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순 가공 식품재료 활용을 위한 혼합무배생채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및 레시피 기준 설정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imple Preprocessed Food Julienne White Radish and Pear during Storage and Development of a Standard Recipe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1 no.5, 2011년, pp.706 - 712  

박지현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백옥희 ((주)디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단순 가공 식재료 개발의 고부가가치와 국내산 식품재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무생채 원재료인 무와 배를 혼합한 무배생채를 개발하여 저장 중 미생물학적 및 품질특성을 측정하였으며, 매실 소스를 개발하여 레시피 기준 설정을 위한 관능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순가공 과정을 거친 무배생채(SWRP)와 무생채(Control)에 오염된 총호기성균은 무배생채는 $3.20{\pm}0.08$ log CFU/g, 무생채는 $3.00{\pm}0.14$ log CFU/g으로 낮은 수준의 균이 검출되었다. 저장 기간 중 무배생채와 무생채의 총호기성균은 5.00 log CFU/g 미만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대장균 또한 무배생채는 $3.20{\pm}0.08$ log CFU/g, 무생채는 $1.84{\pm}0.17$ log CFU/g으로 낮은 수준의 균이 검출되었다. 효모 및 곰팡이의 경우 무배생채는 저장 기간 중 1.09~2.64 log CFU/g, 무생채의 저장기간 중 2.23~2.76 log CFU/g으로 낮은 수치로 검출되었다. 무배생채의 0일 pH는 5.99~6.09였으며, 무생채의 0일 pH는 5.93~5.96으로 유사한 pH 범위를 보였다. 무배생채의 경우, 3일 이후 유의적으로 pH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무생채는 1일 이후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산도는 pH와 유사한 경향으로 혼합 무배생채의 산도 변화가 적었다. 명도(lightness) 측정 결과, 혼합 무배생채는 3일 이후 명도가 낮아졌으며, 무생채는 저장 5일 이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갈변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적색도(redness)의 경우 혼합 무배생채와 무생채 모두 저장 3일 이후 적색도가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황색도(yellowness)는 적색도와 반대로 혼합 무배생채와 무생채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황색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 기간에 따른 배의 경도는 저장 3일부터 경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무의 경도는 저장 5일부터 경도가 감소하였다(p<0.05). 전반적으로 배가 무보다 경도가 낮았는데, 이는 배가 무에 비해 수분함량이 높고, 배 특유의 조직감이 원인이라 사료된다. 관능적 특성 결과, 맛(taste)과 원재료의 어울림(harmony of ingrediegnt) 그리고 소스의 어울림(harmony of sauce)은 배 30% 첨가군이 가장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전반적인 바람직성(ovrall preference) 역시 배 30%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국내 외식 및 급식업체용 단순가공 식품재료로 무배생채가 이용되는 경우 미생물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고려할 때 무 70%와 배 30%를 혼합한 무배생채를 최대 3일 저장하는 것이 최적의 저장기간으로 바람직하며,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고려할 때 매실소스를 이용한 혼합 무배생채가 관능적 품질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icrobiology of the simple preprocessed food julienne white radish and pear during storage at $4^{\circ}C$ and fordevelopment of a standard recipe. Total aerobic bacteria level were $3.20{\pm}0.08$ log C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Kim & Jang(1998)은 급식 단계에서 숙채류보다 생채류의미생물 오염의 위험성을 보고하였는데, Kim & Jo(2010)은 매실 엑기스 첨가 드레싱의 미생물 분석 연구에서 매실 엑기스를 첨가한 소스는 항균작용과 낮은 pH를 유지하여 미생물 증식을 억제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매실 소스를 개발하여 매실소스와 배합 비율을 달리한 혼합 무배생채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급식 및 외식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소류 메뉴 중 이용 빈도가 높은 무생채를 이용하여 조리 시간 단축과 단순생채메뉴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혼합 식품 재료로 무와 배의 혼합생채 및 양념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혼합생채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및 품질특성을 평가하여 혼합생채의 최적저장기간을 제시하고, 생채의 바람직한 혼합 비율을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외식 및 급식용 식품재료 시장의 성장과 전망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식품재료 산업은 크게 성장하고 있지만, 급식․외식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국내산 단순가공 식품재료 개발과 활용조리법은 활발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국내 외식 및 급식용 식품재료 시장이 2005년 17~18 조원에서 2008년 19~20조원으로 성장하였고, 2010년에는 22~24조원으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Kim et al 2009). 이러한 식품 산업의 발전은 식품 트렌드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단체급식소에도 인건비 절감, 조리시간 단축, 이용의 편리성 등의 이점을 고려하여 상업적으로 전처리된 식품재료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Food news 2001).
무는 어떠한 채소인가? 무(Raphanus sativus L.)는 아시아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근채류이며(Coogan & Wills 2002), 우리나라에서 배추 다음으로 많이 재배하고 소비하는 채소이다(Lee & Kim 2009). 이러한 무를 이용한 한식 중심의 식품재료에 관한 연구는 깍두기, 김치 중심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무배생채의 소스는 매실소스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는데 그 재료는 무엇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는가? 무배생채의 제조를 위하여 무와 배는 안성에 있는 농협에서 구입하였고, 무배생채의 첨가비율은 관능검사를 통하여무 70%, 배 30%의 비율로 선정하였으며, 무배생채의 소스는 매실소스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매실엑기스는 매실(보해, 전라남도 목포)과 설탕(CJ, 경기도)을 구입하여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올리브오일(백설, 경기도), 식초(오뚜기, 경기도), 올리고당(백설, 경기도), 간장(샘표, 경기도), 마늘, 파, 깨소금 (농협, 안성)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매실소스는 예비실험을 통해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비율을 선정하여 관능검사에 이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지옥화, 김미리, 윤화모, 양차범 (1994) 품종별 봄무 및 무김치의 매운성분 함량과 질감특성. 한국식품과학회 심포지움 발표논문집. 김치의 과학. p. 301. 

  2. AOAC (1984) Official Methods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3. Bae YM, Lee SY (2009) Microbial quality of fresh produce in Korea and decontamination technologies. Safe Food 4: 33-39. 

  4. Chang KH, Byun JK (1997) Storage potential differences of apple cultivars caused by various postharvest calcium infiltration methods. J Kor Soc Hort Sci 32: 335-339. 

  5. Cho SD, Yoon SJ, Kim DM, Kim GH (2008) Quality evaluation of fresh-cut lettuc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 Nutr 21: 28-34. 

  6. Choi IL, Jung HJ, Kim IS, Kang HM (2009) Effect of hot water treatments on storability of fresh cut paprika processed by disorder fruits. J Agri Life Sci 21: 1-7. 

  7. Degraeve Z, Roodfooft F (2001) A smarter way to buy. Harvard Business Review 79: 22-23. 

  8. Foodnews (2001) Hourhome?CJ Food system?Everland food. Industry of food ingredient. 

  9. Heo BG, Park YS, Im MH, Korsak T, Kim TC (2010) Effect of anti-browning agent treatment on the quality of pear "Chuhwangbae" processed fresh-cut. J Life Sci & Nat Res 32: 1-11. 

  10. Hong SP (1999) The assessment of recycling of garbage discharged from primary schools in Seoul.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8: 65-71. 

  11. Kim GR, Jang MS (1998) Microbiological quality and change in vitamin C contents of vegetables prepared at industrial foodservice institutions in Kumi. J Korean Diet Assoc 4: 263-269. 

  12. Kim HY, Jo HA (2010) Evaluation of microbial quality of the vegetable salad used dressing added with Prunus mume extracts. Korean J Food & Nutri 23: 240-246. 

  13. Kim SI, Park JN, Cho WJ, Song BS, Kim JH, Byun MW, Sohn HS, Lee JW (2009) Microbiolog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Musaengchar (Radish salad) with gamma-irradiated red pepper powder added prior to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6: 160-165. 

  14. Kim SY, Lee JH, Choi JH (2010) Consumers' purchasing patterns and preferences of the processed food products made from domestic ingredients. Korean Journal of Food Marketing Economics 27: 1-17. 

  15. Lee HO, Kim JY, Yoon DH, Cha HS, Kim GH, Kim BS (2009) Microbial contamination in a fresh-cut onion processing facility. Korean J Food Preserv 16: 567-572. 

  16. Lee JH, Kim HJ (2009) Vacuum drying kinetics of Asian white radish (Raphanus sativus L.) slices original research article. J Food Sci & Tech 42: 180-186. 

  17. Coogan RC, Willis RBH (2002) Effect of drying and salting on the flavour compound of Asian white radish. Food Chemistry 77: 305-307. 

  18. Solberg M, Bucklew JJ, Chen CM, Schaffner DW, O'Neil K, McDowell J, Post LS, Boderck M (1990) Microbiological safety assurance system for foodservice facilities. J Food Technol 44: 68-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