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20 no.1, 2011년, pp.81 - 91
최성우 (계명대학교 환경과학과) , 이중범 (계명대학교 환경과학과)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are very important facilities to manage urban air pollution control and to set up an environmental policy. Since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 of Daegu was allocated from 1980s to mid-90s, there is need to reevaluate it and relocated its site. This study was evaluat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Jung, 2000에 따르면, 대기오염자동측정망의 결과는 무엇으로 활용되고 있는가? | 대기오염자동측정망의 결과는 대기오염경보체계의 운영, 대기오염 방지대책수립과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 환경기준 달성여부의 판단 및 감시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Jung, 2000). 따라서 대기오염측정망의 적절한 배치와 운영은 지역 대기질 관리에 매우중요하다. | |
본 논문에 따르면, 대구지역 대기자동측정망의 실태는 어떠한가? | 대구시의 측정망은 대명동 측정망이 1981년에 설치가 되었으며 나머지 측정망은 1980년대에서 1990년대 중반에 설치가 되었다. 도시화 등으로 인하여 측정소 주변으로 건물 등이 밀집되어 최초설치 당시와 다른 주변 환경을 가지게 되는 지점이 증가하고 있다(Kim 등, 2009). 현재 특정지구에 대규모 주거단지가 조성되어진 것과 같이 지역의 성격이 설치당시와 다르게 변화 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대기측정망 기본계획 2006-2010년 도심 및 도로변 대기측정망설치기준을 살펴보면 측정소간 간격은 4 km이상을 유지하여야 하나 대구지역 일부 측정소의 경우 반경 4 km내외에 위치하여 중복성문제가 대두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과거 10년 동안 대구지역의 도심성장 및 특정지역의 인구편중을 고려해 볼 때 인구수 성장을 고려한 자동측정망의 위치 타당성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 |
대기오염측정망 재배치를 위한 선행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 대기오염측정망 재배치를 위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Munn(1981)은 기존의 측정망의 적합성 평가 방법으로 통계적 배치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복잡한 지형에서의 보전성 대기오염물질의 확산특성 해석을 위해 Park과 Park(1998)은 누적반분산기법을 적용하였다. 그 밖에 Kao와 Hsieh(2006)는 의사결정시스템을 통해 대기오염측정망을 배치한 사례가 있고 Oh와Kwon(2001)은 GIS를 기반으로 전산체제화한 다기준평가법을 사용하였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통계적 분석법 및 모델링기법을 기반으로 자동측정망을 배치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인구와 오염물질의 발생량, 예측농도 및 측정소간 이격거리를 동시에 고려하며, 오분위수 개념을 도입하여 자동측정망의 위치의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대구시, 2008, 제48회 대구통계연보.
정장표, 2000, 환경오염물질의 시공간적 특성평가시스템개발, 2000년도 산학연 컴소시엄 연구개발보고서, 경성대학교 산학연 컴소시엄센터.
환경부, 2005, 2006-2010 대기오염측정망 기본 계획.
Inyang, H. I., Fisher, G. F., Mnamalu, G. E., 2003, A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indexing environntal sensitivity and pollution potential, Environ. Monit. Assess., 84, 159-173.
Kao, J. J., Hsieh, M. R., 2006, Utilizing multi objective analysis to determine an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ing an industrial district, Atmos. Environ., 40 1092-1103.
Kim, Y. S., Son, J. E., 1992, Modeling of SO2 distributions in the seoul area by using ISCLT, J. KAPRA., 8(2), 128-137.
Kim, M. K., Lee, H. W., Dou, W. D., Jung, W. S., 2009, An analysis of wind field around the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 in the urban area by using the Envimet Model, J. Environ. Sci., 18(9), 941-952.
Munn, R. E., 1981, The design of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Macmillan Publishers Ltd., London.
Oh, K. S., Kwon, O. K., 2001, Developing a Multi-Criteria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MC-SDSS) for analyzing the suitability of waste landfill sites, J. GISAK., 9(2), 227-238.
Park, O. H., Park, S. Y., 1998, Application of semi-variogram and cumulative semi-variogram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dispersion, J. KSEE., 20(1), 67-82.
Park, O. H., Shin, J. Y., Seok, M. G., 2007, Improvement of atmospheric pollution prediction in coastal area using a "GIS-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to be published.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