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접 반사형 LED 조명기구의 반사판 형태에 따른 배광형태 및 조명환경 변화 분석
Analysis of the Change of Intensity Distribution and Luminous Environment by Reflector Shape in Indirect Reflected LED Luminaires 원문보기

照明·電氣設備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25 no.1, 2011년, pp.9 - 17  

김유신 (세종대학교 건축공학과) ,  최안섭 (세종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velopment of high efficiency and eco-friendly LED source has been progressed continuously. Also, by nation's regulations, public institutions have changed existing luminaires to LED luminaires. However, there are several differences between existing luminaires and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g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광학설계 시뮬레이션에 의해 도출된 배광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명설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조명설계 시뮬레이션 조건은 다음 표 4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반사판의 형태와 높이에 따른 간접반사형 LED 조명기구와 간접 반사형 형광램프 조명기구의 배광형태와 그에 따른 조명환경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간접 반사형 LED 조명기구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반사판 형태에 알맞은 반사판 높이의 도출이 함께 필요하며, LED 램프의 광효율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현재 간접 반사형 형광램프 조명기구를 대신하여 간접 간접형 LED 조명기구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hotopia란? 이 중 조명기구의 광학설계를 위한소프트웨어로는 Photopia가 대표적이다. Photopia는광선추적기법(Raytracing)을 기반으로 하며, 조명기구의 배광분포를 3차원으로 분석하고, 광학설계하는소프트웨어이다[8]. Photopia를 이용하여 광학설계를하기 위해서는 조명기구의 광학적 형상(3D CAD 모델링)과 광원의 종류 및 위치, 그리고 광학부품 재질의광학적 특성(반사율, 투과율, 굴절률 등)등의 설정이필요하다.
LED 램프의 장점은? LED 램프는 기존 형광램프나 백열램프와 달리 집속성이 강하고 휘도가 높은 광특성을 지니며, 램프의크기와 광량이 작아 다수의 LED 소자의 모듈화를 통해 조명기구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존 광원과 다른 LED 램프의 광특성 때문에 평면 LED 조명기구는 기존의 일반적인 조명기구와 동일한 방법으로광학부품의 광학설계를 통해서는 목표배광을 얻기 힘들다.
조명기구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공간 성격에 따라 적합한 배광형태의 조명기구가 적용되어야 하는 이유는? “램버션” 배광형태의 평면 LED 조명기구를 “배트윙” 배광형태의 형광램프 조명기구가 설치되었던 기존 공간에 설치할 경우, 조명환경의 질적인 측면이나에너지 효율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조명기구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공간의 용도 및 성격에 따라 적합한 배광형태의 조명기구가 적용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지연 외 3, 초고층건물의 조명에너지절약을 위한 BIPV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7. 04. 

  2. EU 집행위원회, EU 전기전자제품 유해물질제한지침(RoHS), 무역.환경 정보네트워크, 2006. 

  3. 신성장동력기획단 홈페이지(http://nge.itfind.or.kr/). 

  4. 저탄소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문화 전략, 문화체육관광부 미래문화기획단, 2009. 

  5. 21세기 새빛 프로젝트 - ‘서울광원의 LED 교체 기본계획 및 LED 테스트베드 설치.운영 계획’, 맑은환경본부, 2009. 

  6. 행정안전부 홈페이지(http://www.mopas.go.kr). 

  7. 지철근, 조명원론, 문운당, 1996. 

  8. Photopia 2.0, User's Guide. 

  9. 김유신 외 3, 조명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의 적하한 사용을 위한 기초적 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21권 제8호, 2007. 09. 

  10. Relux 홈페이지(http://www.relux.biz/). 

  11. 최안섭, 조명시스템의 불쾌현휘 평가방법 비교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v.17 n.6, 2001. 06. 

  12. CIE(1995), Discomfort Glare in Interior Lighting, Vienna, 

  13.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실내조명의 불쾌글레어 평가를 위한 UGR,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규격, 2009. 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