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박평형수 종별 특이성 위해도 평가 방법에 관한 고찰
Consideration of Species-specific Risk Assessment Method of Ballast Water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14 no.4, 2011년, pp.293 - 300  

이승국 (한국해양연구원) ,  강원수 (한국해양연구원) ,  김은찬 (한국해양연구원) ,  신경순 (한국해양연구원) ,  오정환 (한국해양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IMO를 비롯한 세계 각국은 선박평형수에 의해 외래 해양 유해 생물이 유입되어, 자국의 해양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인간의 건강 및 환경, 경제적 가치에 심각한 위협을 주고 있음을 주목하고 이를 관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IMO에서는 선박평형수의 위해도를 평가하여, 유입 생물을 관리하고자 하였고, 환경 매칭 위해도 평가, 생물종생물 지리적 위해도 평가, 종별 특이성 위해도 평가 방법 등 3가지의 위해도 평가 방법을 제시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3가지 방법 중 종별 특이성 위해도 평가 방법에 관하여 고찰하고, 이를 적용하여 시범적으로 작성한 위해도 평가 프로그램에 관해 기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countries of the world, including IMO, has noticed that foreign marine hazardous organisms, which were introduced by ballast water, have disturbed the marine ecosystem of its own nation, and posed a serious threat to human health and the value of environment and economy. Therefore, IMO has tr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MO에서는 선박평형수의 처리를 면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위해도 평가를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3가지 위해도 평가 방법 중 생물지리적 특성이 같거나 비슷한 지역 간을 평가할 수 있는 종별 특 이성 위해도 평가 방법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 항만간의 해양생태 특성에 따른 위해도를 평가하는 방법은, 환경 매칭 위해도 평가, 생물종생물지리적 위해도 평가, 종별 특이성 위해도 평가 방법 등 3가지를 제시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MEPC[2007]). 본 논문에서는 G7 지침서에 언급된 3가지 위해도 평가 방법 중 종별 특이성 위해도 평가 방법에 관하여 고찰하고, 호주 CSIRO marine research의 Keith and Chad[2000]가 개발한 위해도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위해도 평가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구축한 내용에 관해 기술하였다.
  • 평가에 사용된 asterias amurensis은 온도 및 염도에 대한 적응 확률이 큰 종으로, 높은 위해도를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생물에 대한 위해도를 보기 위해, 생물의 여러 특성을 Table 2와 같이 설정하여 위해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Table 2의 donor port pest와 recipient port pest는 유해종의 생존 확률을 나타내며, temperature tolerance와 salinity tolerance는 온도 및 염도에 대한 적응 확률을 나타낸다.
  • 종별 특이성 위해도 평가 방법은 사전에 식별된 유해종이 수용 항(선박평형수를 배출할 항)에 유입되어 생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즉, 유해종의 생활사와 생리적 내성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생리적 제약을 판단하고, 이를 통해 그 생물종이 수용 환경에서 생존하거나 생애주기를 완료할 수 있는 잠재력을 예측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생물은 Table 1에 보인 것과 같이 서식 환경 및 행동 양식에 따라 다양한 시나리오로 구분될 수 있으며, 몇가지 시나리오에 대해위해도를 평가해 보았다. 여기에서, donor port pest status, recipient port pest status, temperature tolerance score, salinity tolerance score 는 asterias amurensis와 동일하게 설정하였고, 제공항의 수심은 깊고, 선박평형수 흡입 시간은 낮이라고 가정하였다. 생물 특성은 Table 3과 같이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 매칭 위해도 평가는 무엇에 의해 평가하는가? 환경 매칭 위해도 평가는 서로 다른 지역 간의 온도나 염도 등 환경 조건의 유사도에 의해 평가한다. 환경 유사도가 높으면 생물이 정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위해도가 높게 평가되며, 반대의 경우에는 낮게 평가된다.
G7(면제 위해도 평가) 지침서는 무엇인가? 14개의 지침서 중 G7(면제 위해도 평가) 지침서는 항만간 해양 생태 특성을 평가하여 동일한 특성을 가진 해역들끼리는 평형수 협약의 적용을 면제하여 경제활동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규정이다. 항만간의 해양생태 특성에 따른 위해도를 평가하는 방법은, 환경 매칭 위해도 평가, 생물종생물지리적 위해도 평가, 종별 특이성 위해도 평가 방법 등 3가지를 제시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MEPC[2007]).
IMO를 비롯한 세계 각국은 항만에 배출되는 선박평형수를 관리하고자 노력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IMO를 비롯한 세계 각국은 항만에 배출되는 선박평형수를 관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는 특정 해역의 생물 또는 병원균 등이 선박평형수를 담고 있는 선박에 의해 전혀 다른 타 해역으로 이송되어, 그 해역의 환경과 생태계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 및 경제적 가치에 심각한 위협을 끼치기 때문이다. 즉, 선박평형수가 외래 생물종을 자국에 전파하는 매체로 이용되는 것이다(Robin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

  1. IMO, 2004,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 ballast water and sediments, http://www.imo.org. 

  2. Keith R.H., Chad L.H., 2000, Risk assessment framework for ballast water introductions, CSIRO marine research, Vol. 2, 3-5, 12-19. 

  3. MEPC, 2007, Guidelines for risk assessment under regulation A-4 of the BWM convention (G7), IMO, Resolution MEPC. 162(56), 6. 

  4. Robinson T.B., Griffiths C.L., McQuaid C.D., Rius M., 2005, Marine alien species of South Africa-status and impacts, African Journal of Marine Science, 297-306.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