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포유동물 수정란의 동결보존기술은 최근 기후 변화에 따른 생물종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해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연구 분야이다. 따라서 멸실 위험에 처한 동물의 개량과 증식, 보존과 복원 및 생명공학의 분야에 이르기까지 응용 기술은 다양하게 이용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한우 수정란의 동결 후 생존성 향상을 위해서 동결 방법에 따른 체내 외수정한의 내동성을 조사하였다. 완만동결에 따른 체내 외수정란의 동결 융해 후 수정란의 재확장률은 89.6%와 81.5% 그리고 72시간 배양하였을 때 부화된 수정란은 76.9%와 43.4%, 생존수정란의 총세포수는 136${\pm}$3.6개와 107${\pm}$3.8개의 결과를 보여 동결 융해 후 생존율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정란의 부화율과 세포수 조사에서는 체내수정란이 유의적으로(p<0.05) 높은 결과를 보였다. 체내수정란의 완만동결 후 배반포 회복률은 91.3% 그리고 12시간 이상 배양하였을 때 확장배반포까지의 발달률은 71.4%의 결과를 보였으며, 초자화 동경에서는 85.7%와 75.0%의 결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수행된 체내 외 수정란의 동결기술을 이용한다면 수정란이식 현장에서도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conventional slow freezing and vitrification methods for cryopreserving in vivo and in vitro-produced bovine embryos. Morphology of post-thawed embryos was evaluated and normal embryos were used for successive culture for 72 h. In ex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정란의 동결과 융해에 따른 생존율 개선을 위해서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를 수행 등, 1996; Vajta 등, 1998; Lane 등, 1999; Cho 등, 2002; Misumi 등, 2003; Cremades 등, 2004;Kuwayama 등, 2005)하였으며, 특히 난자와 수정란의 초 자화 동결 시 다양한 기구들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Rios 등, 2010). 따라서 본 연구는 소 체내 . 외에서 생산된 수정란의 동결성 비교를 통한 산업적 활용의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소 체내 . 외에서 생산된 수정란의 동결성 비교를 통한 산업적 활용의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be H and Hoshi H. 2003. Evaluation of bovine embryos produced high performance serum-free media. J. Reprod. Dev. 49:193-202. 

  2. Cho SK, Cho SG, Bae IH, Park CS and Kong IK. 2002. Improvement in post-thaw viability of in vitro-produced bovine blastocysts vitrified by glass micropipette (GMP). Anim. Reprod. Sci. 73:151-158. 

  3. Cremades N, Sousa M, Silva J, Viana P, Sousa S, Oliveira C, Teixeira da Silva J and Barros A. 2004. Experimental vitrification of human compacted morulae and early blastocysts using fine diameter plastic micropipettes. Hum. Reprod. 19: 300-305. 

  4. Fahning ML and Garcia MA. 1992. Status of cryopreservation of embryos from domestic animals. Cryobiology 29:1-18. 

  5. Gray CW, Morgan PM and Kane MT. 1992. Purification of an embryotrophic factor from commercial bovine serum albumin and its identification as citrate. J. Reprod. Fertil. 94: 471-480. 

  6. Hasler JF, Henderson WB, Hurtgen PJ, Jin ZQ, McCauley AD, Mower SA, NeeLy B, Shuey LS, Stokes JE and Trimmer SA. 1995. Production, freezing and transfer of bovine IVF embryos and subsequent calving results. Theriogenology 43: 141-152. 

  7. Hochi S, Semple E and Leibo SP. 1996. Effect of cooling and warming rates during cryopreservation on survival of in vitro-produced bovine embryos. Theriogenology 46:837-847. 

  8. Iwasaki S, Yoshikane Y, Li X, Watanabe S and Nakahara T. 1994. Effects of freezing of bovine preimplantation embryos derived from oocytes fertilized in vitro on survival of their inner cell mass cells. Mole. Reprod and Develop. 37:272-275. 

  9. Kuwayama M, Vajta G, Ieda S and Kato O. 2005. Comparison of open and closed methods for vitrification of human embryos and the elimination of potential contamination. Reprod. Biomed. 11:608-614. 

  10. Lane M, Schoolcraft WB, Gardner DK and Phil D. 1999. Vitrification of mouse and human blastocysts using a novel cryoloop container-less technique. Fertil. Steril. 72:1073-1078. 

  11. Leibo SP and Loskutoff NM. 1993. Cryobiology of in vitro derived bovine embryos. Theriogenology 39:81-94. 

  12. Leibo SP. 1986. Cryobiology : Preservation of mammalian embryos. Basic Life Sci. 37:251-272. 

  13. Martino A, Songsasen N and Leibo SP. 1996. Developmental into blastocysts of bovine oocytes cryopreserved by ultrarapid cooling. Biol. Reprod. 54:1059-1069. 

  14. Massip A, Mermillod P and Dhmyes A. 1995. Morphology and biochemistry of in-vitro produced bovine : Implications for their cryopreservation. Human Reproduction. 10:3004- 3011. 

  15. Mills RM and Brinster RL. 1967. Oxygen consumption of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 Exp. Cell. Res. 116:373-378. 

  16. Misumi K, Suzuki M, Sato S and Saito N. 2003. Successful production of piglets derived from vitrified morulae and early blastocysts using a microdroplet method. Theriogenology 60:253-260. 

  17. Niemann H. 1991. Cryopreservation of ova and embryos from livestock current status and research needs. Theriogenology 35:109-124. 

  18. Pereira PV, Dayan A, Watanabe MR, Avila FM, Marchizeli JC, Accorsi MF and Watanabe YF. 2002. Pregancy rate following transfer of cryopreservation in vitro produced bovine embryos. Theriogenology 57:475. 

  19. Plante L and King WA. 1994. Light and election microscopic analysis of bovine embryos derived by in vitro and in vivo fertilization. J. Assist. Reprod. Genet. 11:515-529. 

  20. Rall WF. 1992. Cryopreservation of oocytes and embryos: Methods and applications. Anim. Reprod. Sci. 28:237-245. 

  21. Rall WF and Fahy GM. 1985. Ice-free cryopreservation of mouse embryos at -196 ${^{\circ}C}$ by vitrification. Nature 313:573-575. 

  22. Rios GL, Mucci NC, Kaiser GG and Alberio RH. 2010. Effect of container, vitrification volume and warming solution on cryosurvival of in vitro-produced bovine embryos. Animal Reprod. Sci. 118:19-24. 

  23. Rizos D, Lonergan P, Ward F, Papadopoulos S and Boland MP. 2002. Developmental, qualitative and ultra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ovine and bovine embryos produced in vivo or in vitro. Mol. Reprod. Dev. 62:320-327. 

  24. Saito N, Imai K and Tomizawa M. 1994. Effect of sugars addition on the survival of vitrified bovine blastocysts produced in vitro. Theriogenology 41:1053-1060. 

  25. Semple ME, Betteridge KJ and Leibo SP. 1995. Cryopreservation of in vitro-derived bovine embryos produced in a serumfree culture system. Theriogenology 43:320. 

  26. Vajta G, Holm P, Kuwayama M, Booth PJ, Jacobsen H, Greve T and Callensen H. 1998. Open pulled straw (OPS) vitrification: Anew way to reduce cryoinjuries of bovine ova and embryos. Mol. Reprod. Dev. 51:53-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