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스파르트산 킬레이트 철분의 철분 결핍쥐에서의 생물학적 유용성
Bioavailability of Aspartic Acid Chelated Iron on Iron-deficient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12, 2011년, pp.1720 - 1725  

박명규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하태열 (한국식품연구원) ,  신광순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아스파르트산, 탄산칼슘 및 황산철을 반응시켜 아스파르트산 킬레이트 철분(aspartic acid chelated iron, Asp-Fe)을 제조하고 Asp-Fe의 철분결핍 쥐(iron-deficient rat, ID)에서의 생물학적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시험군은 철분이 함유된 식이를 섭취한 정상군(NC), 철분 결핍식이를 1개월간 투여하여 철분 결핍 상태를 유도한 쥐(ID)에 생리식염수를 공급한 결핍 대조군(ID+C), 철분 결핍 쥐에 햄철(heme-Fe) 투여군(ID+heme-Fe) 및 Asp-Fe 투여군(ID+Asp-Fe)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식이섭취량, 장기무게, 체중증가 정도에서 각 군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간 투여 후 혈액 중 철분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결핍쥐에 Asp-Fe 투여군(175.2 ${\mu}g$/dL)과 heme-Fe 투여군(140.8 ${\mu}g$/dL)은 결핍 대조군(96.1 ${\mu}g$/dL)보다 유의적인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총 철분 결합능(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를 측정한 결과 Asp-Fe 투여군(735.4 ${\mu}g$/dL)은 결핍 대조군(841.9 ${\mu}g$/dL)보다 유의적 수준으로 정상화되었다. 헤마토크리트(HCT) 수치를 측정한 결과에서 Asp-Fe 및 heme-Fe 모두 결핍 대조군보다 증가하는 경향은 보였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흡수율에서는 heme-Fe의 경우 21.3%인 반면에 Asp-Fe의 경우 50.2%로 약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청에서의 철분농도 및 transferrin saturation(TS)는 heme-Fe 투여군 및 결핍 대조군에 비하여 Asp-Fe 투여군이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아미노산 킬레이트 철분은 heme-Fe과 유사한 수준의 생체 이용율을 가지고 있으며, 철분 결핍을 회복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보충제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partic acid chelated iron (Asp-Fe) was synthesized by a new method using calcium carbonate, aspartic acid, and ferrous sulfat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ioavailability of Asp-Fe in iron-deficient rats. We divided the rats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The first was the nor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자 등은 탄산칼슘을 원료로 하여 산성아미노산(aspartic acid)과 반응시킨 결과, 탄산가스가 발생되어 휘발되어 없어짐으로 황산나트륨과 같은 간섭이온이 형성되지 않을 뿐 아니라 전기적으로 중성인 형태의 아미노산 칼슘킬레이트 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 용액에 황산철을 첨가할 경우 철과 칼슘이 치환되어 철과 아미노산 사이에 킬레이트가 형성되는 반면, 칼슘은 황산염 형태로 전환되어 불용성의 황산칼슘으로 치환되어 침전 분리되어 아미노산과 킬레이트 결합된 철분만을 쉽게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제조된 아스파르트산 킬레이트 철분의 흡수 및 철분 결핍 상태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여 새로운 기능성 철분제의 소재로 사용이 가능한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철분은 생체 내에서 무엇을 통해 흡수되는가? 철분의 생체이용율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점은 용해도로서 이는 소장의 mucosa에서 효과적으로 흡수되기 위한 전제조건이다(8). 철분은 체내에서 십이지장의 점막에서 흡수되는데 철분은 분자량이 크며, 이온화된 형태로 lipid-rich cellular membrane인 십이지장점막을 쉽게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식이로 섭취된 일반적인 형태의 철분(주로 nonheme iron, Fe3+)은 십이지장의 luminal site에 있는 duodenal cytochrome B(Dcytb) reductase에 의해 Fe2+로 전환되어 divalent metal transporter 1(DMT1, ferroportin) 단백질을 통해 흡수되며(9), 섭취된 양의 5~10% 정도만 흡수된다고 알려져 있다.
철분은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는가? 철분은 생체 내에서 이루어지는 거의 모든 대사에 필수적인 성분으로 전자를 쉽게 주고받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전이금속으로 수많은 생화학 반응에서 산화제 혹은 환원제로 작용한다(3). 철분은 산소의 수송, 호흡, tricarboxylic acid(TCA) cycle, 지질대사, gene regulation, DNA 합성 등 모든 세포질 대사과정에 필수적인 cofactor로 작용하여(4) 생명유지 및 신체의 발달에 필수적인 영양성분으로 특히 신경 세포의 수초화(myelination) 과정에 관련되어 있으며 그 밖에 성장 및 면역기능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물질이다(5).
철분의 소화흡수율은 어느 수준인가?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철분은 그 함량도 중요하지만 실제적으로 이용되는 정도를 평가하는 생체이용율이 매우 중요하다(6,7). 이것은 철분의 소화흡수율이 다른 영양소보다 매우 낮으며, 또한 다른 성분들과의 상호작용이 많아 식품의 조합에 따라서 폭넓은 생체이용율을 보이기 때문이다. 철분의 생체이용율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점은 용해도로서 이는 소장의 mucosa에서 효과적으로 흡수되기 위한 전제조건이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arlton RW, Bothwell TH. 1982. Definition, prevalence and prevention of iron deficiency. Clin Haematol 11: 309-325. 

  2. Finch CA, Huebers H. 1982. Perspectives in iron metabolism. N Engl J Med 306: 1520-1528. 

  3. Lieu PT, Heiskala M, Peterson PA, Yang Y. 2001. The roles of iron in health and disease. Mol Aspects Med 22: 1-87. 

  4. Cairo G, Bernuzzi F, Recalcati S. 2006. A precious metal: Iron, an essential nutrient for all cells. Genes & Nutrition 1: 25-39. 

  5. Beard JL. 2001. Iron biology in immune function, muscle metabolism and neuronal functioning. J Nutr 131: 568S-580S. 

  6. Fritz JC, Pla GW, Roberts T, Boehne JW, Hove EL. 1970. Biological availability in animals of iron from common dietary sources. J Agric Food Chem 18: 647-651. 

  7. Monsen ER. 1988. Iron nutrition and absorption-Dietary factors which impact iron bioavailability. J Am Diet Assoc 88: 786-790. 

  8. Osterloh KRS, Simpson RJ, Snape S, Peters TJ. 1987. Intestinal iron-absorption and mucosal transferrin in rats subjected to hypoxia. Blut 55: 421-431. 

  9. Mackenzie B, Garrick MD. 2005. Iron imports. II. Iron uptake at the apical membrane in the intestine.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89: G981-G986. 

  10. Kim YJ. 1999. Iron bioavailability in iron-fortified market milk.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05-709. 

  11. Lebrun F, Bazus A, Dhulster P, Guillochon D. 1998. Solubility of heme in heme-iron enriched bovine hemoglobin hydrolysates. J Agric Food Chem 46: 5017-5025. 

  12.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8th rev.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Korea. p 409. 

  13. Quintero-Gutierrez AG, Gonzalez-Rosendo G, Sanchez-Munoz J, Polo-Pozo J, Rodriguez-Jerez JJ. 2008. Bioavailability of heme iron in biscuit filling using piglets as an animal model for humans. Int J Biol Sci 4: 58-62. 

  14. Tako E, Rutzke MA, Glahn RP. 2010. Using the domestic chicken (Gallus gallus) as an in vivo model for iron bioavailability. Poult Sci 89: 514-521. 

  15. Chen OS, Blemings KP, Schalinske KL, Eisenstein RS. 1998. Dietary iron intake rapidly influences iron regulatory proteins, ferritin subunits and mitochondrial aconitase in rat liver. J Nutr 128: 525-535. 

  16. Kasvosve I, Delanghe J. 2002. Total iron binding capacity and transferrin concentration in the assessment of iron status. Clin Chem Lab Med 40: 1014-1018. 

  17. Gottschalk R, Wigand R, Dietrich CF, Oremek G, Liebisch F, Hoelzer D, Kaltwasser JP. 2000. Total iron-binding capacity and serum transferrin determination under the influence of several clinical conditions. Clin Chim Acta 293: 127-138. 

  18. Malin MJ, Mihalik MC, Sclafani L. 1983. Determination of hematocrit based on diffusion of an inert molecular probe from agarose gels into whole blood. Anal Biochem 129: 434-445. 

  19. Miret S, Simpson RJ, McKie AT. 2003. Physiology and molecular biology of dietary iron absorption. Annu Rev Nutr 23: 283-301. 

  20. Olivares M, Pizarro F, Pineda O, Name JJ, Hertrampf E, Walter T. 1997. Milk inhibits and ascorbic acid favors ferrous bis-glycine chelate bioavailability in humans. J Nutr 127: 1407-1411. 

  21. Layrisse M, Garcia-Casal MN, Solano L, Baron MA, Arguello F, Llovera D, Ramirez J, Leets I, Tropper E. 2000. Iron bioavailability in humans from breakfasts enriched with iron bis-glycine chelate, phytates and polyphenols. J Nutr 130: 2195-21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