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탁수모델링에 사용하는 유량-SS 관계의 불확실성
Uncertainty of Discharge-SS Relationship Used for Turbid Flow Modeling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4 no.12, 2011년, pp.991 - 1000  

정세웅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정현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이흥수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맹승진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지역건설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수지 탁수 모델링에서 실측자료가 없는 경우 유입하천 부유사 농도(SS) 산정을 위해 유량(Q)과 SS 관계식이 자주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하천을 통과하는 SS 부하율은 유량에 의해 변동된다는 가정 하에 유량과 SS의 멱함수(SS=aQb) 관계가 가장 빈번히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Q-SS 관계는 측정 지점에 따라 배타적 특성을 가지며, 동일 지점에 대해서도 연중 계절적 변동성이 있다. 더욱이, Q-SS 관계는 동일한 수문곡선에서도 유량 상승기와 하강기에 이격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용담댐 저수지와 소양강댐 저수지 유입 하천에서 강우시 연속 실측한 자료를 바탕으로 Q-SS 관계의 이격현상을 고찰하고, SS 부하율 산정 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Q-SS 관계는 홍수사상 동안 높은 분산도와 시계방향의 이격현상을 보였으며, 동일한 유량에 대해 유량 상승기가 하강기보다 SS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이격현상은 저수지로 유입하는 SS 부하량 산정에 있어 유의할 만한 오차로 작용하였으며 Q-SS 멱함수는 실측 부하량을 과소평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것은 저수지 탁수모델링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는 Q-SS 관계식의 대안으로 탁도-SS관계가 제시되었다. 탁도-SS 관계는Q-SS 관계보다 분산도가 작았으며 실측 부하량과의 오차를 획기적으로 줄였다. 따라서 저수지로 유입하는 SS 부하율의 보다 정확한 산정과 탁수모델링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입 탁도에 대한 실시간모니터링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harge (Q) and suspended sediment (SS) concentration often is used for the estimation of inflow SS concentration in reservoir turbidity modeling in the absence of actual measurements. The power function, SS=aQb, is the most commonly used empirical relation to determine th...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용담댐 저수지와 소양강댐 저수지로 유입하는 하천에서 강우시 연속 실측한 자료를 바탕으로 Q-SS 관계의 이격현상을 고찰하고, SS 부하율과 부하량 산정 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또한 Q-SS 관계식의 대안으로써 탁도-SS 관계식을 제시하고, 통계적인 분산정도와 SS 부하율 산정 오차를 비교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용담댐 저수지와 소양강댐 저수지 유입 하천 6개 지점에서 2010년 강우시 각각 2회와 3회 연속 측정한 유량, SS 농도, 탁도 자료를 바탕으로 Q-SS 관계식의 이격현상과 이로 인한 유입 SS 부하율 산정의 불확실성을 고찰하고, SS 부하율 산정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탁도-SS 관계식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결론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탁수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무엇이 있는가? 탁수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는 유역 내 토양 침식 조절, 저수구역 내에서 퇴사댐을 건설하여 부유사를 침강시키는 방법, 그리고 선택취수설비 도입 등이 있으며(Yajima et al., 2006; Chung et al.
다목적댐들의 긍정적, 부정적 기능은? 우리나라는 강수의 시 공간적인 불균형을 해소하고 수자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다목적댐 저수지를 건설하여 운영 중에 있다(한국수자원공사, 2007a). 이러한 대형댐들은 용수공급, 홍수조절, 전력생산 등의 긍정적 기능을 담당하기도 하지만,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물의 체류 시간 증가, 수온의 성층화, 부영양화, 녹조발생, 탁수의 장기화와 같은 부정적인 영향도 미친다(김윤희 등, 2001; 서동일, 1998; 정세웅 등, 2007; Dyson et al., 2003; Tharme, 2003). 특히, 탁수문제는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증가와 댐 유역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발생 빈도와 강도가 커지면서 사회적 환경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탁수모델링의 모의결과에 대한 신뢰도 확보가 어려운 이유는? , 2006). 그러나 탁수모델링은 저수지의 성층현상, 탁수의 밀도류 거동, 그리고 다양한 크기의 부유입자의 침강특성 등 물리적 기작의 복잡성과 실측자료의 제한성 때문에 모의결과에 대한 신뢰도 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Chung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윤희, 김범철, 최광순, 서동일(2001). "2차원 수리수질모 델을 이용한 소양호 수온성층현상과 홍수기 밀도류 이동 현상의 모델링." 상하수도학회지, 상하수도학회, 제 15권, 제1호, pp. 40-49. 

  2. 서동일(1998). "대청호의 성층현상에 의한 부양양화 특성과 수질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대한환경공학회, 제20권, 제9호, pp. 1219-1234. 

  3. 우효섭, 정관수, 이삼희(역자) (2007). 유사이송(원저자: Yang, C,T., 2003), 청문각. 

  4. 이상욱, 김정곤, 노준우, 고익환(2007). "CE-QUAL-W2 모델을 이용한 임하호 선택배제시설의 효과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3권, 제2호, pp. 228- 235. 

  5. 이혜숙, 정선아, 박상영, 이요상(2008). "HSPF와 CEQUAL- W2 모델의 연계적용을 이용한 용담댐 저수지 탁수현상의 모델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대한환경공학회, 제30권, 제1호, pp. 69-78. 

  6. 정세웅(2004). "성층화된 저수지로 유입하는 탁류의 공간 분포 특성 및 연직 2차원 모델링." 대한환경공학회지, 대한환경공학회, 제26권, 제9호, pp. 970-978. 

  7. 정세웅, 이흥수, 윤성완, 예령, 이준호, 추창오(2007). "홍수 시 대청호 유역에 발생하는 탁수의 물리적 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문환경학회, 제23권, 제6호, pp. 934- 944. 

  8. 정세웅, 이흥수, 류재일, 류인구, 오동근(2008). "ELCOMCAEDYM을 이용한 대청댐 유입탁수의 3차원 모델링."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12호, pp. 1187-1198. 

  9. 한국수자원공사(2007a). 댐운영 실무편람. 

  10. 한국수자원공사(2007b). 다목적댐(소양강댐 등 4개댐) 탁수저감 방안 수립 용역 보고서(소양강댐). 

  11. 한국수자원공사(2009a). 수계별 3차원 수리.수질 모형 확대구축 보고서(1차년도). 

  12. 한국수자원공사(2009b). 소양강댐 선택취수설비 개선공사 기본 및 실시설계 탁수거동분석 보고서. 

  13. 한국수자원공사(2010). 수계단위의 탁수예방 기본계획 보고서. 

  14. 환경부(2007).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15. Bronsdon, R.K., and Naden, P.S. (2000). "Suspended sediment in the Rivers Tweed and Teviot."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251, pp. 95- 113. 

  16. Chung, S.W., Hipsey, M.R., and Imberger, J. (2009). "Modelling the propagation of turbid density inflows into a stratified lake: Daecheong Reservoir, Korea."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Vol. 24, pp. 1467-1482. 

  17. Chung, S.W., Yoon, S.W., and Ko, I.H. (2006). "Development of a real-time turbidity monitoring and system for a reservoir." In: Proceedings of the S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ydroinformatics HIC, Nice, France, pp. 1495-1502. 

  18. Dyson, M., Bergkamp, G., and Scanlon, J. (2003). "Flow. The Essentials of Environmental Flows." IUC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19. Ellison, C.A. (2010). "Correlating streamflow, turbidity, and suspended-sediment concentration in Minesota's Wild Rice river." 2nd Joint Federal Interagency Conference 

  20. Gelda, R.K., and Effler, S.W. (2007a). "Simulation of operations and water quality performance of reservoir multilevel intake configuration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33, No. 1, pp. 78-86. 

  21. Gelda, R.K., and Effler, S.W. (2007b). "Modeling Turbidity in a Water Supply Reservoir: Advancements and Issues."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Vol. 133, No. 2, pp. 139-148. 

  22. Goodwin, T.H., Young, A.R., Holmes, M.G., Old, G.H., Hewitt, N., Leeks, G.J.L., Packman, J.C., and Smith, B.P.G. (2003).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sediment transport and yields within the Bradford Beck catchment, West Yorkshire."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214, pp. 475-494. 

  23. Picouet, C., Hingray, B., and Olivry, J.C. (2001). "Empirical and conceptual modelling of the suspended sediment dynamics in a large tropical African river:the Upper Niger river basin." Jounal of Hydrology, Vol. 250, pp. 19-39. 

  24. Tharme, R.E. (2003). "A Global Perspective on Environmental Flow Assessment: Emerging Trend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Flow Methodologies for Rivers." River Res. Applic., Vol. 19, pp. 397-441. 

  25. Umeda, M., Yokoyama, K., and Ishikawa, T. (2006). "Observation and simulation of floodwater intrusion and sedimentation in the Shichikashuku Reservoir."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32, No. 9, pp. 881-891. 

  26. Vongvixay, A., Grimaldi, C., Gascuel-Odoux, C., Laguionie, P., Faucheux, M., Gilliet, N., and Mayet, M. (2010). "Analysis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and discharge relations to identify particle origins in small agricultural watersheds." Proceeding of the Sediment Dynamics for a Changing Future, Vol. 337, pp. 76-83. 

  27. Walling, D.E. (1977). "Assessing accuracy of suspended sediment rating curves for a small basin." Water Resour. Res., Vol. 13, pp. 530-538. 

  28. Williams, D.E. (1989). "Sediment concentration versus water discharge during single hydrologic events in rivers." J. Hydrol, Vol. 111, pp. 89-106. 

  29. Yajima, H., Kikkawa, S., and Ishiguro, J. (2006). "Effect of selective withdrawal system operation on the longand short-term water conservation in a reservoir." Ann. J. Hydraul. Eng., JSCE, Vol. 50, pp. 1375-138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