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산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로부터 DMSO 추출과 EDTA 수세법에 의한 상용화 아가로스 제조
Preparation of Commercial Agarose from Jeju Seaweed, Gelidium amansii using DMSO Extraction and EDTA Washing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4 no.6, 2011년, pp.635 - 643  

강태환 (e-제주팜) ,  이승홍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백종석 (제주대학교 화학과) ,  강병식 (한라바이오랩) ,  이정석 (제주광어브랜드육성사업단) ,  이남호 (제주대학교 화학과) ,  전유진 (e-제주팜)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gar was prepared from Gelidium amansii collected from Jeju Island, South Korea. This agar preparation has high gel strength and low sulfate content compared with G. amansii agar from Morocco. Accordingly, agarose was made from the Jeju agar through the consecutive refining processes of dimethyl s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산 우뭇가사리로부터 한천을 추출한 후 대량생산공정에 적합한 DMSO 추출법과 EDTA 수세법을 병용하여 고순도 아가로스를 제조한 후 제주산 우뭇가사리의 고부가 활용을 위하여 그 품질을 비교·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뭇가사리는 무엇인가? 우뭇가사리는 꼬시래기 등과 함께 한천의 주원료로 이용되는 홍조식물로(Armisen, 1995), 칠레, 남아프리카, 한국, 일본, 인도네시아 및 미국 켈리포니아 해역에 분포하고 있다(Armisen and Galactas, 1987). 해양수산부 어업생산통계자료에 의하면 국내 우뭇가사리의 생산량은 2006년 기준으로 약 3,000 M/T이며, 이 중 제주도의 생산량은 약 2,700 M/T으로 제주도의 생산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06).
우뭇가사리는 어디에 분포하고 있는가? 우뭇가사리는 꼬시래기 등과 함께 한천의 주원료로 이용되는 홍조식물로(Armisen, 1995), 칠레, 남아프리카, 한국, 일본, 인도네시아 및 미국 켈리포니아 해역에 분포하고 있다(Armisen and Galactas, 1987). 해양수산부 어업생산통계자료에 의하면 국내 우뭇가사리의 생산량은 2006년 기준으로 약 3,000 M/T이며, 이 중 제주도의 생산량은 약 2,700 M/T으로 제주도의 생산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06).
Baterling (1969)이 보고한 불용성 지지체를 이용한 흡착법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한편, Baterling (1969)이 보고한 불용성 지지체를 이용한 흡착법은 한천을 ethylene diamine tetra acetic acid (EDTA)로 세척하여 황산기를 제거하고, 수산화알루미늄 겔이 아가로팩틴을 흡착하는 원리를 적용하여 고순도 아가로스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EDTA의 장시간 세척에 의한 한천의 가수 분해로 고강도 아가로스 제조가 불가능하나(Do, 1997), EDTA의 탁월한 황산기 제거 효과와 조작의 편의성 및 저비용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EDTA 처리시간의 조절에 따라 고순도 아가로스의 정제에 유용하게 응용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llan GC and Johnson PG. 1971. Marine polymers. Part I. A new procedure for the fractionation of agar. Carbohyd Res 17, 234-236. 

  2. Araki C. 1937. Acetylation of agar like substance of Gelidium amansii . J Chem Soc Jpn 58, 1338-1350. 

  3. Araki C and Hirase S. 1960.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agar-agar. Bull Chem Soc Jap 33, 597-600. 

  4. Armisen R. 1995. World-wide use and importance of Gracilaria. J Appl Phycol 7, 231-243. 

  5. Armisen R and Galactas F. 1987. Production, properties and uses of agar. In: Production and Utilisation of Products from Commercial Seaweeds. McHugh DJ, ed. FAO Fish Tech Paper, 288, 1-57. 

  6. Arnot S, Fulmer A, Scott WE, Deea ICM, Morehouse R and Rees DA. 1974. The agarose double helix and its function in agarose gel structure. J Mol Biol 90, 269-284. 

  7. Azhitskii GY and Kobozev GV. 1967. Use of ammonium sulfate to first eliminate agaropectin and then precipitate agarose. Lab Delo 3, 143-145. 

  8. Baterling SJ. 1969. A simple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garose. Clin Chem 15, 1002-1005. 

  9. Corongiu G, Forlini SL and Clementi E. 1983. Hydration of agarose double helix: a Montecarlo simulation. Int J Quant Chem: Quant Biol Symp 10, 227-291. 

  10. Do JR. 1997.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agar from Gelidium amansii . J Kor Fish Soc 30, 423-427. 

  11. Do JR and Oh SW. 1999. Preparation of agarose from Gelidium amansii for gel electrophoresis using various purification methods and its resolution characteristics for DNA. Kor J Food Sci Technol 31, 110-114. 

  12. Dodgson KS and Price RG. 1962. A note on the determination of the ester sulphate content of sulphated polysaccharides. Biochem J 84, 106-110. 

  13. Duckworth M and Yaphe W. 1971. The structure of agar. Part I. Fractionation of a complex mixture of polysaccharides. Carbohyd Res 16, 189-197. 

  14. Fuse T and Goto F. 1971. Some properties of agarose and agaropectin isolated from various mucilaginous substances of red seaweeds. Agr Biol Chem 35, 799-804. 

  15. Fuse T and Katsuura K. 1967. The properties of agarose and agaropectin solution isolated by sodium iodide. Kogyo Kagaku Zasshi. 70, 724-728. 

  16. Gamini A, Toffanin R, Murano E and Rizzo R. 1997. Hydrogen-bonding and conformation of agarose in methyl sulfoxide and aqueous solutions investigated by $^{1}H$ and $^{13}C$ NMR spectroscopy. Carbohyd Res 304, 293-302. 

  17. Glickman SA and Shubtosova IG. 1957. Physical chemistry of agar. Part II. Theory and practice of agar fractionation. Koll Zhur 16, 281-286. 

  18. Guiseley KB. 1970. The relationship between methoxyl content and gelling temperature of agarose. Carbohyd Res 13, 247-256. 

  19. Guiseley KB, Kirkpatrick FH, Provonchee RB, Dumais MM, Nochumson S. 1993. A further fractionation of agarose. Hydrobiologia 261, 505-511. 

  20. Hjerten S. 1962. A new method for preparation of agarose for gel electrophoresis. Biochim Biophys Acta 62, 445-449. 

  21. Izumi K. 1970. A new method for fractionation of agar. Agr Biol Chem 34, 1739-1740. 

  22. Jeon YJ, Yasantha A and Lee J. Characterization of agarose product from Agar using DMSO. Algae 20, 61-67. 

  23. Kang HI, Ko MS, Kim HJ, Kim WS and Bae TJ. 1985. Fluid properties and Quality of agar solution from cheju seaweed, Gellidium amansii . J Kor Fish Soc 29, 716-721. 

  24. Kim DS, Kim HR, Kim JH and Pyeun JH. 2000. Pilot-scale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icrobiological agar from Gelidium amansii in Korea. J Kor Fish Soc 33, 70-74. 

  25. Kim HG and Son HJ. 1997. Comparison of Thermal properties and surface structures of unmodified, spray-dried, and extrusion-dried agar. Kor J Food and Nutr 10, 234-240. 

  26. Korean Fisheries Society. 1998. Annual Statistics of Fisheries.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Korea 

  27.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06. Fishery Production Survey, 80. 

  28. Mollet JC, Rahaoui A and Lemoine Y. 1998. Yield, chemical composition and gel strength of agarocolloids of Gracilaria gracilis, Gracilariopsis longissima and the newly reported Gracilaria cf. vermiculophylla from Roscoff (Brittany, France). J Appl Phycol 10, 59-66. 

  29. Murano E. 1995. Chemical structure and quality of agars from Gracilaria. J appl Phycol 7, 245-254. 

  30. Patil NB and Kale NR. 1973. A simple procedure for the preparation of agarose for gel electrophoresis. Ind J Biochem Biophys 10, 160-163. 

  31. Praiboon J, Chirapart A, Akakabe Y, Bhumibhamon O and Kajiwarac T. 2006.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ga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the Thai and Japanese species of Gracilaria. Scienceasia 32, 1513-1874. 

  32. Russell B, Mead TH and Polson A. 1964. A method of preparing agarose. Biochim Biophys Acta 86, 169-174. 

  33. Suzuki H, Sawai Y and Takada M. 2001. The Effect of Apparent Molecular Weigh and Components of Agar on Gel Formation. Food Sci Technol Res 7, 280-284. 

  34. Tagawa S. 1966. Separation of agar-agar by dimethyl sulfoxide into agarose and agaropectin. J Shiminoseki Fish Univ 14, 165-171. 

  35. Tagawa S. 1968. Chemical studies on manufacture of agaragar. Suisan Daigakko Kenkyu Hoboku 17, 83-86. 

  36. Yoon HS and Park YH. 1985.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agarose and agaropectin in agar-agar. (2) Seasonal Variation in the composition of agarose and agaropectin in agar prepared from Gellidium amansii. Bull Kor Fish Soc 18, 37-43. 

  37. Zabin B. 1966. Agarose use of DEAE cellulose to remove the anionic polysaccharides from agar. U.S Patent 3, 423, 3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