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시간 조사를 이용한 가중치 부여방법: 인터넷 조사에 대한 적용 가능성 검토
Using Time Use Data for Weighting Internet Survey Results 원문보기

조사연구 = Survey research, v.12 no.2, 2011년, pp.145 - 157  

조성겸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박아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허명회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터넷 조사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그 일반성을 높이고자 하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졌지만, 안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이 아직까지 개발되지는 않았고 이것이 인터넷 조사의 활용을 제약하고 있다. 인터넷 조사를 위한 가중치 개발에는 준거조사 결과가 필요하지만, 센서스나 정부기관에서 제공되는 통계 중 일부 인구학적 속성을 제외하면 이러한 준거 조사 자료를 구하기 어렵다는 것이 중요 요인이다. 본 연구는 생활시간 조사를 이용해서 가중치를 개발하여 적용할 때, 인터넷 조사의 일반성을 높일 수 있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생활시간 조사는 정부기관에 의해 정기적으로 조사될 뿐만 아니라 센서스와는 달리 라이프스타일에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조사하기 때문이다. 2009년에 실시된 통계청 사회조사의 온라인 버전을 2004년 생활시간 조사결과를 이용해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 2009년에 동일한 설문지를 이용해 실시된 면접원방문 사회조사결과에 보다 일치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활시간 조사에서 나타난 취침 시간, 귀가시간, 인터넷 이용시간 등을 이용해서 가중치를 적용했을 때 단지 인구학적 속성만을 이용해서 가중치를 적용하는 경우보다, 온라인 조사결과와 오프라인 조사결과가 보다 근접해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생활시간 조사자료가 인터넷 조사의 가중치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limitations as to how internet surveys can be used. Applying various weighting procedures has not always resulted in error reduction. A good reference survey would increase the effects of the weighting method, but it is very difficult to get a reference survey for non-demographic weight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물론 라이프스타일의 어떤 측면이 온라인 조사에서 응답자들의 응답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확신은 없으나, 적어도 인구통계학적인 요인만으로는 인터넷 조사에서 오는 편향을 제거하는 데 충분치 않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설문조사 결과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추가적인 변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인구총조사에 포함되지 않은 항목들 중에서 어떤 항목이 가중치를 부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인가에 주목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 연구는 기존에 논의되었던 인구통계학적인 요인 외에 인터넷 조사의 편향을 줄일 수 있는 다른 요인을 찾아보고자 하는 데서 시작되었다. 실제로 허명회 · 조성겸 (2010)은 2009년 통계청의 온라인 사회조사자료(응답자수 2,903명)을 대상으로 광역시 및도, 지역 크기(동 · 읍 · 면), 성별, 연령대, 교육정도, 소비생활 만족도, 소득분배 견해, 일반 신문 보기, 인터넷 신문 보기와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라이프스타일 변인을 섞어 9개의 변인을 조정 기준 변수로 사용하여 같은 해에 면대면으로 실시된 통계청 사회 조사 자료(응답자수 37,049명)에 성향 조정 가중치를 부여하여 두 데이터를 비교 ·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 4%만이 사회적 목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적이 없다고 답한 것이다. 따라서 인터넷 사용을 코딩함에 있어서 특정 목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했는지 여부만을 고려하기로 했다. 마찬가지로 정보 검색을 위해서는 생활시간 조사 응답자의 83.
  • 본 연구는 이러한 생활시간 조사가 준거조사로 사용될 만큼 충분히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시간 사용에 대한 설문문항을 포함하여 조사를 실시할 경우, 그에 대한 준거조사로 생활시간 조사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앞서 살펴본 것처럼 일반 연구자가 준거 자료의 필요성 때문에 새로운 조사를 실시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의 문제가 따르기 때문에, 이 연구는 연구자가 실제로 자신의 준거 데이터를 생성하는 대신 준거조사로 시간 사용 조사를 사용함으로써 성향 점수 가중법이나 다른 유형의 가중법을 인터넷 기반 조사에 적용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시간 사용 조사는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정부 기관에 의해 실시되고 있다.
  • 이 연구는 생활시간 조사를 이용해서 가중치를 개발한 경우 인터넷 조사의 일반성을 높일 수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오프라인 데이터와 가중치를 부여한 온라인 데이터를 비교 · 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온라인 조사와 면대면 조사의 표본 집단 차이가 가져오는 편향을 줄이고자 기존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바탕으로 하는 가중치 외에 시간 사용 변인을 추가한 가중 법의 효용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하지만 시간 사용 변인을 위해 사용한 데이터가 2004년 생활시간 조사로, 면대면 조사와 온라인 조사가 행해졌던 2009년의 데이터와는 차이가 있어 정확한 비교가 어려웠다는 한계를 지닌다.
  • 이 연구는 통계청에서 실시한 기존 면대면 조사의 온라인 버전을 사용하여 이러한 시간 변인들이 편향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했다. 온라인 버전에는 귀가 시간, 취침 시간, 앞에서 언급했던 인터넷 사용 유형에 따른 시간과 관련된 항목 들이 추가되었다.

가설 설정

  • 실제로 개인의 활동을 분석하고 온라인으로 응답하는 사람들의 관점과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는 것보다, 시간 사용 조사의 항목들을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간단한 질문을 함으로써 라이프스타일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과 같은 혜택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우리는 취침시간과 귀가시간과 같은 정보가 표본의 편향을 줄이는 데 훨씬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가정을 해 볼 수 있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라인 조사의 장점은? 온라인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온라인을 통한 설문조사가 각광을 받고 있다. 기존의 면대면 조사나 전화조사 혹은 설문지를 통한 조사들에 비해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조사는 비용이 저렴하며, 도달률을 높일 수 있어 매우 매력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조사는 면대면 조사나 전화조사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다는 최대 장점이 있으며, 기존의 면대면 조사나 전화조사가 지니고 있던 조사대상자들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도 탁월한 강점을 지닌다. 실제로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면접조사의 경우는 일과 시간 중에 가정에 머무르는 가구원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한밤중이나 주말 등을 이용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거나 유선전화의 응답률이 떨어지는 등 조사 대상자들에 대한 접근 자체가 어려운데 반해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의 경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인터넷 조사의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사용하는 방법에서 중요한 것은? 허명회ㆍ조성겸(2010) 그리고 김영원ㆍ배예영(2010)의 연구에서는 가중치 산정에 인구통계학적 변인 외에 다른 추가적인 변인들을 포함하는 경우, 가중치 적용의 효과가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요한 것은 가중법 그 자체라기보다는 어떤 변인을 가중치 산정에 포함하느냐의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인터넷 조사의 한계점은? 실제로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면접조사의 경우는 일과 시간 중에 가정에 머무르는 가구원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한밤중이나 주말 등을 이용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거나 유선전화의 응답률이 떨어지는 등 조사 대상자들에 대한 접근 자체가 어려운데 반해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의 경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 조사의 경우 인터넷 사용자들로 조사 대상자들이 국한되기 때문에 인터넷 조사가 기존의 면대면 조사나 전화조사의단점을 대체할 만한 대안이 되기 위해서는 인터넷 조사의 대상자 표본이 기존의 일반 조사 대상자를 대표할 수 있기 위한 보정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