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포도원 꽃매미(Lycorma delicatula) 발생소장 및 친환경농자재 살충력 평가 Seasonal Occurrence of Spot Clothing Wax Cicada, Lycorma delicatula(Hemiptera: Fulgoridae) and It's Control Efficacy Using EFAM at the Vineyards원문보기
본 연구는 충북지역 포도원에서 꽂매미(Lycorma delicatula)의 발생소장과 방제약제 선발을 목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10종 친환경농자재에 대한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 하였다. 2010년도 꽃매미의 발생은 5월 하순경부터 부회를 시작으로 5월 말부터 8월 말까지 약충이 발생하여 6월 초순에 발생최성기였던 반면, 성충은 7월 말부터 11월까지 발생하였고 산란을 위해 포도원에 집중되는 9월 말에 증가추세를 보여 10월 초순에 발생량이 가장 많았다. 꽃매미 3~4령약충과 성충에 대해서 Spider, Jindikap-plus, Byejin-${\alpha}$가 100% 살충활성을 보였고, Seoncho가 48 hr에서 96.7%를 보였다. 약제 간 잔효성 비교는 Spider가 추천농도에서 7일차에 55.5%의 살충효과를 보였던 반면 나머지 약제는 효과가 낮았다. 노지 포도원에서 5종 약제로 실시한 방제실험 결과 약충은 Jindikap-plus와 Spider가 3일차에 모두 99%의 방제가를 나타냈고 7일까지 2약제 모두 90%의 방제가를 보였다. 성충은 3일차에서 Jindikap-plus와 Spider가 각각 100%, 98.2%의 방제효과를 보였고 7일차 에서는 각각 90.6%와 84.6%의 치사율을 보인 반면, 나머지 약제는 효과가 낮았다. 작물보호제인 대조약제 Acetamiprid WP와 비교해 Jindikap-plus와 Spider는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본 연구는 충북지역 포도원에서 꽂매미(Lycorma delicatula)의 발생소장과 방제약제 선발을 목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10종 친환경농자재에 대한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 하였다. 2010년도 꽃매미의 발생은 5월 하순경부터 부회를 시작으로 5월 말부터 8월 말까지 약충이 발생하여 6월 초순에 발생최성기였던 반면, 성충은 7월 말부터 11월까지 발생하였고 산란을 위해 포도원에 집중되는 9월 말에 증가추세를 보여 10월 초순에 발생량이 가장 많았다. 꽃매미 3~4령약충과 성충에 대해서 Spider, Jindikap-plus, Byejin-${\alpha}$가 100% 살충활성을 보였고, Seoncho가 48 hr에서 96.7%를 보였다. 약제 간 잔효성 비교는 Spider가 추천농도에서 7일차에 55.5%의 살충효과를 보였던 반면 나머지 약제는 효과가 낮았다. 노지 포도원에서 5종 약제로 실시한 방제실험 결과 약충은 Jindikap-plus와 Spider가 3일차에 모두 99%의 방제가를 나타냈고 7일까지 2약제 모두 90%의 방제가를 보였다. 성충은 3일차에서 Jindikap-plus와 Spider가 각각 100%, 98.2%의 방제효과를 보였고 7일차 에서는 각각 90.6%와 84.6%의 치사율을 보인 반면, 나머지 약제는 효과가 낮았다. 작물보호제인 대조약제 Acetamiprid WP와 비교해 Jindikap-plus와 Spider는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valuation of insecticidal efficacy and control effect in field of 10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 and seasonal occurrence at the vineyards to the Lycorma delicatula. L. delicatula nymphs occurred from late May to late August th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valuation of insecticidal efficacy and control effect in field of 10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 and seasonal occurrence at the vineyards to the Lycorma delicatula. L. delicatula nymphs occurred from late May to late August the highest early June (1st nymph) while adults occurred from late July to November with the highest peak of early October (preovipositing female) in 2010. Total population density of L. delicatula was the highest in early June. For the 3rd~4th nymphal instars and adults, EFAM (Spider, Jindikap-plus and Byejin-${\alpha}$) showed perfect insecticidal activity 2hour after treatment. Seoncho showed insecticidal activities 96.7% within 48 hour. Residual effects between EFAM showed 55.5% Spider at recommended concentration at 7 days after treatment(DAT), the other EFAM had low efficacy. Jindikap-plus and Spider showed 99% control value on nymphs in the field test at 3DAT, appeared control value more than 90% at 7DAT. Also, the control effects of Jindikap-plus and Spider were showed the adult mortality of 100% and 98.2% respectively at 3DAT, 90.6% and 84.6% respectively at 7DAT. Whereas the other EFAM had low efficacy. Jindikap-plus and Spider were excellent control effects compared with Acetamiprid WP.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valuation of insecticidal efficacy and control effect in field of 10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 and seasonal occurrence at the vineyards to the Lycorma delicatula. L. delicatula nymphs occurred from late May to late August the highest early June (1st nymph) while adults occurred from late July to November with the highest peak of early October (preovipositing female) in 2010. Total population density of L. delicatula was the highest in early June. For the 3rd~4th nymphal instars and adults, EFAM (Spider, Jindikap-plus and Byejin-${\alpha}$) showed perfect insecticidal activity 2hour after treatment. Seoncho showed insecticidal activities 96.7% within 48 hour. Residual effects between EFAM showed 55.5% Spider at recommended concentration at 7 days after treatment(DAT), the other EFAM had low efficacy. Jindikap-plus and Spider showed 99% control value on nymphs in the field test at 3DAT, appeared control value more than 90% at 7DAT. Also, the control effects of Jindikap-plus and Spider were showed the adult mortality of 100% and 98.2% respectively at 3DAT, 90.6% and 84.6% respectively at 7DAT. Whereas the other EFAM had low efficacy. Jindikap-plus and Spider were excellent control effects compared with Acetamiprid WP.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는 유기농자재로 등록되어 시판되고 있는 친환경 농자재 10종 약제를 선발하여 꽃매미의 발육단계별(3~ 4령 약충 및 성충) 약제 살충효과를 검정하고, 잔효성 및 포장 방제 효과를 검정하여 친환경농자재를 이용한 꽃매미 방제약제 선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중요하다. 따라서 방제적기를 판단하기 위하여 포도원 내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2010년도는 5월 하순경부터 부화를 시작으로 5월 말부터 8월 말까지 1 ~4령 약충이 발생하여 6월 초순에 발생최성기였던 반면, 성충은 7월 말부터 11월까지 발생하였고 산란을 위해 포도원에 집중되는 9월 말에 증가추세를 보여 10월 초순에 발생량이 가장 많았다 Park et al.
가설 설정
c) In a column, means followed by a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5% level by DMRT.
제안 방법
노지포도원에서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 2010년 3월부터 11월까지 10일 간격으로 매월 3회씩 60주 포도나무를 조사하였고, 이곳을 임의 3 지점으로 나누어 관찰하였으며 조사 포장에서 각 태별 꽃매미에 대한 스트레스로 사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채집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포도나무 주당 각 태별 개체수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3~4령 약충과 성충에 대한 10종 친환경농자재의 약효 시험은 용기(0 9 cm, 높이 10 cm)에 3 ~4령 약충과 성충을 넣고 깔대기(높이 11 cm, 아랫지름 9 cm, 윗지름 2 cm)를 씌운 후 추천농도로 희석된 약액을 충체에 손 분무기로 10회(살포량 10 ml) 살포하고 메시가 부착되어 공기 순환이 용이한 사육 상지(30x26x26 cm)로 옮긴 후 삽목한지 90일이 지난 포도 묘목을 먹이로 제공하였다. 분무처리 2시간, 24시간, 48시간 후사 충수를 조사하였고, 실험은 반복당 30마리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먹이로 제공하였다. 분무처리 2시간, 24시간, 48시간 후사 충수를 조사하였고, 실험은 반복당 30마리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꽃매미 성충에 대한 6종 약제의 잔효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포도유묘(삽목후 90일, 5~7엽)를 이용하여 6종 약제 추천농도를 일반 분무용 스프레이로 잎 전체에 충분히 분무 살포하여(15회) 24시간 방치하였으며, 수분 공급 시 약액을 처리한 잎에 물이 닿지 않도록 관주하였다.
꽃매미 성충에 대한 6종 약제의 잔효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포도유묘(삽목후 90일, 5~7엽)를 이용하여 6종 약제 추천농도를 일반 분무용 스프레이로 잎 전체에 충분히 분무 살포하여(15회) 24시간 방치하였으며, 수분 공급 시 약액을 처리한 잎에 물이 닿지 않도록 관주하였다. 시험곤충은 옥천군 청성면 포도연구소 4년생 성목이 있는 해충포장에서 채집된 성충을 사용하였으며, 기내실험을 위해 먹이로 포도 성목에서 절취한 가지와 포도유묘를 번갈아 주며 3일간 순응시켰다.
시험곤충은 옥천군 청성면 포도연구소 4년생 성목이 있는 해충포장에서 채집된 성충을 사용하였으며, 기내실험을 위해 먹이로 포도 성목에서 절취한 가지와 포도유묘를 번갈아 주며 3일간 순응시켰다. 약액처리 3, 5, 7일 후 꽃매미 성충 15마리를 약제처리 된 포도 유묘가 담긴 아크릴 사육상자(30x26x26 cm)에 접종하여 살충효과를 비교 실험하였다. 모든 시험은 3반복으로 하였고, 기존에 꽃매미에 등록된 화학농약(Acetamiprid VP)을 대조 약제로 하였다.
약액처리 3, 5, 7일 후 꽃매미 성충 15마리를 약제처리 된 포도 유묘가 담긴 아크릴 사육상자(30x26x26 cm)에 접종하여 살충효과를 비교 실험하였다. 모든 시험은 3반복으로 하였고, 기존에 꽃매미에 등록된 화학농약(Acetamiprid VP)을 대조 약제로 하였다.
방제효과 시험은 포도연구소 시험포장에서 실시하였으며 꽃매미 발생이 많은 포도나무를 선정하여 5종 친환경농자재와 1종 대조약제(Acetamiprid VP)를 추천농도로 희석하여 3 — 4령 약충과 성충에 대한 약제방제효과 시험을 수행하였다. 약충은 7월 상중순, 성충은 8월 상순에 포장시험을 실시하였으며, 포장방제용 수동분무기(2L)를 이용하여 꽃매미 충체와 포도나무 앞뒷면에 약액이 고루 묻게 살포하였다.
약충은 7월 상중순, 성충은 8월 상순에 포장시험을 실시하였으며, 포장방제용 수동분무기(2L)를 이용하여 꽃매미 충체와 포도나무 앞뒷면에 약액이 고루 묻게 살포하였다. 살포 3, 5, 7일 후 생충율을 조사하였고 무처리구의 밀도를 기초로 하여 처리 구의 방제가{(1-무처리구의 생충율/처리구의 생충율)X100}를구하였다.
살포 3, 5, 7일 후 생충율을 조사하였고 무처리구의 밀도를 기초로 하여 처리 구의 방제가{(1-무처리구의 생충율/처리구의 생충율)X100}를구하였다. 모든 시험은 포도나무 1주를 1반복으로 하여 3반복난괴법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실내 살충효과 검정을 토대로 식물 추출물과 미생물 제형이 다른 5종의 친환경농자재와 기존에 등록된 작물보호제를 대조구로 하여 노지포도원에서 꽃매미 약충과 성충에 대한 포장 방제 실험을 실시한 후 3, 5, 7일 차를 조사하였으며, 그 효과는 Table 4와 같이 나타났다. 7월 상중순에 실시한 5종 약제에 대한 3 ~4령 약충의 방제효과는 3일 차에 Jindikap-plus 99.
약충은 7월 상중순, 성충은 8월 상순에 포장시험을 실시하였으며, 포장방제용 수동분무기(2L)를 이용하여 꽃매미 충체와 포도나무 앞뒷면에 약액이 고루 묻게 살포하였다. 살포 3, 5, 7일 후 생충율을 조사하였고 무처리구의 밀도를 기초로 하여 처리 구의 방제가{(1-무처리구의 생충율/처리구의 생충율)X100}를구하였다. 모든 시험은 포도나무 1주를 1반복으로 하여 3반복난괴법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충북 옥천군 청성면 산계길 포도연구소 시험포장과 그 주변 인근 야산에서 꽃매미 알을 채집호}.여 실험실 내 Growth chamber (VS-91G09M-1300)에서 온도 25 ± 1℃ 광주기 16 L : 8D, 상대습도 50~60%로 유지하여 부화시켰다.
여 실험실 내 Growth chamber (VS-91G09M-1300)에서 온도 25 ± 1℃ 광주기 16 L : 8D, 상대습도 50~60%로 유지하여 부화시켰다. 부화 된 꽃매미는 본 연구소 해충시험포장 시설 하우스 내에 그물망(5x2x2 m) 을 설치하여 3년생 포도나무(campbell early)와 화분에 식재된 가죽나무(㎛/s ahissima)를 먹이로 주며 사육 하였다.
본 시험에 사용된 친환경농자재는 유기농자재로 등록된 시판 제로서 고삼추출물3종, 멀구슬나무추출물 2종, Bt제 1종, 식물추출물 혼합제 2종, 식물추출물과 Bt를 혼합한 1종으로 총 10종의 친환경농자제를 사용하였다. 이들의 등록번호 상표명, 추출물 및 추천농도(ppm)는 Table 1과 같다.
포도유묘(삽목후 90일, 5~7엽)를 이용하여 6종 약제 추천농도를 일반 분무용 스프레이로 잎 전체에 충분히 분무 살포하여(15회) 24시간 방치하였으며, 수분 공급 시 약액을 처리한 잎에 물이 닿지 않도록 관주하였다. 시험곤충은 옥천군 청성면 포도연구소 4년생 성목이 있는 해충포장에서 채집된 성충을 사용하였으며, 기내실험을 위해 먹이로 포도 성목에서 절취한 가지와 포도유묘를 번갈아 주며 3일간 순응시켰다. 약액처리 3, 5, 7일 후 꽃매미 성충 15마리를 약제처리 된 포도 유묘가 담긴 아크릴 사육상자(30x26x26 cm)에 접종하여 살충효과를 비교 실험하였다.
꽃매미 발생소장 조사는 전년도 꽃매미 발생이 많았던 충북 옥천군 청성면 지역의 Campbell early 포도품종이 식재된무방제 노지포도원에서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 2010년 3월부터 11월까지 10일 간격으로 매월 3회씩 60주 포도나무를 조사하였고, 이곳을 임의 3 지점으로 나누어 관찰하였으며 조사 포장에서 각 태별 꽃매미에 대한 스트레스로 사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채집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포도나무 주당 각 태별 개체수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성능/효과
3과 같다. Spider, Byejin-a, Jindikap-phis에서 2시간 이내에 약충과 성충 모두 100% 치사율을 보였고, Bogeom-eco 가 약충과 성충에 대해 48시간 후 각각 100%, 86.7%, Seoncho 가 71.1%, 86.7%의 치사율을 나타냈다. 그 외 친환경 농자재는 효과가 저조하게 나타났다.
2 와 같다. 5종 친환경농자재 모두 3일차에 28.8%이하로 잔효성이 저조하게 나타났으며 7일차에서도 28.8 ~55.5%를 보여 잔효성이 낮게 나왔던 반면 대조약제인 작물보호제 Acetamiprid "는 7일차까지 95.5%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5%의 방제 효과를 보였고 그 외 2종은 50% 미만으로 효과가 저조하였다. Jindikap-plus와 Spider는 7일 차까지 방제효과가 90% 이상 지속되어 꽃매미에 이미 등록된 대조약제인 Acetamiprid WP의 방제가가 97% 이상으로 나타난 점을 감안하면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성충에 대한 포장 방제 효과시험은 8월 초에 실시하였으며 Jindikap-plus와 Spider에서 각각 100%, 98.
Jindikap-plus와 Spider는 7일 차까지 방제효과가 90% 이상 지속되어 꽃매미에 이미 등록된 대조약제인 Acetamiprid WP의 방제가가 97% 이상으로 나타난 점을 감안하면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성충에 대한 포장 방제 효과시험은 8월 초에 실시하였으며 Jindikap-plus와 Spider에서 각각 100%, 98.2%로 3일차 방제효과가 상당히 우수하였으며, Jindikap-plus는 7일차까지 그 약효가 90% 이상으로 지속되었으나 Spider는 84.6%로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Seoncho는 3 일차 75.
7% 의 방제가를 보였으며 그 외 친환경농자재는 방제효과가 저조하게 나타났다. 3~4령 약충과 성충에 대한 방제효과를 토대로 식물추출물 중 고삼추출물인 Spider와 명아주, 멀구슬나무와 회화나무를 추출하여 혼합한 Jindikap-plus에서 꽃매미에 대한 방제효과가 좋았으나 Neem제제와 차나무, 유채꽃, 채종유 Bt제에서는 효과가 저조하게 나타났다. Kim et 2009b) 은 주요 해충에 대한 식물추출물의 살충력 평가를 하였는데 천연식물추출물 중 고삼뿌리추출물(Oxymatrine)이 복숭아혹진딧물(72.
따라서 5월말~6월초 꽃매미의 이동범위가 좁은 대신 밀도가 높은 부화초기단계와 성충이 산란을 위해 포도원으로 밀려드는 시기인 9월 초순~중순경 산란전기에 고삼추출물이나 명아주, 멀구슬나무 및 회화나무의 혼합추출불의 친환경 농자재로 꽃매미 약충과 성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한다면 친환경 포도원에서 꽃매미의 밀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26)
Frantsevich, L., A. Ji, Z. Dai, J. Wang, L. Frantsevich and S.N. Gorb (2008) Adhesive properties of the arolium of a lantern-fly, Lycorma delicatula (Auchenorrhyncha, Fulgoridae). J. Insect Physiol. 54:818-827.
Han, J.M., H.J. Kim, E.J. Lim, S.H. Lee, Y.J. Kwon and S.W. Cho (2008)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Auchenorrhyncha: Fulgoridae: Aphaeninae) finally, but suddenly arrived i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38:281-286.
Hwang, I.C., T.H. Lim, S.J. Lee, C.G. Park, H.Y. Choo and D.W. Lee (2009) Report on Zorka sp. (Homoptera: Typhlocbinae) as a pest of persimmon (Diosprosi kaki) i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48:479-484.
Isman, M.B. (2006) Botanical insecticides, deterrents, and repellents in modern agriculture and an increasingly regulated world. Annu. Rev. Entomol. 51:45-66.
KCPA (2011) User's manual of pesticides. pp.1199.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Kim, Y.E., S.R. Kim and S.H. Lee (2009a) New record of an exotic flatid species, Metcalfa pruinosa (Say) (Hemiptera: Flatidae) in Korea. International symposium on climate change and insect pest. pp.117.
Kim, S.K., J.H. Jin, C.K. Lim, J.H. Hur and S.Y. Cho (2009b) Evaluation of insecticidal efficacy of plant extracts against major insect pests. Korean J. Pestic. Sci. 13:165-170.
Kim, S.K., G.Y. Lee, Y.H. Shin and G.H. Kim (2010) Chemical control effect against spot clothing wax cicada,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nymphs and adults. Korean J. Pestic. Sci. 14:440-445.
Kim, Y.K., S.J. Hong, H.J. Jee, C.K. Shim, J.H. Park, E.J. Han, N.H. An, S.D. Lee and J.H. Yoo (2011) Population dynamics of effective microorganisms in microbial pesticides and environmental-friendly organic materials according to storing period and temperature. Korean J. Pestic. Sci. 15:55-60.
Lee, D.H., E.J. Kang, M.K. Kang, H.J. Lee, H.B. Seok, M.J. Seo, Y.M. Yu and Y.N. Youn (2008) Effects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to insect natural enemies at small green houses. Korean J. Appl. Entomol. 47:75-86.
Lee, J.E., S.R. Moon, H.G. Ahn, J.O. Yang., C.M. Yoon and G.H. Kim (2009a) Feeding behavior of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and response on feeding stimulants of some plants. Korean J. Appl. Entomol. 48:467-477.
Lee, S.B., J.O. seung, S.S. Kim, B.S. Kim, B.M. Lee, Y.J. Oh, C.K. Kang, K.J. Choi and M.K. Hong (2009b) The listing procedure for environmental friendly organic materials in Korea. Korean Association of organic agriculture. pp.275-276.
Lee, S.G. (2011) Life and Agrochemicals. sno. 257, May. pp. 30-33.
Natural Chemistry Science Institute (1996) Research of natural chemistry science in Korea. pp.396.
Oelrichs, P.B., M.W. Hill, O.J. Valley, J.K. Macleod and T.F. Molinski (1983) Toxic tetranotriterpenes of the fruits of Melia azedarach. Phytochemistry. 22:531-534.
Park J.D., M.Y. Kim, S.G. Lee, S.C. Shin, J.H. Kim and I.K. Park (2009)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ycorma delicatula and the control effects of some insecticides. Korean J. Appl. Entomol. 48:53-57.
Park, J.H., K.Y. Ryu, H.J. Jee, B.M. Lee and H.G. Gho (2008) Evaluation of insecticidal activity of plant extracts against three insect pests. Korean J. Appl. Entomol. 47:59-64.
Ryuk, C.S. (1997) Coloured medicinal plants of Korea. Academy press. pp.665.
Shin, Y.H., S.R. Moon, C.M. Yoon, K.S. Ahn and G.H. Kim (2010) Insecticidal activity of 26 insectcides against eggs and nymphs of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Korean J. Pestic. Sci. 14:157-163.
Schmutterer, H. (1988) Potential of azadirachtin-containing pesticides for integrated pest control in developing and industrialized countries. J. Insect Physiol. 34:713-719
Saxena, R.C. (1989) Insecticides from neem. In insecticides of plant origin. ACS Symp. Ser. No. 387. Am. Chem. Soc. Washington, D.C. pp.110-135
Xiao, G. (1991) Forest Insect of Chin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1361, Chinese Academy of forestry, Beijing.
Yu, Y.M., E.J. Kang, M.J. Seo, M.G. Kang, H.J. Lee, D.A. Kim, M.L. Gil and Y.N. Youn (2006) Effects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to insect parasitoids in the laboratory. Korean J. Appl. Entomol. 45:227-23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