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보성-화순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질집단별 지구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n Geological Groups of Stream Sediment in the Boseong-Hwasun Area,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2 no.7, 2011년, pp.707 - 718  

박영석 (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김종균 (조선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성-화순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질집단별 자연배경치와 지구화학적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1차 수계를 따라 하상퇴적물시료 186개를 채취하였고, 실험실에서 자연건조 시킨 후, XRF, ICP-AES, NAA분석을 실시하였다. 하상퇴적물의 지질집단별 자연배경치와 지구화학적 특성을 알기 위해, 시료를 화강암질편마암(GGn)지역과 반상변정질편마암(PGn)지역으로 분리하였다. 화강암질편마암지역의 주성분원소 함량은 $SiO_2$ 45.5-73.09 wt.%, $Al_2O_3$ 12-20.76 wt.%, $Fe_2O_3$(T) 3.72-8.85 wt.%, $K_2O$ 2.38-4.2 wt.%, MgO 0.75-2.77 wt.%, $Na_2O$ 0.78-1.88 wt.%, CaO 0.27-2.1 wt.%, $TiO_2$ 0.56-1.72 wt.%, $P_2O_5$ 0.06-0.73 wt.% and MnO 0.03-0.95 wt.%이고 반상변정질편마암지역의 주성분원소 함량은 $SiO_2$ 43.74-70.71 wt.%, $Al_2O_3$ 11.54-25.05 wt.%, $Fe_2O_3$(T) 3.44-13.46 wt.%, $K_2O$ 2.08-3.86 wt.%, MgO 0.65-2.99 wt.%, $Na_2O$ 0.63-1.7 wt.%, CaO 0.35-2.07 wt.%, $TiO_2$ 0.68-4.17wt.%, $P_2O_5$ 0.1-0.31 wt.% and MnO 0.07-0.33 wt.%이다. 화강암질편마암지역 하상퇴적물의 위해원소 함량은 크롬 41.7-242 ppm, 코발트 7.6-25.1 ppm, 니켈 12-61 ppm, 구리 10-47 ppm, 아연 48.5-412 ppm, 납 17-215 ppm이고 반상변정질편마암지역은 크롬 29.6-454 ppm, 코발트 5.9-53.7 ppm, 니켈 8.7-287 ppm, 구리 6.4-134 ppm, 아연 43.6-370 ppm, 납 15-37 ppm이다. 화강암질편마암지역에서 크롬은 MgO와 코발트는 $Al_2O_3$, $Fe_2O_3$(T), MgO와 니켈은 $Fe_2O_3$(T), CaO, MgO와 높은 상관성을 가지나, 구리, 아연, 납은 비교적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반상변정질편마암지역에서 일반적으로 크롬, 코발트, 니켈, 구리는 주성분원소와 대부분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아연과 납은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y the natural background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n geological groups of stream sediment in the Boseong-Hwasun area. We collected 186ea stream sediment samples along the primary channels and dried them naturally in laboratory. The contents of major,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에서는 1:50,000 복내 지형도폭지역 하상 퇴적물에 대해, 1:50,000 보성 지질도폭(황인전과 정창형, 1968), 복내 지질도폭(이상만과 김형식, 1966)과 야외조사를 통해 분포 면적이 넓은 대표적인 두 개의 지질집단으로 분류하여, 기존의 전라남도 지구 화학 지도책(신성천 외, 2001)에서의 광역적인 지구 화학 보다 더 세밀하게 지질집단별 주성분원소, 미량 성분원소 및 희토류원소에 대한 함량특성과 위해원소들에 대한 특성을 규명하여, 추후 이들 지역에 오염이 발생했을 때 필요한 기준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환경에서의 암석은 어떤 영향을 받는가? 지구환경에서 암석은 물리적, 화학적 풍화의 영향을 받고, 풍화작용에 의해 생성된 쇄설물들 또한 지속적인 풍화작용과 침식작용을 받으며 이동되어진다. 이들 쇄설물 안에 포함된 주성분원소, 미량성분원소 및 희토류원소들은 지표환경과 인간 및 동식물의 환경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각각의 환경계가 자정능력을 초과할 때 유해한 물질이 부화되어 생태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Davies and Ballinger, 1990).
암석의 쇄설물안에 포함된 것은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지구환경에서 암석은 물리적, 화학적 풍화의 영향을 받고, 풍화작용에 의해 생성된 쇄설물들 또한 지속적인 풍화작용과 침식작용을 받으며 이동되어진다. 이들 쇄설물 안에 포함된 주성분원소, 미량성분원소 및 희토류원소들은 지표환경과 인간 및 동식물의 환경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각각의 환경계가 자정능력을 초과할 때 유해한 물질이 부화되어 생태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Davies and Ballinger, 1990).
하상퇴적물을 이용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하상퇴적물을 이용한 연구는 광역적인 지구화학도 작성(신성천 외, 2001)뿐만 아니라, 지질집단별 지구 화학적 특성 연구(박영석 외, 2006; 김종균과 박영석, 2005; 박영석 외, 2002), 지질집단별 자연배경치 연구 (박영석 외, 2003, 2009), 하상퇴적물의 중금속 오염 현황과 거동특성 연구(염승준 외, 2004), 희토류 원소를 이용한 하상퇴적물의 기원지 연구(이승구 외, 2003), 주암호 집수유역 내 용존 및 입자상 미량원소의 거동 특성(이평구 외, 2008), 광주부근 영산강과 광주천의 하상퇴적물의 중금속 오염(김주용 외, 1999), 광주광역시 풍암매립지 주변 하상퇴적물과 물의 지구 화학적 특성(안건상 외, 2003)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정빈, 박영석, 1996, 벌교지역에 분포하는 심성암류의 암석화학과 지질시대에 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7, 227-240. 

  2. 김주용, 정철환, 오강호, 고영구, 문정준, 유경아, 1999, 광주부근 영산강과 광주천의 하상퇴적물의 중금속 오염. 한국지구과학회지, 20, 96-100. 

  3. 김용준, 1988, 보성-순천지역에 분포하는 정편마암류의 지질시대와 성인에 대한 연구. 광산지질, 21, 69-83. 

  4. 김종균, 박영석, 2005, 광주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질집단별 지구화학적 연구. 자원환경지질, 38, 481-492. 

  5. 박영석, 박대우, 김종균, 2009, 함양-산청지역 하상퇴적물의 자연배경치 및 부화특성. 자원환경지질, 42, 195-206. 

  6. 박영석, 김종균, 정용화, 2006, 기반암에 따른 나주지역 하상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7, 49-60. 

  7. 박영석, 장우석, 김종균, 2003, 구례지역 하상퇴적물의 지질집단별 자연배경치에 대한 연구. 자원환경지질, 36, 275-284. 

  8. 박영석, 김종균, 한민수, 김용준, 장우석, 신성천, 2002, 장흥지역 1차 수계 하상퇴적물의 지질집단별 지구화학적 특성과 하천수에 대한 연구. 자원환경지질, 35, 509-521. 

  9. 신성천, 황상기, 염승준, 이평구, 박성원, 이수재, 송윤구, 박영석, 김용준, 진명식, 홍영국, 이병대, 김연기, 이진수, 김용욱, 윤욱, 박덕원, 김인준, 이재호, 최상훈, 김건한, 양명권, 심상권, 박진태, 이길용, 윤윤열, 천상기, 문상원, 박석록, 유연희, 강민주, 2001, 전라남도 지구화학 지도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70 p. 

  10. 안건상, 박천영, 신인현, 배종필, 2003, 광주광역시 풍암매립지 주변 하상퇴적물과 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4, 290-302. 

  11. 염승준, 이평구, 강민주, 신성천, 유연희, 2004, 주암댐 집수유역 내 하상퇴적물의 중금속 오염현황 및 거동특성. 자원환경지질, 37, 311-324. 

  12. 이상만, 김형식, 1966, 복내도폭 지질보고서. 국립지질조사소, 44 p. 

  13. 이승구, 양동윤, 홍세선, 곽재호, 오근창, 2003, 희토류원소를 이용한 순창지역 섬진강 수계내 하상퇴적물의 기원지 연구. 지질학회지, 39, 81-97. 

  14. 이평구, 지세정, 염승준, 2008, 주암호 집수유역 내 용존 및 입자상 미량원소의 거동특성. 자원환경지질, 41, 405-425. 

  15. 이현구, 조애란, 이찬희, 1999, 입도분포에 따른 하상퇴적물의 지구화학적 분산 및 부화. 자원환경지질, 32, 247-260. 

  16. 황인전, 정창형, 1968, 보성도폭 지질보고서. 국립지질조사소, 29 p. 

  17. Darnley, A.G., Bjorklund, A., Bolviken, B., Gustavsson, N., Koval, P.V., Plant, K.A., Steenfelt, A., Tauchid, M., Xuejing, X., Garrett, R.G., and Hall, G.E.M., 1995, A global geochemical database for environmental and resource management-recommendations for International geochemical mapping. Final Report of IGCP Project 259, Earth Science 19, UNESCO Publishing, 122 p. 

  18. Davis, B.D. and Ballinger, R.C., 1990, Heavy metal soils in north Somerest, England, with special reference to contamination from base metal mining in the Mendips. Environ Geochem Health, 12, 291-300. 

  19. Irvine, T.N. and Baragar, W.R.B., 1971, A guide to the chemical classification of the common volcanic rocks.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8, 523-548. 

  20. Kabata-Pendias, A. and Pendias, H., 1984, Trace elements in soil and plants. CRC Press INC, UK, 315 p. 

  21. Thronton, I., 1983, Applied environmental geochemistry. Academic Press, MA, USA, 501 p. 

  22. Ure, A.M. and Berrow, M.L., 1982, The elemental constituents of soils. In Bowen, H.J.M. (ed.), Environmental Chemistry. Royal Society of Chemistry, London, UK, 94-205. 

  23. Wedepohl, K.H., 1974, Handbook of Geochemistry. Springer, NY, USA, 82C-82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