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지구물리와 물리탐사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v.14 no.4, 2011년, pp.267 - 273
김광희 (한국해양연구원) , 유용규 (기상청) , 유찬호 (한국해양연구원) , 강수영 (한국해양연구원) , 김한준 (한국해양연구원)
A cluster of micro-earthquakes in the transition zone between the continental and oceanic crust in the East Sea was relocated using the Joint Hypocenter Determination (JHD) method.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available earthquakes and to take advantage of the high detection capability of the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우리나라 국민들의 지진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커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4년 12월 26일 Sumatra-Andaman 지진 및 지진해일에 이어, 2011년 3월 11일 일본 도호쿠 대지진 및 지진해일의 피해를 목격하면서, 우리나라 국민들의 지진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일본 도호쿠 지진의 경우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한 방사능이 유출되면서 전 세계의 방사능 피해에 대한 우려도 더욱 커졌으며, 에너지 소비의 상당부분을 원자력으로 충당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일본의 인적, 물적 피해를 남의 일처럼 볼 수도 없는 상황이 되었다. | |
대규모의 지진이 다른 자연재해보다 피해 규모가 커질 가능성이 큰 이유는 무엇인가? | Geller, 1997). 또한 대규모의 지진은 인명손실, 재산손실 등의 1차적 재해와 더불어 화재, 주요시설의 가동 불능, 공공서비스의 중단, 사회적 혼란 야기 등의 2차적 재해를 수반할 수 있으므로 지진으로 인한 피해 규모는 다른 어떤 자연재해보다 커질 가능성이 크다(강수영 외, 2008). UN 산하 기구인 CRED(Center for Research on the Epidemiology and Disasters)의 통계 자료에 의하면 전 세계 지진 발생 횟수는 지구상에서 발생하는 총 자연재해 횟수의 10% 미만 이지만, 지진으로 인한 인명과 재산피해는 자연재해로 인한 전체 피해의 30%에 달하고 있다(CRED, 2011). | |
지난 수십 년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지진 발생현황을 보면 대규모의 지진이 많지 않은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 지난 수십 년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지진 발생현황을 보면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대규모의 지진 발생은 많지 않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가 비교적 안정된 유라시아 대륙판의 내부에 위치하며, 앞에서 언급한 판의 경계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판 내부에서도 대규모의 지진이 발생하여 피해를 유발하기도 한다. |
Chiu, J.-M. and Kim, S. G., 2004, Estimation of Regional Seismic Hazard in the Korean Peninsula Using Historical Earthquake Data between A.D. 2 and 1995: Bulletin,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4, 269-284.
CRED, 2011, The International Disaster Database, Volume 2011, http://www.emdat.be/database last assessed at 2011-10-01.
Douglas, A., 1967, Joint epicentre determination, Nature, 215, 47-48.
ERI, 2011, http://outreach.eri.u-tokyo.ac.jp/eqvolc/201103_tohoku/eng/ last assessed at 2011-09-19.
Geller, R. J., 1997, Earthquake prediction: a critical review,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131, 425-450.
Gomberg, J., 1991, Seismicity and detection/location threshold in the Southern Great Basin seismic network,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6, 16401-16414.
Johnston, A. C. and Schweig, E. S., 1996, The Enigma of the New Madrid Earthquakes of 1811-1812, Annual Review of Earth and Planetary Science, 24, 339-384.
Kim, H.-J., Lee, K.-H., Jou, H.-T., Cho, H.-M., Yoo, H.-S., G.- T., P., and Kim, J.-J., 2007, Evolution of the eastern margin of Korea: Constraints on the opening of the East Sea (Japan Sea), Tectonophysics, 436, 37-55.
Kim, K.-H. and Park, Y., 2010, The 20 January 2007 ML 4.8 Odaesan Earthquake and Its Implications for Regional Tectonics in Korea,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100, 1395-1405.
Kim, W.-Y., Choi, H., and Noh, M., 2010, The 20 January 2007 Odaesan, Korea, earthquake sequence; reactivation of a buried strike-slip fault?, Bulletin -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100, 1120-1137.
Lahr, J. C., 1999, HYPOELLIPSE: A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Local Earthquake Hypocentral Parameters, Magnitude, and First-Motion Pattern (Y2K Compliant Version): Denver, U.S. Geological Survey.
Lee, K. and Yang, W.-S., 2006, Historical Seismicity of Korea: Bulletin,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6, 846-855, doi:10.1785/0120050050.
Lee, W. H. K. and Stewart, S. W., 1981,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Microearthquake Networks: New York, New York, USA, Academic Press, 293 p.
Park, S.-C. and Hahm, I.-K., 2011, Rupture pattern of a moderate earthquake in Odaesan, Korea, Geosciences Journal, 14, 191-200.
Pavlis, G. L. and Booker, J. R., 1983, Progressive multiple event location (PMEL),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73, 1753-1777.
Pujol, J., 1988, Comments on the Joint Determination of Hypocenters and Station Corrections,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78, 1179-1189.
Pujol, J., 1988, Comments on the Joint Determination of Hypocenters and Station Corrections,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78, 1179-1189.
Rydelek, P. and Sacks, I. S., 1989, Testing the completeness of earthquake catalogues and the hypothesis of self-similarity, Nature, 337, 251-253.
SSB, 1980, Tangshan Earthquake Catalog: Beijing, State Seismological Bureau, p. 622.
USGS, 2011, Significant Earthquakes: Earthquakes with 50,000 or More Deaths, USGS.
Yoon, S. H. and Chough, S. K., 1995, Regional strike slip in the eastern continental margin of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Bulletin of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107, 83-97.
경재복, 정미경, 백진주, 임연주, 이기화, 2010, 한반도 역사지진 목록 작성 및 DB 구축 (II), 기상청, p. 475.
기상청, 2007, 2007년 1월 20일 강원지역 지진관련 정보, 기상청보도자료.
기상청, 2011, 2010 지진연보, 서울, 기상청, p. 114.
김성균, 정부흥, 1985, 한반도 남부지역의 지각구조, 광산지질, 13, 1-19.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