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성향과 텔레비전 프로그램 유형 선호도의 관계 연구
Influence of Personality Types on Ttelevision Contents Preferen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12, 2011년, pp.230 - 240  

양문희 (상지대학교 언론광고학부)

초록

다매체 다채널 시대가 되면서 텔레비전 프로그램 선택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수용자 개인의 성향이 더욱 강조되고 있지만,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수용자의 개인성향이 프로그램 유형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특히, 프로그램 시청 동기와 관계가 있는 인지욕구와 감각추구성향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중에서 드라마와 예능 장르를 각각 4개와 5개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각 유형의 선호도에 개인성향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웹 서베이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응답자들의 인지욕구와 감각추구성향은 프로그램 유형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욕구와 감각추구성향은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ersonality types has been emphasized as one of th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program selection by viewers in the multi-channel and multimedia era. However, there have been few empirical studies on this issu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how the audience personality influence the program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수용자들의 개인성향이 프로그램 유형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다양한 개인성향 요인 중에서도 정보 처리와 관계가 있는 동기적인 성향인 인지욕구(need for cognition)와 감각추구성향(sensation seeking)이 프로그램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인지욕구는 생각하기를 즐기는 성향이며, 감각추구성향은 자극을 즐기며 새로운 것을 추구하려는 성향이다.
  • 개인성향 요인은 미디어 콘텐츠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시청동기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학자들의 관심이 더욱 필요한 분야로 지적되고 있다[5][10].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성향과 프로그램 유형 선호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드라마와 예능 장르의 프로그램을 보다 세부적으로 유형화하고, 이들 프로그램 유형의 선호도에 개인성향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기존의 미국 중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개인성향과 프로그램 선호도의 관계를 연구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우리의 현실에 맞는 프로그램 유형으로 구분하여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예를 들어, 맥다니엘(2004)은 감각추구성향과 스포츠 프로그램 소비의 관계가 명백하게 규명되지 못한 이유로 기존의 연구들이 모든 스포츠 중계 프로그램을 동일 하게 취급하였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드라마와 예능 장르에 속하는 프로그램들을 내용 중심으로 유형화하고 이들 프로그램 유형에 시청자들의 개인성향(인지욕구와 감각추구성향)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개인성향과 프로그램 선호도의 관계가 학자들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시청자의 프로그램 선택 행위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 그렇지만 동기적인 특성을 지닌두 성향의 관계를 동시에 고려하여 프로그램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두 성향의 관계에 대해 탐구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수용자 선택권이 확대된 다매체·다채널 시대에 프로그램 선택 행위의 핵심인 수용자의 프로그램 유형 선호도에 개인성향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 두 요인이 과연 독립적으로 프로그램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아니면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두 가지 동기적인 개인성향의 관계를 살펴보는 한편, 이 두 요인을 동시에 고려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수용자들의 개인성향이 프로그램 유형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다양한 개인성향 요인 중에서도 정보 처리와 관계가 있는 동기적인 성향인 인지욕구(need for cognition)와 감각추구성향(sensation seeking)이 프로그램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가설 설정

  • 반면, 시청자의 내적인 요인을 강조하는 입장은 시청자의 내적인 욕구와 동기가 특정 프로그램의 시청에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용과 충족 접근법을 바탕으로 하는 이 입장은 수용자들을 능동적이라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이 입장은 수용자들이 스스로의 욕구를 인지하고 이를 충족시키고자 특정한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시청한다고 주장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송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무엇이 등장하였는가? 방송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케이블, 위성, 인터넷, IPTV 등 다양한 뉴미디어가 등장하면서 방송 환경은소수의 지상파 채널 중심에서 다매체·다채널 시대로 변화하였다[1]. 또한 2011년 12월 종합편성 채널의 개국과 스마트TV의 보급은 방송의 무한경쟁 시대가 오고 있음을 의미한다[2].
방송환경의 변화에 따라 시청자들의 선택권이 확대된 이유는 무엇인가? 구체적으로 수용자들은 이전과 비교하여 보다 많은 매체와 채널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의 지상파 중심 방송 시대에 존재하던 제약이 거의 사라졌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과거의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있던 지상파 중심 시대에 ‘모래시계’와 같은 프로그램은 ‘귀가시계’라고 불릴 정도로 수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시청할 수밖에 없었지만,1) 이러한 현상은 더 이상 일어나기 힘들 것이다.
방송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매체로 무엇이 있는가? 예를 들어, 과거의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있던 지상파 중심 시대에 ‘모래시계’와 같은 프로그램은 ‘귀가시계’라고 불릴 정도로 수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시청할 수밖에 없었지만,1) 이러한 현상은 더 이상 일어나기 힘들 것이다. 이제는 동일한 방송 콘텐츠를 지상파TV, 케이블TV, 인터넷, DMB, IPTV,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시청할 수 있다. 이처럼 수용자의 선택권이 확대되고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수용자들이 어떻게 특정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시청하는지를 연구 하는 것은 더욱 중요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하주용, 유승관,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콘텐츠와 채널 운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5호, pp.176-183, 2008. 

  2. 전종건, "종합편성 도입에 따른 지역 지상파 방송",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192-209, 2011. 

  3. 황성연, "시청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구조적 요인, 시청자 특성, 프로그램 품질평가의 통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19 권, 제4호, pp.644-687, 2005. 

  4. 심미선, 한진만, "프라임타임대 지상파 텔레비전 프로그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6권, 제4호, pp.177-216, 2002. 

  5. M. Tavakoli and M. Cave, "Modelling Television Viewing Patterns," J of Advertising, Vol.25, pp.71-86, 1996. 

  6. G. J. Webster, "Audience Behavior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J of Communication, Vol.36, pp.77-91, 1986. 

  7. G. J. Webster and J. Wakshlag, "A Theory of Television Program Choice," Communication Research, Vol.10, pp.430-446, 1983. 

  8. 주영호, 황성연, "뉴미디어 환경에서 프로그램 선택모델 변화에 관한 연구: 텔레비전 프로그램 선택 모델의 탐색과 변형", 동서언론, 제10권, pp.43-67, 2006. 

  9. P. Palmgreen, L. Wenner, and K. Rosengreen, "Use and Gratifications Research: The Past Ten Years," In K. Rosengreen, L. Wenner and P. Palmgreen (Eds.), Media gratifications research: current perspectives, pp.11-40, Sage, 1985. 

  10. J. B. III. Weaver, "Personality and Entertai nment Preference," In D. Zillmann and P. Vorde rer(Eds.), Media Entertainment: The Psychology of Its Appeal, pp.235-248, Lawrence Erlbaum, 2000. 

  11. R. L. Nabi and K. Riddle, "Personality Traits, Television viewing, and the Cultivation Effect," J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2, pp.327-348, 2008. 

  12. S. R. McDaniel, "Sensation Seeking and the Consumption of Televised Sports," In L/ J. Shrum(Ed.), Blurring the Lines Between Entertainment and Persuasion: The Psychology of Entertainment Media, pp.323-335, Lawrence Erlbaum, 2004. 

  13. G. Rowland, G. Fouts, and T. Heatherton, "Television Viewing and Sensation Seeking: Uses, Preference and Attitud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10, pp.1003-1006, 1989. 

  14. K. Greene and M. Krcmar, "Predicting Exposure to and Liking of Media Violence: A Uses and Gratification Approach," Communication Studies, Vol.56, No.1, pp.71-93, 2005. 

  15. R. P. Hawkins, S. Pingree, J. Hitchon, B. W. Gorham, P. Kannaovakun, E. Gilligan, B. Radler, G. H. Kolbeins, and T. Schmidt, "Predicting Selection and Activity in Television Genre Viewing," Media Psychology, Vol.3, pp.237-263, 2001. 

  16. E. Perse, "Sensation Seeking and the Use of Television for Arousal," Communication Reports, Vol.9, pp.37-48, 1996. 

  17. A. R. Cohen, E. Stotland, and D. M. Wolfe,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Need for Cognition," J of Abnormal & Social Psychology, Vol.51, pp.291-294, 1955. 

  18. J. T. Cacioppo and R. E. Petty, "The Need for Cognition," J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Vol.42, pp.116-131, 1982. 

  19. J. T. Cacioppo, R. E. Petty, J. A. Feinstein, and W. B. Jarvis, "Dispositional Differences in Cognitive Motivation: The Life and Times of Individuals Varying in Need for Cognition," Psychological Bulletin, Vol.119, pp.197-253, 1996. 

  20. 김무곤, 강재원, 정용국, "시청자의 개인적 특성이 양방향 광고의 평가, 태도,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2호, pp.77-124, 2009. 

  21. C. P. Haugtvedt, R. E. Petty, and J. T. Cacioppo, "Need for Cognition and Advertising: Understanding the Role of Personality Variables in Consumer Behavior," J of Consumer Psychology, Vol.1, pp.239-260, 1992. 

  22. B. A. S. Martin, M. J. Sherrard, and D. Wentzel, "The Role of Sensation Seeking and Need for Cognition on Web-site Evaluations: A Resource-matching Perspective," Psychology & Marketing, Vol.22, pp.109-126, 2005. 

  23. M. A. Ferguson, M. Chung, and M. Weigold, "Need for Cognition and the Medium Dependency Components, Relevance and Exposure," Paper presen ted to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Honolulu. 1985. 

  24. K. Hallahan, "Need for Cognition as Motivation to Process Publicity and Advertising," J of Promotion Management, Vol.14, pp.169-194, 2008. 

  25. B. Henning and P. Vorderer, "Psychological Escapism: Predicting the Amount of Television Viewing by Need for Cognition," J of Communication, Vol.51, pp.100-120, 2001. 

  26. E. Perse, "Predicting Attention to Local Television News: Need for Cognition and Motives for Viewing," Communication Reports, Vol.5, pp.40-49, 1992. 

  27. V. Price and S. Allen, "The Need for Cognition, Political Surveillance and Media Exposure," Paper presented to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 in Journalism & Mass Communicat ion conference, Washington, DC. 1989. 

  28. M. Zuckerman, Behavioral Expressions of Biosocial Bases of Sensation Seek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29. M. T. Stephenson and P. Palmgreen, "Sensation Seeking, Perceived Message Sensation Value, Perso nal Involvement and Processing of Anti-marijuana PSAs," Communication Monographs, Vol.68, pp.49-71, 2001. 

  30. M. Zuckerman, Sensation-seeking: Beyond the Optimal Level of Arousal, Lawrence Erlbaum. 1979. 

  31. Z. Bagdasarov, K. Greene, S. C. Banerjee, M., Krcmar, I. Yanovitzky, and D. Ruginyte, "I am what I watch: Voyeurism, Sensation Seeking and Television Viewing Patterns," J of Broad 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4, No.2, pp.299-315, 2010. 

  32. L. Donohew, E. P. Lorch, and P. Palmgreen, "Applications of a Theoretic Model of Informa tion Exposure to Health Intervention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24, No.3, pp.454-468, 1998. 

  33. L. Donohew, P. Palmgreen, and J. Duncan, "An Activation Model of Information Exposure," Communication Monographs, Vol.47, No.4, pp.295-303, 1980. 

  34. J. C. Conway and A. M. Rubin, "Psychological Predictors of Television Viewing Motiva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18, No.4, pp.443-463, 1991. 

  35. R. Potts, A. Dedmon, and J. Halford, "Sensation Seeking, Television Viewing Motives, and Home Television Viewing Pattern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21, pp.1081-1084, 1996. 

  36. E. C. Hirschman, "Consumer Preferences in Literature, Motion Pictures and Television Programs," Empirical Studies of the Arts, Vol.5, pp.31-46, 1987. 

  37. L. L. Nolan and S. J. Patterson, "The Active Audience: Personality Types as an Indicator of TV Program Preference," J of Social Behavior & Personality, Vol.5, pp.697-710, 1990. 

  38. S. R. McDaniel, "Re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ation Seeking and Audience Preference for Viewing Televised Sports," J of Sport Management, Vol.17, pp.13-36, 2003. 

  39. M. J. Schierman and G. L. Rowland, "Sensation Seeking and Selection of Entertainmen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6, pp.599-603, 1985. 

  40. J. W. Roberti, "A Review of Behavioral and Biological Correlation of Sensation Seeking," J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38, pp.256-279, 2004. 

  41. 박정향, "수용자의 인지욕구 및 광고메시지 유형이 기업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42. R. H. Hoyle, M. T. Stephenson, P. Palmgreen, E. P. Lorch, and R. L. Donohow,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Brief Measure of Sensation Seeking," Personality & Individual Difference, Vol.32, pp.401-414, 2002. 

  43. 홍숙영, "가상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202-212.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