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생명 예술의 특성 : VIDA의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Artificial Life Art : Research on Artificial Life Artworks of VID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1, 2011년, pp.193 - 201  

임경호 (숭실대학교 대학원 미디어학과) ,  윤준성 (숭실대학교 IT대학 글로벌 미디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아트의 몰입과 상호작용적 특성에 따른 관객과 작품 사이의 '닫힌 관계'로써의 '열린 상호작용성'을 넘어, 인공생명(Artificial Life) 예술에 이르러 더욱 진화된 상호작용성에 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해 생물학 및 계산과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의 성과에 따른 인공생명 이론을 살펴보고, 인공생명의 자율성과 창발적 행동을 인공생명 예술적 맥락과 연결되는 특성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인공생명 예술을 공인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VIDA : Art and Artificial Life International Awards'에서 선정된 예술 작품들 중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인공생명 예술 작품과 외부 세계에서 개체로 살아 움직이는 인공생명 예술 작품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관객과 작품 간의 감성적 주체로써의 관계와 나아가 기술과 인간이 맺는 공생과 공진화의 다양한 층위의 관계성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evolved interactivity at the Artificial Life Art beyond 'open interactivity' as 'closed relationship' between viewer/participant and artwork by immersive and interactive features of digital media art. In order to consider this evolved interactivity, we survey the the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인공생명 예술에 이르러 더욱 진화하고 있는 상호작용성에 대한 고찰을 위해 먼저 기존의 디지털 미디어아트의 특성을 정리하고, 인공생명의 개념을 소개한 후에 인공생명 예술 작품들을 분석해 보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아트의 몰입적 특성과 상호작용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복잡성 및 계산 과학에 기초한 인공생명 관련 이론과 예술 작품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인공생명 예술 작품 분석에 있어서는 인공생명 예술로 범주화가 가능한 작품들이 상호작용적(interactive) 미디어아트, 생성 예술(generative art), 유전자 예술(genetic art) 등의 서로 다른 명칭으로 어지럽게 불리고 있기도 하므로 1999년부터 인공생명 예술이라는 공식화된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VIDA: International Artificial Life Arts Awards’의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아트의 몰입과 상호작용적 특성을 고찰하였고, 인공생명 예술을 공인하며, 기록보관(archive)의 기능을 수행하는 VIDA의 선정 작품들을 분석하여 인공생명 예술에 이르러 상호작용의 대상이 생명적 실체뿐만 아니라 생태적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으로 한 보다 더 진화된 상호작용을 보여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상호작용성의 진화는 관객과 작품 간의 관계에 있어서 새로운 관계 맺음을 요구하는데, 거대한 생태계를 이루는 구성 요소로써의 관객과 작품은 서로를 감각으로 구성되는 감성적 주체들의 관계로 볼 수 있다.
  • 이러한 디지털 미디어아트 및 인공생명 예술 작품의 상호작용적 특성 분석을 통해 예술적 맥락에서의 분석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인간과 기술 또는 인간과 비-인간이 맺는 공생(symbiosis)과 공진화(co- evolution)적 관계로의 확장된 해석과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페어 바이벨이 정의한 움직이는 이미지란 무엇인가? 이 움직이는 이미지는 디지털 미디어아트에서 하나의 큰 특성으로 자리 잡는다. 페터 바이벨(Peter Weibel)이 언급한 디지털 미디어아트에서의 ‘움직이는 이미지’(das bewegte Bild)는 단순히 움직이는 동영상이 아니라 ‘변형 가능한 이미지’를 의미한다[1]. 디지털 미디어아트에서의 이미지는 관객이 작품에 참여하여 상호작용함에 따라 변형을 겪는다.
디지털 미디어아트의 특성은? 디지털 미디어아트가 회화, 사진, 조각 등과 같은 기존의 전통 예술들과 변별점을 갖는 특성으로 ‘몰입’과 ‘상호작용’을 들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아트의 몰입적 특성을 대표하고 있는 것 중의 하나로 가상현실 기술(VR)을 이용하여 구현한 미디어아트를 들 수 있다.
최근 인공생명 예술에서 작품이 단순히 이미지의 변형을 수행하면서 관객과 함께 그 내용을 채워가는 것 이상을 요구하는 이유는? 최근에는 인공지능(AI)과 인공생명(A-Life) 기술을 기반으로한 인공생명 예술(A-Life Art)에서는 작품이 단순히 이미지의 변형을 수행하면서 관객과 함께 그 내용을 채워가는 것 이상의 것을 요구한다. 이는 관객이 상호작용 하는 대상이 어떤 생명적 정체성(identity)이 부여된 실체(subjects)로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작품이 스크린상에서 이미지로만 구현되던 사례를 넘어 같은 시간과 공간에 공존하며 관객의 신체의 개입뿐만 아니라 작품의 신체역시 개입되어 함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로봇(robot) 형태로 제작된 작품들에서는 그러한 생명적 특성을 더욱 더 잘 관찰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박영욱, “디지털 예술에서 몰입의 의미”, 인문콘텐츠 제11호, 인문콘텐츠학회, pp.51-69, 2008. 

  2. 마이클 러쉬, 심철웅 역, 뉴미디어아트, 시공사, p.112, 2003. 

  3. 백영주, “프로세스 아트의 조형 전략과 방법론적 특성”, 기초조형학 연구, Vol.11 No.3, 기초조형학회, p.198, 2010 

  4. A. Broeckmann, "Image, Process, Performance, Machine: Aspects of an Aesthetics of the Machinic" in O. Graw(ed.), MediaArtHistories, MIT Press, p.201, 2007. 

  5. 조현경, 윤준성,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적 예술에서 인간과 컴퓨터가 함께하는 행위에 관한 고찰”, 기초조형학연구, Vol.9 No.6, 기초조형학회, p.495, 2008. 

  6. C. Langton, “Artificial LIfe” in M. Boden (ed.), The Philosophy of Artificial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p.53, 1996. 

  7. 클라우스 에메케, 오은아 역, 기계 속의 생명, 이제이북스, pp.32-34, 2004. 

  8. 김재영, “몸과 기계의 경계: 사이버네틱스, 인공생명, 온생명”, 탈경계인문학 제2권, 제2호,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p.155, 2009. 

  9. 스티븐 레비, 김동광 역, 인공생명, 사민서각, pp.22-24, 1995. 

  10. 움베르토 마투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최호영 역, 앎의 나무, 갈무리, p.59, 2007 

  11. C. Langton, "Artificial Life", Artificial Life, ed. Christopher Langton, Santa Fe Institute Studies in the Studies of Complexity, Vol.6, pp.2-3, 1989. 

  12. S. Wilson, Information Arts: Inter- sections of Art, Science, and Technology, MIT Press, pp.307-308, 2002. 

  13. 김진엽, 이재준, “인공생명과 예술”, 인문논총 제 58집, 서울대 인문과학연구원, p.124, 2007. 

  14. http://fundacion.telefonica.com/arteytecnologia/certamen_vida/en/index.ht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