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후가공 공정에 의한 흡음재의 제조와 특성
Manufacture and Characteristics of Sound Absorption Materials by Finishing of Meltblown Nonwovens 원문보기

韓國染色加工學會誌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v.23 no.4, 2011년, pp.304 - 311  

송인희 ((주)선진인더스트리) ,  김진수 (건양대학교 컴퓨터학과) ,  홍영기 (건양대학교 패션디자인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sound absorption and sound insulation in automobile industry, the sound absorption materials based on meltblown nonwovens were prepared by SMS (spunbond-meltblown-spunbond) technique. And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alpha}$) of the meltblown nonwoven, produced with isotatic-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91인 폴리프로필렌 흡음재용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공정상의 제조조건에 따라 구조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조건으로 제조된 흡음재는 잔향실법에 의해 흡음특성을 평가하였고, 또한 현재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M사의 흡음재와 흡음특성을 비교평가하여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자동차용 흡음재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 1은 현장에서 생산되는 부직포 웹 제조 조건을 바탕으로 최적의 흡음재를 생산하기 위해 본 실험의 계획법에 따른 흡음재 제조 시영향인자와 전반적인 제조 공정을 고려해서 흐름도를 작성하여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이와 같은 흐름도를 바탕으로 하여 최적의 자동차용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용 흡음재를 국산화로 대체하기 위해 현재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M사의 흡음재와 유사한 흡음특성을 갖도록 멜트블로운 부직포 웹을 바탕으로 흡음재를 제조하여 각각의 제품에 대하여 비교평가하고, 이러한 흡음재를 최종용 도인 자동차 산업분야에 활용 가능하도록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자동차용 흡음재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 제조를 위한 최적조건을 설정하여 흡음재를 제조하였으며, 우수한 흡음특성을 갖기 위한 구조 조건으로는 섬유극세화와 부직포 웹의 벌크성으로 전자현미경 사진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로 섬유를 형성하는 고분자를 수백 또는 수천개의 오리피스(orifice)로 형성된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되는 공정으로, 방사노즐로 압출된 고분자는 용융상태에서 방사구금의 양옆에서 고속으로 분사되는 열풍에 의해 초극세화된 섬유가 수집체에 적층되어 우수한 흡·차음 성능을 갖는 자기결합형(self-bonding)부직포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조화된 멜트블로운 부직포는 극세화된 섬유집합체가 벌크한 구조로 형성되어 기능적 특성을 갖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흡음재 적용재료로 선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음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어떤 연구들이 진행중인가? 소음으로 인한 환경오염은 최근 여러 산업분야에서 장차 미래산업에 미칠 영향으로 보아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자동차나 항공 산업 분야에서는 소음저감을 위하여 다각적인 측면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중 새로운 흡음재 적용에 따른 흡음이나 차음에 관한 연구1-3)가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여러 산업분야에서 장차 미래산업에 미칠 영향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소음으로 인한 환경오염은 최근 여러 산업분야에서 장차 미래산업에 미칠 영향으로 보아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자동차나 항공 산업 분야에서는 소음저감을 위하여 다각적인 측면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중 새로운 흡음재 적용에 따른 흡음이나 차음에 관한 연구1-3)가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3M사의 초극세사 특허기술로 만들어진 것? 현재 3M사의 초극세사 특허기술로 만들어진 신슐레이트(Thinsulate TM )가 성능이 우수하여 자동차의 흡음재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진동 소음과 타이어 소음, 하체 소음, 상체 소음, 엔진음 소음 등의 외부 소음 감소 및 내부 소음을 방지하며, 극세 섬유를 사용한 가벼운 부직포 재질로 차체 중량이나 연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포드·GM·폴크스바겐·토요타·혼다·닛산·피아트·다임러크라이슬러 등 세계 유명 자동차에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N. Atalla and P. Raymond, The Effects of Multilayer Sound-absorbing Treatments on the Noise Field Inside a Plate Backed Cavity, Noise Control Eng. J., 44(5), 235-243(1996). 

  2. W. E. Zorumski, Aircraft Flyover Noise Prediction, Proc. Noise Con. 77, p.205, 1977. 

  3. J. G. Lee, I. D. Kim, and Y. S. Lee, Effective Application of Insulations and Deadeners Improving the Vehicle Interior Noise, J. Korea Soc. Automotive Engineers, 14(4), 68-78(1992). 

  4. R. Moulder, "Sound-absorptive Material in Handbook of Acoustical Measurement and Noise Control", ed. by C. M. Harris, McGraw-Hill, N. Y., pp.78-82, 1991. 

  5. R. F. Gibson, "Principles of Composite Material Mechanics", McGraw-Hill, N. Y., pp.102-105, 1994. 

  6. S. J. Hwang and R. F. Gibson, The Use of Strain Energy-based Finite Element Techniques in the Analysis of Various Aspects of Damping of Composite Materials and Structures, J. Composite Mat., 26(3), 2585-2605(1992). 

  7. S. S. Jung, W. S. Lee, M. J. Jho, and S. J. Suh, A Study on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by Varying Sample Size,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11(5), 83-88(2001). 

  8. D. J. Kang, W. S. Lee, J. W. Lee, J. K. Hong, and Y. H. Jo, Characteristics of Absorption Performance of Sound Absorptive Materials according to Test Conditions,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16(7), 683-689(2006). 

  9. J. F. Allard and Y. Champoux, New Empirical Equations for Sound Propagation in Rigid Frame Fibrous Materials, J. Acoust. Soc. Am., 91(6), 3346-3353(1992). 

  10. J. F. Allard, Y. Champoux, and C. Depollier, Modelization of Layered Sound Absorbing Materials with Transfer Matrices, J. Acoust. Soc. Am., 82(5), 1792-1796(1987). 

  11. C. H. Hwang, S. S. Jung, and H. J. Eun, A New Metho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 Impedance and Propagation Constant of Soundabsorbing Materials,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7(5), 781-787(1997). 

  12. ASTM C 423, Standard Test Method for Sound Absorption and Sound Absorption Coefficients by the Reverberation Room Method. 

  13. H. S. Shin, L. Jin, and J. H. Yoo, Effect of Manufacturing Conditions on the Properties of Oil-absorbable Melt Blown Nonwoven,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J. Korean Soc. Dyers and Finishers), 21(6), 22-28(2009). 

  14. R. R. Bresee, U. A. Qureshi, and M. C. Pelham, Influence of Processing Conditons on Melt Blown Web Structure : Part 2 - Primary Airflow Rate, International Nonwovens Journal, 14(2), 11-18(2005). 

  15. X. Wang and Q. Ke,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Adhesive Meltblown Web Production Using Accessory Air, Polymer Engineering and Science, 46, 1-7(2006). 

  16. J. W. Lee, S. N. Lee, J. H. Shim, P. K. Jung, W. K. Lee, and B. J. Bang, The Study on Improvement of Acoustic Performance for Automobile Sound-absorbing Materials Using Hollow Fiber,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21(9), 850-857(2011). 

  17. H. S. Shin, J. H. Yoo, and L. Jin, A Study on Oil Absorption Rate and Oil Absorbency of Melt-blown Nonwoven,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J. Korean Soc. Dyers and Finishers), 22(3), 257-263(2010). 

  18. J. D. Lee, Y. K. Hong, and K. S. Bae, Development of Composite Filter With High Performance Meltblown Non-woven,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J. Korean Soc. Dyers and Finishers), 17(2), 40-45(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