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갓 이유한 3주령의 어린 흰쥐에게 일반조제유, 미숙아용조제유, 모유강화제(HMF)를 보충한 조제유를 급여하여, 분유의 종류에 따라 성장과 영양상태 및 생리기능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일반조제유에 HMF를 첨가하여 급여한 경우와 미숙아용조제유를 급여한 경우가 일반조제유 섭취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식이는 매일유업주식회사 제품인 일반조제유(프리미엄명작-1; 분말), 미숙아용조제유(베이비웰 프리미; 분말), 모유강화제(베이비웰 에이치엠에프(HMF); 액상)를 사용하였다. 일반조제유군에게는 프리미엄 명작-1에 증류수 13%를, 미숙아용조제유에게는 베이비웰프리미에 증류수 14%를, 그리고 조제유+HMF군에게는 프리미엄명작-1에 HMF를 14% 첨가하여 반고형식으로 실험식이를 만들어 3주 동안 급여하였다.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은 미숙아용조제유군과 HMF보충군이 일반조제유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간, 신장, 비장의 체중에 대한 장기 중량 비는 군간 차이가 없었으나, 신장 주변지방과 부고환지방은 미숙아용조제유군과 HMF보충군이 일반조제유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혈청의 총 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은 실험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반면 혈청의 중성지방은 미숙아용조제유군이 식이 중 지방함량의 영향을 받아 다른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간 조직의 총 지질은 식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혈청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은 미숙아용조제유군과 HMF보충군이 일반조제유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분 중 총 지질과 중성지방 배설량은 미숙아용조제유군이 나머지 두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분 중 총 콜레스테롤 배설량은 미숙아용조제유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일반조제유군이 HMF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혈청 생화학 지표에서는 albumin과 total protein이 미숙아용조제유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GOT는 군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GPT는 HMF보충군에서 증가하였다. BUN은 일반조제유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혈중 칼슘 농도는 미숙아용조제유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혈액의 헤모글로빈 농도는 미숙아용조제유군과 HMF보충군이 일반조제유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혈청의 성장호르몬 농도는 미숙아용 조제유군이 일반조제유군과 HMF보충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human milk fortifier (HMF) on growth and nutritional status in growing rats fed infant formula supplemented with HMF. Three week-ol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fed regular formula (RF), premature formula (PF) and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국내에서도 모유강화제가 시판되고 있으나 그의 안전성 및 효과에 관하여 시행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실험은 갓 이유한 어린 흰쥐를 이용하여 일반 조제분유와 미숙아 전용분유, 모유강화제를 첨가한 조제분유를 급여한 후, HMF가 성장기 동물의 성장과 영양 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분석하고, 그 안전성을 시험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갓 이유한 3주령의 어린 흰쥐에게 일반조 제유, 미숙아용조제유, 모유강화제(HMF)를 보충한 조제유를 급여하여, 분유의 종류에 따라 성장과 영양상태 및 생리 기능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일반조제유에 HMF를 첨가하여 급여한 경우와 미숙아용조제유를 급여한 경우가 일반조제유 섭취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갓 이유한 3주령의 어린 흰쥐에게 일반조 제유, 미숙아용조제유, 모유강화제(HMF)를 보충한 조제유를 급여하여, 분유의 종류에 따라 성장과 영양상태 및 생리 기능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일반조제유에 HMF를 첨가하여 급여한 경우와 미숙아용조제유를 급여한 경우가 일반조제유 섭취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식이는 매일유업주식회사 제품인 일반조제유(프리미엄명작-1; 분말), 미숙아용조제유(베이비웰 프리미; 분말), 모유강화제(베이비웰 에이치엠에프(HMF); 액상)를 사용하였다.

가설 설정

  • 4)Values are mean±SE (standard error) of 8 rats per grou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아에게 모유 수유가 권장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모유는 영아기의 완전식품으로, 영양성분의 우수성 이외에도 항염증(anti-inflammation) 효과 및 면역력 증진 등의 여러 가지 이점 때문에 영아에게 모유 수유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1,2). 특히, 미숙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모유수유가 미숙아의 괴사성 대장염, 미숙 망막증, 패혈증과 같은 합병증이나 수유 곤란증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3).
미숙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모유 수유는 어떤 효과가 있다고 하였는가? 모유는 영아기의 완전식품으로, 영양성분의 우수성 이외에도 항염증(anti-inflammation) 효과 및 면역력 증진 등의 여러 가지 이점 때문에 영아에게 모유 수유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1,2). 특히, 미숙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모유수유가 미숙아의 괴사성 대장염, 미숙 망막증, 패혈증과 같은 합병증이나 수유 곤란증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유가 미숙아들의 적절한 성장을 유도하기에 열량 및 영양소 등 영양학적인 면에서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시됨에 따라 미숙아전용 조제분유가 시판되고 있다(4,5).
미숙아전용 조제분유가 시판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미숙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모유수유가 미숙아의 괴사성 대장염, 미숙 망막증, 패혈증과 같은 합병증이나 수유 곤란증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유가 미숙아들의 적절한 성장을 유도하기에 열량 및 영양소 등 영양학적인 면에서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시됨에 따라 미숙아전용 조제분유가 시판되고 있다(4,5). 그러나 모유수유를 원하는 수유부의 경우, 미숙아에게 부족한 영양소를 강화제를 통해 보충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1980년대 이후로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이 보강된 모유강화제(human milk fortifier; HMF)가 개발되어 사용 중에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Lee YS, Lim HS, An HS, Chang NS. 2006.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 Kyomunsa, Paju, Korea. p 123-138. 

  2. Goldman AS. 1993. The immune system of human milk: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d immunomodulating properties. Pediatr Infect Dis J 12: 664-671. 

  3. Heller CD, O’Shea M, Yao Q, Langer J, Ehrenkranz RA, 

  4. Henderson G, Anthony MY, McGuire W. 2001. Formula milk versus term human milk for feeding preterm or low birth weight infants (review).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ic Review 3: 1-53. 

  5. Kashyap S, Schulze KF, Forsyth M, Dell RB, Ramakrishnan R, Heird WC. 1990. Growth, nutrient retention, and metabolic response of low-birth-weight infants fed supple mented and unsupplemented preterm human milk. Am J Clin Nutr 52: 254-262. 

  6. Lee SJ. 1996. Special infant formula. Korean J Pediatr 39: 

  7. Modanlou HD, Lim MO, Hansen JW, Sickles V. 1986. 

  8. Berseth CL, Van Aerde JE, Gross S, Stolz SI, Harris CL, 

  9. Hawthorn KM, Abrams SA. 2004. Safety and efficacy of human milk fortification for very-low-birthweight infants. 

  10. Frings CS, Dunn RT. 1970. A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otal serum lipids based on the sulfo-phospho-vanillin reaction. Am J Clin Pathol 53: 89-91. 

  11. Folch J, Lees M, Sloane 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J Biol Chem 226: 497-509. 

  12. Chueh HW, Kim MJ, Lee YA, Jung JA. 2008. Growth and clinical efficacy of fortified human milk and premature formula o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Korean J Pediatr 

  13. Maggio L, Costa S, Gallini F. 2009. Human milk fortifier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Early Hum Dev 85: S59-61. 

  14. Nagy S, Bhatia J. 2005. Nutrition support of the critically ill patient (a guide to practice). CRC Press Taylor&Francis Group, Abingdon, United Kingdom. p 376. 

  15. Rigo J, Senterre J. 2006. Nutritional needs of premature infants: current issues. J Pediatr 149: 80-88. 

  16. Kang BH, Son HY, Ha CS, Lee HS, Song SW. 1995. Reference values of hematology and serum chemistry in Ktc: Sprague-Dawley Rats. Korean J Lab Ani Sci 11: 141-145. 

  17. Ko MK, Kwon TW, Song YS. 1998. Effects of yellow and black soybeans on plasma and hepatic lipid composition and fecal lipid excretion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8. Park JH, Park MN, Kim YK, Kim WS, Lee YS. 2010. Effects of soy protein, its hydrolysate and peptide fraction on lipid metabolism and appetite-related hormones in rats. Korean 

  19. Lee YJ, Park SE, Park JH. 2004. The effect of parenteral nutrition an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the early neonatal period on bone mineralization at the time of reaching 

  20. Kim HS. 2007. Calcium and phosphate metabolism and disorders in the newborn. Korean J Pediatr 50: 230-235. 

  21. Rat Growth Hormone (GH) ELISA Kit PDS by Shibayagi Co., Ltd. 2009. http://www.shibayagi.co.jp/en/product_003_02.html 

  22. Butte NF, Garza C, Johnson CA, Smith EO, Nichols B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