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전체 장벽 방전을 이용한 오존 발생기의 전원장치 최적 설계 및 비교
The Design of a Power Supply for Planer Type of th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Ozone Reactor with Impedance Matching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4 no.1, 2011년, pp.57 - 63  

김봉석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  신영철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  고광철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reactor with sinsodual AC type of power supply is very widely adopted for its compact size and effective discharging mechanism to generate high density of ozone radicals. However, at the aspect of design on power supply, its optimal switching conditions and topolo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은 인가 전압의 크기가 정해진 DBD반응기 (반응기 내부 gap distance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의 면적 변화 또는 병렬 연결 운용시 기존의 최적화된 전원 장치를 재설계 및 추가 제작 단계를 간소화하기 위하여 DBD전원과 DBD 반응기 간의 임피던스 매칭 및 운전 조건 변화를 용이하게 하여 인가전압 대비 DBD 반응기 내부로 인가되는 방전전류 극대화 방법에 관련하여 기술하였다.
  • 논문에서 제안한 공진형 상용 DBD 전원 장치는 E class type 과 flying capacitor를 사용한 멀티레벨 LC타입 공진형 인버터로 부하의 임피던스 매칭 조건의 유지 이외에 추가적으로 스위칭 손실 및 동작 주파수 영역의 확대에도 목적을 두고 있다.
  • 그림 5는 방전 전후의 steady state discharging phase를 기술하기 위한 DBD 반응기의 회로 모델링이다. 본 연구는 방전 직전과 방전 이후의 안정 방전 상태에서의 임피던스 변화량을 기준으로 하여 DBD 전원 장치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과도 상태 동안 DBD 반응기에서 가장 크게 변화하는 회로 정수 값인 Cg에서 Cs, Cs2 및 Cp 조합으로의 커패시턴스 변화 및 과도 방전 상태에서 안정 방전 상태로 전이 시 나타나는 레지스턴스 변화를 계산해야 한다. 위에 기술한 과도상태에서 커패시턴스 및 레지스턴스 변화량을 기술하기 위해 black box를 넣어 새롭게 DBD 반응기 모델링을 개선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오존 발생용 DBD 전원 장치 중 전원 장치에서 DBD 반응기로의 효과적인 방전 에너지 공급 및 DBD반응기의 운전 변동 시 DBD 전원 장치의 개선 및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정현 입력 전압을 사용하는 DBD 전원 장치는 특정 공진 주파수에서 오존 발생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DBD의 전원 장치와 DBD 반응기의 임피던스 매칭을 방전 전후에 유지시켜 인가 전압 대비 DBD 반응기에 흐르는 전류를 최대로 맞춰주고자 DBD 반응기의 임피던스 및 전원 장치의 임피던스를 평가하기 위한 모델링을 1차적으로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BD전원과 DBD반응기의 임피던스 매칭이 가장 큰 전원 장치의 설계 변수로 잡힌 이유는? DBD전원과 DBD반응기의 임피던스 매칭을 가장 큰 전원 장치의 설계 변수로 잡은 이유는 1-100kHz의 동작 주파수 영역을 지니는 AC전원 인가형 DBD 전원의 경우, DBD 반응기와 고주파 변압기의 2차측 임피던스 값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존재하여 이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오존 발생량이 최대로 나타나는 특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DBD반응기의 임피던스 특성 및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 첫 번째로 2-port circuit matrix (2단자쌍 회로망 해석법)를 이용한 전기 모델링을 통하여 DBD 반응기에서 방전 개시 전/후의 임피던스 변화를 DBD 반응기 및 DBD 반응기 내부의 회로 모델링을 통하여 예측하였다.
기본 DBD 전원 장치 특성은 무엇에 따라 결정되는가? 이는 DBD에 있어서 전원 장치의 가장 중요한 설계 파라미터인 인가 전압의 크기, 인가 전압의 파형, 동작 주파수, 소모 전력, duty rate 등이 DBD 반응기의 형태 및 DBD 환경에 대해 매우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기본 DBD 전원 장치 특성은 DBD 반응기의 크기, 주입가스의 압력, 반응기 내부 패스의 형상, 전극간의 거리, 유전체의 종류, DBD 반응기 내부의 방전 전후의 회로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게다가, DBD를 사용한 오존 발생 장치들은 안정상의 이유 및 상압의 기체 방전 특성으로 인하여 직접적으로 DBD 반응기 내부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DBD용 전원장치의 설계 및 제작은 인가 전압/전류의 크기 및 입력 전력 대비 오존 발생량을 점차 개선하는 방향으로 수행되고 있다.
DBD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DBD 반응기의 형태는 크게 실린더 타입과 평판 타입이 있는데 그 특징은? DBD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DBD 반응기의 형태는 크게 실린더 타입과 평판 타입이 사용된다. 실린더 타입의 DBD 반응기의 경우 DBD 반응기의 유전체 및 반응기를 비교적 쉽게 조정 가능하기 때문에 방전 전압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하지만, 단일 실린더 타입 DBD 반응기는 많은 오존을 발생시키기에는 방전 면적이 작기 때문에, 평판 타입의 DBD 반응기가 동일 크기의 반응 면적에 있어서 비교적 오존 발생 측면에 있어서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J. Lam, and P. K. Jain, IEEE PESC' 06 Conference, (Jeju, Korea, 2006) p. 1. 

  2. J. M. Alonso, J. Garcia, A. J. Calleja, J. Ribas, and J. Cardesin, IEEE Trans. Ind. Appl, 41, 1364 (2005). 

  3. K. Yan, T. Yamamoto, S. Kanazawa, T. Ohkubo, Y. Nomoto, and J. C. Chang, IEEE Trans. Ind. Appl., 37, 1499 (2001). 

  4. J. S. Chang, K. Urashima and M. Arquilla, T Ito, Combust. Sci. and Tech., 133, 31 (1998). 

  5. J. Park, I. Hennins, H. W. Herrmann, G. S. Selwyn, J. Y. Jeong, R. F. Hicks, D. Shim, and C. S. Chang, Appl. Phys. Lett., 76, 288 (2000). 

  6. B. Eliasson, and U. Kogelschatz, IEEE Trans. Plasma Sci., 19, 309 (1991). 

  7. K. Yoshinaga, S. Okada, D. Wang, T. Namihira, S. Katsuki, and H. Akiyama, the 2nd Euro-Asian Pulsed Power Conference, (Vilnius, Lithuania, 2008) p. 1050. 

  8. Marian Kazimierczuk, IEEE Journal of Solid state circuit, SC-18, 214 (1983). 

  9. M. Weber, T. Nitsch, S. Clutterbuck and G. Lindsay, University of Victoria, July 28,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