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축 유전체정보 활용 종축 유전능력 평가 연구 - 표지인자 효과 추정 모의실험
Study on Genetic Evaluation using Genomic Information in Animal Breeding - Simulation Study for Estimation of Marker Effects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53 no.1, 2011년, pp.1 - 6  

조충일 (한경대학교) ,  이득환 (한경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유전체분석에 대해 모의실험한 연구로써 Reference Population (RP)이 구성되었을 때, 표현형 자료가 없고 유전체자료만 있는 Juven 1 또는 Juven 2 세대에 대해 유전평가의 정확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모의실험의 가정으로 염색체는 1개이며 염색체길이는 100cM로 가정하였다. 초기의 유효집단의 수는 100두의 다형성이 없는 초기집단에서 유전자 효과가 없는 표지인자(Marker)를 0.1cM 및 0.5cM 간격으로 균등하게 단일 염기 돌연변이에 의한 다형성을 발생시켰고 유전자 효과가 있는 QTL 좌위는 Marker와 동수의 비율로 임의위치를 지정하여 돌연변이에 의한 변이성을 생성하였으며 이때 유전자 효과는 Gamma 분포함수(scale=1.66, shape=0.4)에서 생성하였다. 배우자(gamete) 형성과정에서 Haldane의 가정하에 유전자 재조합을 생성하였으며 돌연변이 발생율은 Marker 및 QTL 좌위에서 $2.5{\times}10^{-3}$$2.5{\times}10^{-5}$의 확률로 발생시켜 1000세대까지 세대번식을 유지하였다. 이 후 1001세대부터 1004세대까지 세대당 2000두의 자손을 생성하였으며 이 때 유전력을 0.1 및 0.5의 가정하에 1001~1002 세대에서 표현형 자료를 생성하였고, 1003~1004세대는 오직 유전체자료만 생성하였다. Bayesian 방법을 이용하여 개체별 육종가를 추정하였으며 표지인자간 거리(0.1cM, 0.5cM), 유전력(0.1, 0.5) 및 반형매 집단크기(20두, 4두)에 따라 참육종가와 추정 육종가간의 상관으로 표현되는 육종가 정확도에 대해 비교한 결과 1003세 대에서 표지인자간 거리가 0.1cM 및 0.5cM일 때 육종가의 정확도는 각각 0.87, 0.81였고, 유전력이 0.1 및 0.5 일 때 각각 0.87, 0.94로 추정되었으며, 반형매 집단의 크기가 20두 일 때 0.87, 4두 일 때 0.84로 추정되었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다량의 SNP 표지정보 및 반형매 집단의 크기가 클수록 즉, 혈연계수가 높은 집단일 때 육종가의 정확도는 높게 나타났다. 유전체선발의 활용시 비교적 높은 정확도로써 조기선발이 가능하며 이로 인한 세대간격을 단축시킬 수 있어 개량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에 유전체선발은 분석비용이 비싸며, 지속적인 유전체 선발시 특정유전자 선호로 인한 유전적 부동(Genetic Drift) 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SNP 발굴에 대한 노력이 필요한(Meuwissen 2003) 단점이 있으나 한우 또는 젖소와 같은 대가축과 같이 세대간격이 긴 가축에서 유전체선발 할 경우 조기선발로 인한 세대간격 단축과 유전평가의 높은 정확도(0.8이상)로 인해 개량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imulation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f the estimated breeding value by using genomic information (GEBV) by way of Bayesian framework. Genomic information by way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from a chromosome with length of 100cM were simulated with different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동물의 유전능력 평가의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표지 인자간 거리(Marker distance), 유전력(h2) 및 반형매 집단크기(Half-sibs family size)에 따라 4개의 모델을 설정하였으며, 각 모델에 대해서 Meuwissen 등(2001)이 제시한 Bayes A 접근방법으로 SNP 표지인자별 효과 및 개체별 육종가를 추정하고 이에 대한 정확도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유전체분석에 대해 모의실험한 연구로써 Reference Population(RP)이 구성되었을 때, 표현형 자료가 없고 유전체자료만 있는 Juven1 또는 Juven2 세대에 대해 유전평가의 정확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모의실험의 가정으로 염색체는 1개이며 염색체길이는 100cM로 가정하였다.

가설 설정

  • 1) Pheno: Parental animals have phenotype data and genotype data.
  • 2) Juven 1: Juvenile animals have only genotype data.
  • 3) Juven 2: Progenies of Juven1 have only genotype data.
  • 1003세대(Juven1)와 1004세대(Juven2)는 오직 유전체자료만 갖는 개체로 구성된 검정집단(Test Population, TP)으로 가정하여 RP에서 추정된 각 표지인자 효과를 바탕으로 TP의 추정 육종가를 계산하였으며, 표지인자간 거리, 유전력, 반형매 집단크기에 따라 4개의 모델을 설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Model Ⅰ은 유전력 0.1, 표지인자간 거리 0.1cM, 1001~1004세대의 부계에 대한 평균 반형매 집단크기 20두(종모우 100두, 종빈우 1000두, 종빈우당 자손수 2두로 총 2000두/세대 생성)을 가정한 모형이고, Model Ⅱ은 유전력 0.1, 표지인자간 거리 0.5cM, 반형매 집단크기 20두, Model Ⅲ은 유전력 0.5, 표지인자간 거리 0.1cM, 반형매 집단크기 20두, Model Ⅳ은 유전력 0.1, 표지인자간 거리 0.1cM, 1001~1004세대의 반형매 집단크기 4두(종모우 500두, 종빈우 1000두, 종빈우당 자손수 2두로 총 2000두/세대 생성) 등을 가정한 모형으로 설정하여 구분하였다(Table 2).
  • 본 연구는 유전체분석에 대해 모의실험한 연구로써 Reference Population(RP)이 구성되었을 때, 표현형 자료가 없고 유전체자료만 있는 Juven1 또는 Juven2 세대에 대해 유전평가의 정확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모의실험의 가정으로 염색체는 1개이며 염색체길이는 100cM로 가정하였다. 초기의 유효집단의 수는 100두의 다형성이 없는 초기집단에서 유전자 효과가 없는 표지인자(Marker)를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전체 선발은 어떠한 형질에서 유용한가? 유전체 선발(Genomic Selection, GS)은 유전력이 낮은 형질, 도체형질, 질병저항형질 등 선발의 정확도가 낮은 형질에서 유용하며(Meuwissen 2003), 선발 후 생성되는 형질(번식형질, 유량)에 대해 혈통정보를 활용하여 평가하는 BLUP 방법과 표지인자정보를 활용하는 MAS (Marker Assisted Selection) 방법간의 유전적 개량량(Genetic gain)을 비교해 본 결과, 선발 후 1세대 경과되었을때 MAS 선발이 BLUP 선발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유전적 개량량을 얻을 수 있는 연구보고(Meuwissen와 Goddard 1996)가 있었다. 또한 표현형 데이터와 유전체 정보간의 연관성 규명(표지 인자효과추정) 이후 유전체 정보를 통해 동물의 신생 자축에서 조기선발이 가능해지므로 세대간격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유전체 선발 연구는 어느 나라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최근 동물에 있어 개체간 다형성이 나타나는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표지인자를 활용하여 개체간의 유사도의 크기를 바탕으로 동물의 유전능력을 추정하는 연구가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축산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Calus 등 2008; Gianola와 van kaam 2008; Meuwissen 등 2001; VanRaden 등 2008; Xu 2003).
MAS 방법은 어떤 정보를 활용하는가? 유전체 선발(Genomic Selection, GS)은 유전력이 낮은 형질, 도체형질, 질병저항형질 등 선발의 정확도가 낮은 형질에서 유용하며(Meuwissen 2003), 선발 후 생성되는 형질(번식형질, 유량)에 대해 혈통정보를 활용하여 평가하는 BLUP 방법과 표지인자정보를 활용하는 MAS (Marker Assisted Selection) 방법간의 유전적 개량량(Genetic gain)을 비교해 본 결과, 선발 후 1세대 경과되었을때 MAS 선발이 BLUP 선발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유전적 개량량을 얻을 수 있는 연구보고(Meuwissen와 Goddard 1996)가 있었다. 또한 표현형 데이터와 유전체 정보간의 연관성 규명(표지 인자효과추정) 이후 유전체 정보를 통해 동물의 신생 자축에서 조기선발이 가능해지므로 세대간격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alus, M. P. L., Meuwissen, T. H. E., de Roos, A. P. W. and Veerkamp, R. F. 2008. Accuracy of genomic selection using different methods to define haplotypes. Genetics 178:553-561. 

  2. Gianola, D. and van Kaam, J. B. C. H. M. 2008. Reproducing kernel hilbert Spaces regression methods for genomic assisted prediction of quantitative traits. Genetics 178:2289-2303. 

  3. Goddard, M. E. 2008. Genomic selection: Prediction of accuracy and maximization of long term response. Genetica. Doi:10.1007/s10709-008-9308-0. 

  4. Hayes, B. J. 2008. Course Notes ‘QTL Mapping, Mas, and Genomic Selection’. 

  5. Hayes, B. J. Bowman, P. J. Chamberlain, A. J. and Goddard, M. E. 2009. Invited review: Genomic selection in dairy cattle: Progress and challenges. J Dairy Sci, 92(2):433-443. 

  6. Haldane, J. B. S. 1919. The combination of linkage values and the calculation of distances between the loci of linked factors. J Genet 8:299-309. 

  7. Meuwissen, T. H. E. and Goddard, M. E. 1996. The use of marker haplotypes in animal breeding schemes. Genetics Selection Evolution 28:161-176. 

  8. Meuwissen, T. H. E., Hayes, B. J. and Goddard, M. E. 2001. Prediction of total genetic value using genome-wide dense marker maps. Genetics 157:1819-1829. 

  9. Meuwissen, T. H. E. 2003. ‘Genomic selection: The future of marker assisted selection and animal breeding’. 

  10. Nielsen, H. M. 2009. Comparison of accuracy of genome-wide and BLUP breeding value estimates in sib based aquaculture breeding schemes. Aquaculture 289(2009) 259-264. 

  11. Sved, J. A., 1971 Linkage disequilibrium and homozygosity of chromosome segements in finite population. Theor. Popul. Biol. 2:125-141. 

  12. Solberg, T. R., Sonesson, A. K., Wooliams, J. A. and Meuwissen, T. H. E. 2008. Genomic selection using different marker types and densities. J. Anim. Sci. 86:2447-2454. 

  13. VanRaden, P. M., Van Tassell, C. P., Wiggans, G. R., Sonstegard, T. S., Schnabel, R. D. and Taylor, J. F. 2008. Invited review: Reliability of genomic predictions for North American Holstein bulls. J. Dairy. Sci. 92:16-24. 

  14. VanRaden, P. M. 2008. Efficient methods to compute genomic predictions. J. Dairy. Sci. 91:4414-4423. 

  15. Xu, S. Z., 2003 Estimating polygenic effects using markers of the entire genome. Genetics 163:789-8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