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유류오염정화를 위한 유류분해 미생물제제의 평가
Evaluation of Petroleum Oil Degrading Mixed Microorganism Agent for the Bioremediation of Petroleum Oil Spilled in Marine Environmen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11 = no.139, 2011년, pp.1599 - 1606  

손재학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 바이오식품소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류분해에 있어 혼합미생물제제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미생물제제의 처리성능과 microcosm test를 수행하였다. 유류분해세균은 0.5% Arabian heavy crude oil을 유일 탄소원으로 제공된 최소배지를 이용한 연속적인 농후배양을 통하여 분리하였다. 우수 유류분해 미생물조합인 3종의 균주(BS1, BS2, BS4)는 MSM배지에서 5일의 배양기간 동안 지방족 탄화수소를 48.4%, 방향족 탄화수소를 30.5% 생분해하였다. 처리성능 및 microcosm test는 Arabian heavy crude oil을 첨가한 후 3가지 처리조건인 무처리, 무기영양염처리 그리고 무기영양염 및 혼합미생물처리조건에서 유류화합물의 생물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무기영양염처리구와 무기영양염 및 혼합미생물처리구에서 지방족 탄화수소의 분해율은 실험기간 동안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두 실험구간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무기영양염 및 혼합미생물처리구에서 방향족 탄화수소의 생분해율은 무기영양염제만을 처리한 시험구와 비교하여 처리성능 시험의 경우 50% 그리고 microcosm test의 경우 13%를 향상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혼합미생물제제는 실험실, 처리성능 및 microcosm test에서 지방족뿐만 아니라 방향족 탄화수소의 생물분해를 촉진하였다. 특히 혼합미생물제제는 방향족 탄화수소의 제거를 위한 생물정화기술의 적용에 있어 유용한 도구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microorganism agents on oil biodegradation, treatability and microcosm studies were conducted. Petroleum oil degrad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enriched cultures of oil-contaminated sediment samples using a mineral salts medium (MSM) containing 0.5% Arabian heavy crud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해양환경에 오염된 유류화합물의 신속한 생물정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4종의 우수미생물을 분리하고 그 분해능력을 평가하였다(Fig. 1). 선발된 우수균주를 이용하여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의 균형적인 생물분해능력을 가지고 있는 우수한 혼합 미생물조합을 선발하였으며 특히, M-1조합은 방향족 탄화수소에 대한 우수분해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Fig.
  • 본 연구에서는 유류에 오염된 연안지역의 생물정화를 목적으로 Arabian heavy crude oil을 대상으로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의 분해능이 높은 미생물을 농후배양방법에 의해 선발하고 균주 간의 경쟁이 낮고 방향족탄화수소에 대한 분해능력이 우수한 혼합미생물제제를 개발하였다. 현장적용을 위한 정화용 미생물제제로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처리성능(treatability) 및 microcosm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처리성능 시험은 자연해수 내에 존재하는 토착미생물군집 과의 상호경쟁에서 미생물제제가 생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국내 해양유류오염정화제의 시험기준[10]을 변형하여 수행한 실험결과는 Fig.
  • 4에 도식화하였다. 특히 이탄을 유류분해미생물 보존재로 사용하였으며 그 자체가 오염환경에서 산소의 공급과 수분유지 등 환경개선의 목적을 포함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류에 오염된 연안지역의 생물정화를 목적으로 Arabian heavy crude oil을 대상으로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의 분해능이 높은 미생물을 농후배양방법에 의해 선발하고 균주 간의 경쟁이 낮고 방향족탄화수소에 대한 분해능력이 우수한 혼합미생물제제를 개발하였다. 현장적용을 위한 정화용 미생물제제로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처리성능(treatability) 및 microcosm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정화기술은 무엇을 위한 기술인가? 유류에 오염된 토양환경을 정화하기 위한 생물정화기술 (Bioremediation)은 토착미생물에 의한 유류화합물의 분해를 가속시킬 수 있는 물질 또는 유류분해미생물을 첨가하거나 조작하는 기술을 일컫는다[3,4,12,19].
생물정화기술이란 무엇인가? 유류에 오염된 토양환경을 정화하기 위한 생물정화기술 (Bioremediation)은 토착미생물에 의한 유류화합물의 분해를 가속시킬 수 있는 물질 또는 유류분해미생물을 첨가하거나 조작하는 기술을 일컫는다[3,4,12,19].
유류 화합물에 오염된 환경에서 토착미생물의 군집이 빈약하거나 난분해성 화합물의 생분해를 촉진할 목적으로 생물접종법이 활용되는 이유는? 토착미생물은 다양한 범위의 유류탄화수소화합물을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쉽게 분해되지 않는 난분해성 탄화수소의 생분해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11]. 따라서 유류화합물에 오염된 환경에서 토착미생물의 군집이 빈약하거나 난분해성 화합물의 생분해를 촉진할 목적으로 생물접종법(Bioaugmentation)이 활용되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drett, S., J. S. Bonner, T. J. McDonalds, M. A. Mills, and R. L. Autenrieth. 1997. Degradation of crude oil enhanced by commercial microbial cultures. Proceedings of the 1997. Oil Spill Conference.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Washington. DC. 

  2. Alexander, M. 1994. Biodegradation and Bioremediation. Academic Press, San Diego. 

  3. Altas, R. M. 1981. Microbial degrad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 An environmental perspective. Microbial Rev. 45, 120-209. 

  4. Boopathy, R. 2000. Factors limiting bioremediation technologies. Bioresource Technology 74, 63-67. 

  5. Choi, S. C., K. K. Kwon, J. H. Sohn, and S. J. Kim. 2002. Evaluation of fertilizer additions to stimulate oil bioremediation in sand seashore mesocosms. J. Microbiol. Biotechnol. 12, 431-436. 

  6. Forsyth., J. V., Y. M. Tsao, and R. D. Blem. 1995. Bioremediation: when is augmentation needed, pp. 1-44, In Hinchee, R.E. et al. (eds.), Bioaugmentation for site remediation. Battelle Press, Columbus, OH. 

  7. Glaser, J. A., A. D. Venisa, and E. J. Opatken. 1991.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application techniques for delivery of nutrients to contamined shoreline in Prince William Sound. Proceedings of 1989 International Oil Spill Conference.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Washington DC., USA. 

  8. Head, L. M. and R. P. J. Swannell. 1999. Bioremedi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 contaminants in marine habitats. Curr. Opin. Biotechnol. 10, 234-239. 

  9. Kim, S. J. 2002. Research for the form approval procedure of oil spill bioremediation agent. Korea Coast Guard 

  10. Kim, S. J., J. H. Sohn, D. S. Sim, K. K. Kwon, and T. H. Kim. 1998. The effects of bioremediation on the oil bioremediation in oil polluted environments, pp. 181-188, In Le Gal, Y. and H.O. Halvorson (eds.), New developments in marine biotechnology, plenum Press. New York. 

  11. Leahy, J. G. and R. R. Colwell. 1990. Microbial degradation of hydrocarbons in the environment. Microbial Rev. 53, 305-315. 

  12. Lee, K. and E. M. Levy. 1987. Enhanced biodegradation of a light crude oil in sandy beaches. Proceedings of the 1987 Oil Spill Conference.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Washington. DC. 

  13. Lee, K. and E. M. Levy. 1989. Enhancement of the natural biodegradation of condensate and crude oil on beaches of Altantic Canada. Proceedings of the 1989 Oil Spill Conference.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Washington. DC. 

  14. Lee, K., G. H. Tremblay, and E. M. Levy. 1993. Bioremediation: Application of slow-release fertilizers on low-energy shoreline. Proceedings of 1993 International Oil Spill Conference,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Washington DC., USA. 

  15. Marty, P. and Y. Martin. 1996. Seed and feed strategy against oil spills in a marine environment: laboratory and simulated outdoor experiments with selected natural bacterial strain. J. Mar. Biotechnol. 4, 155-158. 

  16. Oh, Y. S., D. S. Sim, and S. J. Kim. 2001. Effects of nutrients on crude oil biodegradation in the upper intertidal zone. Mar. Pollut. Bull. 42, 1367-1372. 

  17. Ortega-Calvo, J. J. and C. Saiz-Jimenez. 1998. Effect of humic fractions and clay on biodegradation of phenanthrene by a Pseudomonas fluorescens strain isolated from soil. Appl. Environ. Microbiol. 64, 3123-3126. 

  18. Rosenberge, E., R. Legmann, A. Kushmaro, R. Taube, E. Adler, and E. Z. Ron. 1992. Petroleum bioremediation- A multiphase problem. Biodegradation 3, 337-350. 

  19. Safferman, S. I. 1991. Selection of nutrients to enhance biodegradation for the remediation of oil spilled on beaches. Proceedings of 1991 International Oil Spill Conference,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Washington DC.. 

  20. Sim, D. S., J. H. Sohn, and S. J. Kim. 1998. Microcosm study for bioremediation of oil-contaminated pebble environments. Korean J. Microbial. 34, 101-107. 

  21. Sohn, J. H., K. K. Kwon, and S. J. Kim. 2003. Effects of Slow Release Fertilizer and Dispersant on the Biodegradation of oil contaminated in sand seashore mesocosm. Korean J. Microbiol. 39, 8-15. 

  22. Tagger, S., A. Bianchi, M. Juillard, J. LePetit, and B. Roux. 1983. Effect of microbial seeding of crude oil in seawater in a model system. Mar. Biol. 78, 13-20. 

  23. Vacca, D. J., W. F. Bleam, and W. J. Hickey. 2005. Isolation of soil bacteria adapted to degrade humic acid-sorbed phenanthrene. Appl. Environ. Microbiol. 71, 3797-3805. 

  24. Venosa, A. D., J. R. Haines, W. Nisamaneepong, R. Govind, S. Pradhan, and B. Siddique. 1991. Protocol for testing bioremediation products against weathered Alaskan crude oil. Proceedings of the 1991 Oil Spill Conference.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Washington. DC. 

  25. Venosa, A. D., M. T. Suidan, B. A. Wrenn, K. L., Strohmeier, J. R. Haines, A. L, Eberhart, D. King, and E. Holder. 1996. Bioremediation of an experimental oil spill on the shoreline of Delaware Bay. Environ. Sci. Technol. 30, 1764-1775. 

  26. Zimmerman, R. 1977. Estimation of bacterial number and biomass by epifluorescence 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pp. 103-120, In Rheinheimer, G. (ed.), Microbial ecology of brackish water environment. Springer-Verlag, Berli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