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변압기 보호용 전류비율차동 계전기의 동작영역 설정방법
Setting Method of a Percentage Current Differential Relay for Transformer Protection 원문보기

전기학회논문지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60 no.1, 2011년, pp.8 - 13  

김수환 (명지대 전기공학과) ,  강상희 (명지대 전기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ercentage current differential relay is widely used for transformer protection. Because many percentage current differential relays recently use modified methods instead of conventional methods for decid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large current region, in this paper, the operating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두 설정 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변압기 보호용 전류비율차동 계전기의 동작 영역을 보다 정확히 정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억제전류와 동작전류로 표현된 기존의 전류비율차동 계전기의 동작영역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입력전류와 출력전류의 관계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두 설정 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변압기 보호용 전류비율차동 계전기의 동작 영역을 보다 정확히 정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억제전류와 동작전류로 표현된 기존의 전류비율차동 계전기의 동작영역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입력전류와 출력전류의 관계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변압기 보호용 전류비율차동 계전기의 설정 동작영역 특성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두 가지는 무엇인가? 변압기 보호용 전류비율차동 계전기의 설정 동작영역 특성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 번째는 소전류 영역의 낮은 기울기의 직선과 대전류 영역의 높은 기울기의 직선이 직접 만나는 모양이고[1], 두 번째는 소전류 영역과 대전류 영역의 두 직선 사이에 일정한 옵셋이 존재하는 모양이다[2].
보호 계전기에서 중요한 역할은? 전력용 변압기에서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보호 계전기가 동작하지 않아 설비 피해가 확대되거나, 잘못된 동작으로 배후계통에 불필요한 정전 피해를 일으키게 되면, 전력 공급 신뢰도 유지 및 설비 안전 확보에 큰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보호 계전기는 보호 대상의 고장 유무를 정확히 판단하여 동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변압기 보호용 전류비율차동 계전방식의 계전기는 어떤 영역으로 구분되는가? 전류비율차동 계전방식은 동작전류와 억제전류의 비율로 고장을 판단하는 방식이며, 동작전류와 억제전류는 일반적으로 보호 대상의 입·출력단 전류의 스칼라 합과 벡터 합으로 계산된다. 변압기 보호용 전류비율차동 계전기의 동작영역은 소전류 영역과 대전류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소 전류 영역은 변류기에 의한 오차를 고려하고, 대전류 영역은 변류기 포화를 고려하여 정정한다. 이처럼 전류비율차동 계전기는 변류기 오차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계전기의 동작영역 정정시 변류기의 특성을 정확히 반영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IEEE Std C37.91TM, "IEEE Guide for Protecting Power Transformers", 2008. 

  2. GE Power Management, "745 Transformer Management Relay", Instruction Manual, 2001. 

  3. J. Lewis Blackburn, "Protective Relaying : Principles and Applications", Third Edition, 2006, pp. 289-311. 

  4. 한국전력거래소, "보호계전기 정정기준 수립에 관한 연구 (최종보고서)", 명지대학교 차세대전력기술 연구센터, pp. 209-214, 2003. 6 

  5. Charles I. Hubert, "Electric Machines : Theory, Operating, Applications, and Controls ", 2nd Edition, 2003. pp. 1-84. 

  6. Hatem A. Darwish, Abdel-Maksoud I. Taalab, Hady E. Labana, "Step-by-Step Simulation of Transformer Winding Faults for Electromagnetic Transient Programs",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onference and Exhibition, 2005/2006 IEEE PES, pp. 177-182 May 2006. 

  7. IEEE Std 242, "IEEE Recommended Practice for Protection and Coordination of Industrial and Commercial Power Systems", 2001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