchange rate)을 그대로 체류시간으로 기술한 경우가 많았고(박병수 등[1998]; 고영찬 등[2000]), 그밖에 Knudsen식에 의한 교체시간이나 단순박스모델을 이용한 물질수지 계산과정에서 체류시간을 정의한 경우도 있었다(김종구 등[2000], 홍석진 등[2000][2007]).

  9. 서동일, 서미진, 구명서, 우재균, 2009, EFDC-Hydro와 WASP 7.2를 이용한 금강하류의 수리-수질 연계 모델링, 상하수도학회지, 23(1), 15-22. 

    원문보기 상세보기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EFDC는 3차원 모형으로 Hydrodynamics, Water quality, Sediment transport, Toxics 모듈이 포함되어 있고 연안, 하구, 호소, 습지 등 다양한 수환경에 적용이 가능하여 국내에서도 여러 대학 및 연구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다(Park et al.[1995], 김종규 등[2008], 강주환 등[2009], 허영택 등[2009], 서동일 등[2009], 서승원 등[2010])

  10. 서승원, 이화영, 유상철, 2010, 방조제 완공에 따른 호내부수질변화 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2(4), 258-271. 

    인용구절

    인용 구절

    EFDC는 3차원 모형으로 Hydrodynamics, Water quality, Sediment transport, Toxics 모듈이 포함되어 있고 연안, 하구, 호소, 습지 등 다양한 수환경에 적용이 가능하여 국내에서도 여러 대학 및 연구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다(Park et al.[1995], 김종규 등[2008], 강주환 등[2009], 허영택 등[2009], 서동일 등[2009], 서승원 등[2010])

  11. 장선덕, 이문옥, 김종화, 박광순, 김복기, 임기봉, 1984, 진해만 동부해역의 해수유동, 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 7-23. 

  12. 허영택, 박진혁, 2009, EFDC 모형의 낙동강 하류부 수리해석 적용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42(4), 309-317. 

    인용구절

    인용 구절

    EFDC는 3차원 모형으로 Hydrodynamics, Water quality, Sediment transport, Toxics 모듈이 포함되어 있고 연안, 하구, 호소, 습지 등 다양한 수환경에 적용이 가능하여 국내에서도 여러 대학 및 연구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다(Park et al.[1995], 김종규 등[2008], 강주환 등[2009], 허영택 등[2009], 서동일 등[2009], 서승원 등[2010])

  13. 홍석진, 이대인, 김동명, 박청길, 2000, 낙동강 하구해역에서의 단순박스모델에 의한 물질수지,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3, 50-57. 

    원문보기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국내의 경우 평균체류시간의 공간분포를 재현한 박성은 등[2009]의 연구를 제외하면 체류시간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조량법(Tidal prism method)을 이용한 교체시간(Flushing time)이나 해수교환율(Water exchange rate)을 그대로 체류시간으로 기술한 경우가 많았고(박병수 등[1998]; 고영찬 등[2000]), 그밖에 Knudsen식에 의한 교체시간이나 단순박스모델을 이용한 물질수지 계산과정에서 체류시간을 정의한 경우도 있었다(김종구 등[2000], 홍석진 등[2000][2007]).

  14. 홍석진, 이원찬, 윤상필, 박성은, 조윤식, 권정노, 김동명, 2007, 마산만의 자생유기물 저감을 위한 단순박스모델의 적용, 해양환경안전학회지, 13, 111-118. 

    원문보기 상세보기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국내의 경우 평균체류시간의 공간분포를 재현한 박성은 등[2009]의 연구를 제외하면 체류시간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조량법(Tidal prism method)을 이용한 교체시간(Flushing time)이나 해수교환율(Water exchange rate)을 그대로 체류시간으로 기술한 경우가 많았고(박병수 등[1998]; 고영찬 등[2000]), 그밖에 Knudsen식에 의한 교체시간이나 단순박스모델을 이용한 물질수지 계산과정에서 체류시간을 정의한 경우도 있었다(김종구 등[2000], 홍석진 등[2000][2007]).

  15. Abdelrhman, M.A., 2005, Simplified modeling of flushing and residence times in 42 embayments in New England, USA, with special attention to Greenwich Bay, Rhode Island.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62, 339-351.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물론 교체시간이나 해수교환율도 최근 하구나 연안의 수질연구에 체류시간과 마찬가지로 그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나(Sheldon and Alber[2002], Liu et al.[2004], Fukumoto and Kobayashi[2005]) 대상 해역의 전체 체적변화율을 고려하기 때문에 물질 수송 시간의 공간분포를 재현할 수 없다는 점에서 체류시간과는 구분되어 정의되고 있다(Abdelrhman[2005]).

  16. Blumberg, A.F. and Mellor, G.L., 1987, A description of a threedimensional coastal ocean circulation model. In: N. Heaps, Editor, Three-Dimensional Coastal Ocean Models,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8. 

  17. Braunschweig, F., Martins, F., Chambel, P. and Neves, R., 2003, A methodology to estimate renewal time scales in estuaries: the Tagus Estuary case. Ocean Dynamics, 53(3), 137-145.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따라서 물입자의 초기 위치, 방출 시점, 경계로부터의 거리 등에 따라 물질 수송 시간의 공간적 차이(Spatial heterogeneity)를 재현할 수 있어 최근 생물학적 과정이나 생지화학적 반응의 공간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연구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Monbet[1992], Nixon et al.[1996], Jørgensen and Richardson[1996]; Bricelj and Londsdale[1997]; Josefson and Rasmussen[2000]; Braunschweig et al.[2003]).

  18. Bricelj, V.M., and Lonsdale, D.J., 1997, Aureococcus anophagefferens: Causes and ecological consequences of brown tides in U.S. mid-Atlantic coastal waters. Limnological Oceanography, 42, 1023-1038.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따라서 물입자의 초기 위치, 방출 시점, 경계로부터의 거리 등에 따라 물질 수송 시간의 공간적 차이(Spatial heterogeneity)를 재현할 수 있어 최근 생물학적 과정이나 생지화학적 반응의 공간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연구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Monbet[1992], Nixon et al.[1996], Jørgensen and Richardson[1996]; Bricelj and Londsdale[1997]; Josefson and Rasmussen[2000]; Braunschweig et al.[2003]).

  19. Craig, P.M., 2004, User's manual for EFDC-Explorer. A pre/post processor for the environmental fluid. 

    인용구절

    인용 구절

    해수유동 수치실험에 사용된 모델은 미국 VIMS(Virginia Institute of Marine Science)에서 Hamrick[1992]에 의해 개발된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모형으로 본 연구에서는 Dynamic Solution 사의 Craig[2004][2009]에 의해 전·후처리 기능이 추가된 EFDC_DS(Dynamic Solution) 버전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EFDC_DS의 경우 Dynamic Solution 사의 Craig[2004][2009]에 의해 전·후처리 기능이 보완되었고, 특히 Lagrangian Particle Transport(LPT) 서브 모델의 기능이 대폭 강화되면서 이전의 입자추적모듈은 삭제되었다.

  20. Craig, P.M., 2009, Implementation of a Lagrangian particle tracking sub-model for the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인용구절

    인용 구절

    해수유동 수치실험에 사용된 모델은 미국 VIMS(Virginia Institute of Marine Science)에서 Hamrick[1992]에 의해 개발된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모형으로 본 연구에서는 Dynamic Solution 사의 Craig[2004][2009]에 의해 전·후처리 기능이 추가된 EFDC_DS(Dynamic Solution) 버전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EFDC_DS의 경우 Dynamic Solution 사의 Craig[2004][2009]에 의해 전·후처리 기능이 보완되었고, 특히 Lagrangian Particle Transport(LPT) 서브 모델의 기능이 대폭 강화되면서 이전의 입자추적모듈은 삭제되었다.

    새로 수정된 EFDC_DS의 입자추적모듈은 이류항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 수치정확도가 높은 Runga-Kutta 4 method를 사용하고 다양한 조건 하에서 validation을 수행하여 준정상상태 균일류(Quasi-steady state uniform flow) 조건에서 해석해와의 상대오차가 약 -0.098% 임이 확인되었으므로(Craig[2009]) 입자추적에 의한 체류시간을 구하는 과정에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1. Fukumoto, T., Kobayashi, N., 2005. Bottom stratification and water exchange in enclosed bay with narrow entrance. J. of Coastal Research, 21, 135-145. 

    인용구절

    인용 구절

    물론 교체시간이나 해수교환율도 최근 하구나 연안의 수질연구에 체류시간과 마찬가지로 그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나(Sheldon and Alber[2002], Liu et al.[2004], Fukumoto and Kobayashi[2005]) 대상 해역의 전체 체적변화율을 고려하기 때문에 물질 수송 시간의 공간분포를 재현할 수 없다는 점에서 체류시간과는 구분되어 정의되고 있다(Abdelrhman[2005]).

  22. Hamrick, J.M., 1992,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mputer code: Theoretical and computational aspects, The College of William and Mary, VIMS, Special report 317. 

    인용구절

    인용 구절

    해수유동 수치실험에 사용된 모델은 미국 VIMS(Virginia Institute of Marine Science)에서 Hamrick[1992]에 의해 개발된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모형으로 본 연구에서는 Dynamic Solution 사의 Craig[2004][2009]에 의해 전·후처리 기능이 추가된 EFDC_DS(Dynamic Solution) 버전을 사용하였다.

  23. Jorgensen, B. B. and Richardson, K., 1996, Eutrophication in Coastal Marine Ecosystems. Coastal and Estuarine Studies, 52, American Geophysical Union, Washington, DC, 272. 

    인용구절

    인용 구절

    따라서 물입자의 초기 위치, 방출 시점, 경계로부터의 거리 등에 따라 물질 수송 시간의 공간적 차이(Spatial heterogeneity)를 재현할 수 있어 최근 생물학적 과정이나 생지화학적 반응의 공간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연구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Monbet[1992], Nixon et al.[1996], Jørgensen and Richardson[1996]; Bricelj and Londsdale[1997]; Josefson and Rasmussen[2000]; Braunschweig et al.[2003]).

  24. Josefson, A. B. and Rasmussen, B, 2000, Nutrient retention by benthic macrofaunal biomass of Danish estuaries: importance of nutrient load and residence time.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0, 205-216.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따라서 물입자의 초기 위치, 방출 시점, 경계로부터의 거리 등에 따라 물질 수송 시간의 공간적 차이(Spatial heterogeneity)를 재현할 수 있어 최근 생물학적 과정이나 생지화학적 반응의 공간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연구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Monbet[1992], Nixon et al.[1996], Jørgensen and Richardson[1996]; Bricelj and Londsdale[1997]; Josefson and Rasmussen[2000]; Braunschweig et al.[2003]).

  25. Liu, Z., Wei, H., Liu, G., Zhang, J., 2004. Simulation of water exchange in Jiaozhou Bay by average residence time aroach.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61, 25-35.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물론 교체시간이나 해수교환율도 최근 하구나 연안의 수질연구에 체류시간과 마찬가지로 그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나(Sheldon and Alber[2002], Liu et al.[2004], Fukumoto and Kobayashi[2005]) 대상 해역의 전체 체적변화율을 고려하기 때문에 물질 수송 시간의 공간분포를 재현할 수 없다는 점에서 체류시간과는 구분되어 정의되고 있다(Abdelrhman[2005]).

  26. Mellor, G.L. and Yamada, T., 1982, evelopment of turbulence closure model for geophysical fluid problems, Rev. Geophys. Space Phys., 20, 851-875.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EFDC 모듈 가운데 해수유동 모형은 Hamrick[1992]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수치해석적으로 Blumberg and Mellor[1987]의 POM(Princeton ocean model)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27. Monbet, Y., 1992, Control of phytoplankton biomass in estuaries: a comparative analysis of microtidal and macrotidal estuaries. Estuaries, 15, 563-571.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따라서 물입자의 초기 위치, 방출 시점, 경계로부터의 거리 등에 따라 물질 수송 시간의 공간적 차이(Spatial heterogeneity)를 재현할 수 있어 최근 생물학적 과정이나 생지화학적 반응의 공간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연구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Monbet[1992], Nixon et al.[1996], Jørgensen and Richardson[1996]; Bricelj and Londsdale[1997]; Josefson and Rasmussen[2000]; Braunschweig et al.[2003]).

  28. Monsen N.E., Cloern, J.E. and Jucas, L.V., 2002, A comment on the use of flushing time, residence time, and age as transport time scales. Limnology and Oceanography, 47(5), 1545-1553.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물질 수송 시간을 표현하는 다양한 정의 가운데 최근 연구들을 통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체류시간(Residence time), 교체시간(Flushing time), 그리고 연령(Age)으로(Monsen et al.[2002]), 이 중 체류시간은 공간적으로 초기 위치가 제각기 다른 물입자 하나 하나가 특정 해역 범위 내에서 얼마나 오래 체류하였는지를 나타낸다(Zimmerman[1976], Takeoka[1984]).

  29. Moustafa, M.Z. and Hamrick, J.M., 2000, Calibration of the wetland hydrodynamic model to the everglades nutrient removal project. Water Quality and Ecosystem Modelling, 1, 141-167.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즉 수직방향으로 σ좌표계를 사용하고, 수평방향으로는 직각(Cartesian) 및 직교곡선(Orthogonal-curvilinear) 좌표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수직와동점성계수를 계산하기 위하여 Mellor and Yamada[1982]의 Turbulence closure scheme(level 2.5)을 사용하고, 질량보존 Scheme을 이용하여 천해역에서 3차원의 조간대 처리가 가능하다(Moustafa and Hamrick[2000]).

  30. Nixon, S.W., Ammerman, J., Atkinson, L.P., Berounsky, V.M., Billen, G., Boicourt, W.C., Boynton, W.R., Church, T.M., Ditoro, D.M., Elmgren, R., Garber, J.H., Giblin, A.E., Jahnke, R.A., Owens, N.J.P., Pilson, M.E.O. and Seitzinger, S.P., 1996, "The fate of nitrogen and phosphorous at the land-sea margin of the North Atlantic Ocean". Biogeochemistry, 35, 141-180.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따라서 물입자의 초기 위치, 방출 시점, 경계로부터의 거리 등에 따라 물질 수송 시간의 공간적 차이(Spatial heterogeneity)를 재현할 수 있어 최근 생물학적 과정이나 생지화학적 반응의 공간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연구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Monbet[1992], Nixon et al.[1996], Jørgensen and Richardson[1996]; Bricelj and Londsdale[1997]; Josefson and Rasmussen[2000]; Braunschweig et al.[2003]).

  31. Park, K, Kuo, A.y. Shen, J., and Hamrick, J.M., 1995, A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eutrophication model (HEM-3D): description of water quality and sediment process submodels, SRAMOSE No. 327, VIMS/SMS, SWM, VA. 

    인용구절

    인용 구절

    EFDC는 3차원 모형으로 Hydrodynamics, Water quality, Sediment transport, Toxics 모듈이 포함되어 있고 연안, 하구, 호소, 습지 등 다양한 수환경에 적용이 가능하여 국내에서도 여러 대학 및 연구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다(Park et al.[1995], 김종규 등[2008], 강주환 등[2009], 허영택 등[2009], 서동일 등[2009], 서승원 등[2010])

  32. Sheldon, J.E., Alber, M., 2002. A comparison of residence time calculations using simple compartment models of the Altamaha River Estuary, Georgia. Estuaries, 25(6B), 1304-1317.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물론 교체시간이나 해수교환율도 최근 하구나 연안의 수질연구에 체류시간과 마찬가지로 그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나(Sheldon and Alber[2002], Liu et al.[2004], Fukumoto and Kobayashi[2005]) 대상 해역의 전체 체적변화율을 고려하기 때문에 물질 수송 시간의 공간분포를 재현할 수 없다는 점에서 체류시간과는 구분되어 정의되고 있다(Abdelrhman[2005]).

  33. Sisson, G.M., Shen, J., Kim, S.-C., Boon, John, D. and Kuo, A.Y., 1997, VIMS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Eutrophication Model (HEM-3D): Alication of the Hydrodynamic Model to the York River System. SRAMSOE #341. SMS/VIMS, College of William and Mary, Gloucester Point, VA. 123.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EFDC 모델은 수질 모델 및 퇴적물이동 모델과 접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Sission et al.[1997]), 다양한 수질항목의 이송-확산과정이나 점착성 및 비점착성 퇴적물의 수송도 모의가 가능하다.

  34. Takeoka, H., 1984, Fundamental concepts of exchange and transport time scales in a coastal sea, Continental Shelf Research, 3(3), 311-326.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물질 수송 시간을 표현하는 다양한 정의 가운데 최근 연구들을 통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체류시간(Residence time), 교체시간(Flushing time), 그리고 연령(Age)으로(Monsen et al.[2002]), 이 중 체류시간은 공간적으로 초기 위치가 제각기 다른 물입자 하나 하나가 특정 해역 범위 내에서 얼마나 오래 체류하였는지를 나타낸다(Zimmerman[1976], Takeoka[1984]).

  35. Zimmerman, J.T.F., 1976, Mixing and flushing of tidal embayments in the Western Dutch Wadden Sea, Part I: distribution of salinity and calculation of mixing time scales. Netherlands J. of Sea Research, 10, 149-191.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물질 수송 시간을 표현하는 다양한 정의 가운데 최근 연구들을 통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체류시간(Residence time), 교체시간(Flushing time), 그리고 연령(Age)으로(Monsen et al.[2002]), 이 중 체류시간은 공간적으로 초기 위치가 제각기 다른 물입자 하나 하나가 특정 해역 범위 내에서 얼마나 오래 체류하였는지를 나타낸다(Zimmerman[1976], Takeoka[1984]).

    따라서 본 연구에서 체류시간은 Zimmerman[1976]의 정의에 국한하여 사용한다.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