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석 전파 특성을 활용한 한강하구 주요 수로의 지형학적 수렴과 바닥 마찰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ical Convergence and Bottom Friction at the Major Waterways in Han River Estuary using the Tidal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3 no.5, 2011년, pp.383 - 392  

윤병일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우승범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기만 해역에 위치한 한강하구역은 연안개발 압력이 지속적으로 대두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하구 순환 흐름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가 충분히 수행되지 못하였다. 한강하구의 해양학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이 지역의 가장 큰 외력 조건인 조석의 전파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석 관측 자료와 수치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한강하구의 주요 수로별 조석 전파 특성을 분석하였다. 각 수로의 조석 전파 특성은 hyper-synchronous 형태를 보여주었으며, 각 수로에서의 조석 전파 특성은 수로 형태의 지형학적 수렴정도와 마찰에 의해서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적인 수로에서 수렴 항과 마찰 항의 균형 정도를 비교하는 해석 해를 분석한 결과는 각 물리적 인자의 영향 정도가 주요 수로 별로 차이가 나타남을 보여주었으며, 염하수로에서 수렴 항 대비 마찰 항의 비율이 석모수로 보다 약 4배 정도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으로 염하수로에서 최대 진폭이 나타나는 위치는 석모수로에 비하여 하류에서 나타났으며, 정점 간의 단위 거리당 진폭 감소 비율과 위상의 증가율이 석모수로에 비하여 염하수로에서 크게 나타났다. 조석 전파 특성을 활용하여 한강하구 주요 수로를 분류하면 모든 수로에서 hyper-synchronous 형태를 보여주지만, 상대적으로 염하수로는 마찰의 영향이 석모수로에 비하여 크게 나타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asic research of the estuarine circulation at Gyeong-Gi bay has not been well studied up to now, although coastal development pressure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ed. To understand the oceanographic phenomena at the Han River estuary, it'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propagation characteri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최대 진폭이 발생하는 위치 이후에 급격하게 진폭과 위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각 수로에서 hyper-synchronous 형태가 나타나는 이유를 수치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경기만 한강하구 지역의 조석전파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관측 자료와 수치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경기만 지역은 크게 3개의 주 수로와 3개의 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차가 크고 조간대가 넓게 발달되어 있어서 독특한 해수 순환 특성을 보여준다.
  • 경기만 한강하구 지역은 주요 수로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볼 수 있으므로 조석 전파 특성을 하구 전체에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특성으로 판단하기 보다는 각 주요 수로의 전파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앞서 제시한 다양한 문제의 해결에 보다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 수로별 전파 특성을 조석 관측자료, 수치모델 결과 그리고 지형적 영향과 바닥마찰의 정도를 고려한 해석해 방법을 통해서 정량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진폭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M2 분조의 진폭과 위상 값을 이용하여 조석 전파 특성을 연구하였다. 각 수로를 따라서 M2 분조의 진폭은 하구로 진입하면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특정 지점에서 최대 진폭 값을 보인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Fig.

가설 설정

  • 8의 M4/M2 진폭 비율의 결과에서 한강하구를 구성하는 수로는 Savenije(2005a)가 제시한 이상적인 깔대기 모양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식 (2)의 해석해가 적용이 가능하며, 하구 상류로 진입하면서 지수적으로 단면적이 변한다는 가정을 할 수 있다. 상류방향으로 X 방향이 증가하고, X = 0에서의 단면적, 수로 폭 그리고 수심을 A0, B0와 h0으로 각각 정의 하면 식 (3), 식 (4) 그리고 식(5)와 같이 표현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기만의 담수는 대부분 어디로부터 유입되는가? , 2002; 윤, 2006; 정, 2007). 대부분의 담수는 한강으로부터 유입되며 연중 70% 이상이 6월부터 9월까지의 장마기간에 집중된다. 한강의 담수 유입 정도는 연평균 약 408 m3/s 정도이며, 유역 면적 비에 의해 계산된 예성강, 임진강 그리고 한강의 평균 유량비율은 1 : 2 : 6 정도이다(임, 1999).
경기만의 대조차 특성은? 한강하구가 위치하는 경기만(Fig. 1)은 반 폐쇄성 연안 하구역으로서 7.9 m 평균대조차와 3.5 m의 평균소조차의 대조차 특성이 나타난다. 큰 조차로 인하여 넓은 조간대가 발달해 있으며, 복잡한 해수순환 특성을 보인다(김, 1990; 김, 1997; Park et al.
지형적 원인과 마찰의 다양한 조건에서 조석전파 특성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는? 많은 연구자들이 지형적 원인과 마찰의 다양한 조건에서 조석전파 특성을 연구하였다(Hunt, 1964; Ippen and Harleman, 1966; Jay, 1991; Speer and Aubrey, 1985; Lanzoni and Seminara, 1998; Savenije, 2005a). Hunt(1964)는 처음으로 수렴 정도가 강한 수로에서 마찰의 영향에 의한 조석전파 변화를 제시하였다. 하구에서 조석전파는 마찰 조건하에서 입사파와 반사파의 중첩효과로 나타나며, 정상파와 진행파의 형태로 설명할 수 있다(Ippen and Harleman, 1966). Jay(1991)은 변형된 Green’law 해석해를 이용하여 지수적으로 변하는 수심과 폭의 수로에서 반사파가 없는 단일 입사파 조건에서도 정상파 형태의 조석 전파 특성을 보여주 었다. Friedrichs and Aubrey(1994)도 단방향 진행파의 진폭이 수렴하는 수로에서 지형학 영향에 인해서 증가되고, 마찰 때문에 감소되는 것을 제시하였다.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하구 조건에서, 여러 방법으로, 수로의 지형학적 형태를 고려한 영향과 바닥마찰의 상호 작용에 의한 균형 정도를 통해서 하구를 분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국립해양조사원 (2002). 한강임진강 유역에 대한 조위 영향 연구. 

  2. 김영택 (1990). 한강하구 및 경기만에서의 물리학적 특성.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3. 김홍선 (1997). 경기만 에서의 해수 유동과 염분 분포에 대한 수치모델링.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4. 서승원 (2011). 서해연안 상세해상을 통한 천해조석 및 조석비대칭 재현.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23(4), 313-325. 

  5. 서승원, 박원경 (1996). 조간대 모의를 위한 2차원 유한요소해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8(1), 103-113. 

  6. 윤병일 (2006). 경기만 한강하구 조석/조류 전파 특성 및 비선형 천해분조에 대한 수치모델링.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7. 윤병일, 우승범 (2011). 한강하구 염하수로의 대소조기에 따른 순수송량 변동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심사중). 

  8.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기술연구소 (2003). 창후항 박지보수 및 창후리 교동간 항로보수를 위한 준설관련 해양조사 보고서. 

  9. 임효혁 (1999). 경기만에서의 수치모델링을 이용한 한강수 유입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0. 정정호 (2007). 3차원 수치모델을 이용한 경기만 해수의 시공간적인 수리학적 거동과 환경조건 변화에 대한 예측 모델링 연구. 박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11. Blumberg, A.F. and Mellor, G.L. (1987). A description of a threedimensional coastal ocean circulation model, in Three-Dimensional Coastal Ocean Models (Ed : N. Heaps) AGU, Washington, D. C, 1-16. 

  12. Dronker, J. (1986). Tidal asymmetry and estuarine morphology. Netherlands Journal of Sea Research, 20(2), 117-131. 

  13. Dyer, K.R. (1997). Chapter 3 Tides in Estuaries Estuaries: A Physical Introduction 2nd Edition (Ed: Dyer, K.R.) John Wiley & Sons Ltd, 195pp. 

  14. Friedrichs, C.T. and Aubrey, D.G. (1988). Non-linear tidal distortion in shallow well-mixed estuaries: A synthesis, Estuar. Coast. Shelf Sci., 27, 521-545. 

  15. Friedrichs, C.T. and Aubrey, D.G. (1994). Tidal propagation in strongly convergent channel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9 C2: 3321-3336. 

  16. Godin, G. (1999). The propagation of tides up rivers with special considerations on the upper Saint Lawrence River, Estuar. Coast. Shelf Sci., 48, 307-324. 

  17. Hamrick, J.M. (1992).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mputer code: Theoretical and computational aspects. The College of William and Mary, Virginia Institute of Marine Science, Special Report 317, 63 pp 

  18. Horrevoets, A.C., Savenije, H.H.G., Schuurman, J.N., Graas, S. (2004). The inuence of river discharge on tidal damping in alluvial estuaries. Journal of Hydrology 294, 213-228 

  19. Hunt, J.N. (1964). Tidal oscillations in estuaries. Geophys. J. R. Astron. Soc. 8, 440-455. 

  20. Ippen, A.T. and Harleman, D.R.F. (1966). Tidal Dynamics in Estuaries: Estuary and Coastline Hydrodynamics (Ed: Ippen, A.T.) McGraw-Hill, New York, 493-545. 

  21. Jay, D.A. (1991). Green's law revisited: tidal long-wave propagation in channels with strong topography. J. Geophys. Res., 96 C11: 20585-20598. 

  22. Lane, A. (2004). Bathymetric evolution of the Mersey Estuary, UK, 1906-1997: causes and effects. Estuar. Coast. Shelf Sci., 59, 249-263. 

  23. Lanzoni, S. and Seminara, G. (1998). On tide propagation in convergent estuaries, J. Geophys. Res., 103, 30,793-30,812. 

  24. Park, K., J.H. Oh, H.S. Kim and Im, H.H. (2002). Case study: Mass Transport Mechanism in Kyunggi Bay around Han River Mouth.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28(3), 257-267. 

  25. Parker, B.B. (1991).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various nonlinear mechanism in a wide range of tidal interaction (review): Tidal hydrodynamics. John Wiley & Sons Ltd, 237-268. 

  26. Pugh, D.T. (1987). Tides, surges and mean sea-level: a handbook for engineers and scientists. Wiley, Chichester, 472pp. 

  27. Savenije, H.H.G. (2005a). Salinity and Tides in Alluvial Estuaries, Elsevier, Amsterdam, 197pp. 

  28. Savenije, H.H.G. and Veling, E.J.M. (2005b). Relation between tidal damping and wave celerity in estuaries, J. Geophys. Res., 110, C04007, 1-10. 

  29. Speer, P.E. and Aubrey, D.G. (1985). Non-linear Tidal Propagation in Shallow Inlet/Estuarine Systems Part II : Theory. Estuar. Coast. Shelf Sci., 21, 207-2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