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식 LNG 저장탱크 구조물의 온도균열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Crack Control of the In-Ground LNG Storage Tank as Super Massive Structures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3 no.6, 2011년, pp.773 - 780  

권영호 (동양대학교 건축소방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초대형 매스 구조물인 지하식 LNG 저장탱크의 바닥슬래브 및 측벽에 타설되는 매스 콘크리트의 재료특성, 배합조건, 양생조건 및 콘크리트의 타설시기와 초기온도, 외기온 등을 고려한 온도응력 해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해석 결과를 토대로 유해한 균열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단열온도 상승시험을 통하여 수화열 관리에 유리하다고 평가된 2종류(벨라이트 시멘트+석회석 미분말)의 최적배합조건을 선정하였다. 온도응력 해석의 결과에 따르면, 바닥슬래브 2단을 제외한 대부분의 분할타설 블록에서 관통균열지수가 1.2이상을 만족하였다. 바닥슬래브 2단의 경우 균열방지 대책으로 선행냉각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콘크리트의 초기온도를 $25^{\circ}C$ 범위에서 관리할 경우에는 대부분의 타설블록에서 관통균열지수 1.2이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바닥슬래브의 경우, 표면균열지수가 1.2이상이기 때문에 양생조건을 준수하면 표면균열을 제어할 수 있으며, 측벽의 경우에도 표면균열지수가 1.0이상을 만족하기 때문에 균열의 수 및 폭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rmal stress analysis are carried out considering material properties, curing condition, ambient temperature, and casting date of the mass concrete placed in bottom slab and side wall of the in-ground type LNG tank as a super massive structure. Also, based on the numerical resul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지하식 LNG 저장탱크의 바닥슬래브와 측벽에 사용되는 매스 콘크리트의 온도균열 대책의 일환으로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에 석회석 미분말을 치환하는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및 양생, 온도조건 등의 현장조건을 대상으로 온도응력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해석 결과를 토대로 온도균열 제어를 위한 매스 콘크리트의 현장 최적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콘크리트는 실제 현장에서의 태양복사열, 물의 증발, 바람, 단열재료 및 습윤양생을 위한 분사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수시로 이러한 요인들이 변동되기 때문에 이들의 영향을 정확하게 기술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실제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동안에 양생조건이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서 인위적인 양생조건을 고려하였다.19)
  • 열전달 해석에서는 바닥슬래브, 측벽(5Lot까지), 지반, 지하연속벽, 파일캡 슬래브 및 자갈층을 대상으로 모델링 하였다. 바닥슬래브와 측벽 사이에 설치된 시트는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온도응력 해석에서 측벽은 바닥슬래브에 구속되지 않는다는 것을 가정하여 바닥슬래브와 측벽을 각각 모델링 하였다.
  • 바닥슬래브와 측벽 하부에 있는 강관파일과 지반 및 파일캡 슬래브는 응력해석에 있어서 선형 스프링으로 대체하였다. 지하연속벽과 측벽의 접합부는 전단키(shear key)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지하연속벽과 측벽은 구속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측벽은 구속된 전단키의 기능과 온도감소 등에 의하여 방사상으로 수축을 받지만, 수축의 효과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크지 않기 때문에 측벽과 지하연속벽은 분리하여 생각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식 LNG 저장탱크의 구조물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현재, 급증하고 있는 액화천연가스(이하, LNG)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LNG 저장탱크가 인천, 평택, 통영 및 삼척 인수기지에서 건설 또는 가동 중에 있으며, 그 용량도 10만 kl에서 14만 및 20만 kl급의 대용량으로 증가되어 왔다.1)특히, 지하식 LNG 저장탱크의 구조물은 지하연속벽, 파일캡 슬래브, 그리고 본체인 바닥 슬래브와 측벽 및 지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부분 초대형 구조물에 속하기 때문에 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의 제어대책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2)
국내 액화천연가스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이 있는가? 현재, 급증하고 있는 액화천연가스(이하, LNG)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LNG 저장탱크가 인천, 평택, 통영 및 삼척 인수기지에서 건설 또는 가동 중에 있으며, 그 용량도 10만 kl에서 14만 및 20만 kl급의 대용량으로 증가되어 왔다.1)특히, 지하식 LNG 저장탱크의 구조물은 지하연속벽, 파일캡 슬래브, 그리고 본체인 바닥 슬래브와 측벽 및 지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부분 초대형 구조물에 속하기 때문에 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의 제어대책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지하식 LNG 저장탱크는 파일캡 슬래브 공사 후 어떤 공사를 진행하는가? 지하식 LNG 저장탱크는 토압 및 지하수압을 견딜 수 있는 지하연속벽(slurry wall) 구조물을 미리 시공한 후에 탱크내부의 굴착작업과 탱크하부의 파일캡 슬래브(pile cap slab) 공사를 선행하게 된다. 뒤이어 본체인 바닥슬래브(bottom slab) 및 측벽(side wall)을 순차적으로 시공한 후에 탱크내부의 바닥에서 지붕(roof) 구조체를 조립한 후 공기부양(air raising)으로 지상까지 인양하여 측벽의 상부에 고정하고 마지막으로 보냉재와 멤브레인을 설치하게 된다.5)특히, 지하식 LNG 저장탱크의 본체 구조물인 바닥슬래브 및 측벽의 두께가 각각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기수, "천연가스(LNG)의 향후 수요와 전망," 콘크리트 학회지, 15권, 1호, 2003, pp. 1-3. 

  2. 高木淳, 中下兼次, 名倉健, 中村龍, 和賀秀脫, 小野武, 小野定, "世界最大のLNG地下タンクの合理化施工-東京ガス根岸工場 TL-41 LNG地下式貯槽," セメント.コンクリ一トゥヮ.572, 1994.10, pp. 8-13. 

  3. 김진근, 양은익,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 및 온도응력에 대한 영향 요인," 콘크리트학회 학회지, 9권, 3호, 1997, pp. 15-23. 

  4. 강석화, "매스콘크리트의 온도균열제어를 위한 시공방법," 콘크리트 학회지, 9권, 3호, 1997, pp. 4-14. 

  5. 中野正文, "LNG地下タンク建設技術の變遷と技術開發," 日本土木學會論文集, No.679, VI-51, 2001, pp. 1-20. 

  6. ?原裕, 田中佳利, 鈴木克南, "地下タンク側壁コンクリ一ト自動打設システムの開發," 建設機械と施工法ンポジウム論文集, Vol. 13, 1993, pp. 238-241. 

  7. 박찬규, "파이프쿨링 공법적용에 따른 벽체구조물의 온도균열 특성," 한국콘크리트학회 봄 학술대회 논문집, 14권, 1호, 2002, pp. 23-24. 

  8. 김은겸, 유상건, 송준석, 박지웅, "지하철 콘크리트 Box 구조물의 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 제어를 위한 최적의 시공방법 제안,"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21권, 2호, 2009, pp. 185-186. 

  9. 하재담, 박찬규, 엄태선, 이종열, 백승준, 손영준, "LNG 저장탱크 벽체의 동절기 온도균열 제어방안," 한국콘크리트학회 봄 학술대회 논문집, 20권, 1호, 2008, pp. 637-640. 

  10. 이재삼, 배연기, 박희곤, 권해원, 이진우, "매스 콘크리트의 온도균열 예측에 관한 온도이력 해석과 실측의 비교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19권, 2호, 2007, pp. 581-584. 

  11. 강석화, 이용호, 정한중, 박칠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화열 및 온도응력 해석에 관한 연구,"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7권, 4호, 1995, pp. 137-148. 

  12. JSCE, Specification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Concrete Structures (Construction part)-Mass Concrete, 1996, pp. 173-193. 

  13. KCI(Korea Concrete Institute), Concrete Standard Specifications, Korea Concrete Institute, 2003, pp. 142-157. 

  14. ACI(American Concrete Institute) Committee 207., "Effect of Restraint, Volume Change, and Reinforcement on Cracking of Mass Concrete," ACI Manual of Concrete Practice Part 1, 1994, 207.2R. 

  15. Yoon, D. Y., Song, H. S., and Min, C. S., "Finite Element Analysis on Hydration Heat of Concrete under the Influence of Reinforcing Steel Bar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 and Materials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9 No. 1E, 2007, pp. 33-39. 

  16. Kwon, Y. H. and Lee, H. J., "A Study on the Optimum Mix Proportion of the Mass Concrete Designed as Massive and Deep 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7 No. 2, 2005, pp. 293-302. 

  17. 靑木 茂, "地下連續壁におけるコンクリ―トの品質評價に關する硏究," 東北大學校, 工學部 建設材料硏究室, 博士學位論文, 1997, 149 pp. 

  18. Kim, J. K. and Muhammad, N. A., "Thermal Stress Simulation of Mass Concrete using Thermal Stress Device," 한국콘크리트학회 봄 학술대회 논문집, 18권, 1호, 2006, pp. 474-477. 

  19. 김진근, 이윤, "초기재령 매스 콘크리트의 온도수축 예측 기술," 콘크리트학회 학회지, 17권, 4호, 2005, pp. 41-4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