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주광역시 노거수의 분포 및 생육현황
Distribution and Growth Status of Legally Protected Old and Big Trees in Gwangju,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5 no.5, 2011년, pp.736 - 746  

임동옥 (호남대학교 생물학과) ,  제갈은기 (호남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분포하는 보호수노거수의 분포 및 생육현황을 조사하여 보호수와 노거수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광주광역시에 분포하는 보호수는 9종 68개체로 이 중 광산구가 18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노거수는 10종 155개체로 확인되었다. 기존문헌에 잘못 기록된 종명은 정확한 식물명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보호수의 활력도 평균은 1.2였으며 지면상태 평균은 1.7이었고 노거수의 활력도 평균은 1.3, 지면상태 평균은 2.0으로 활력도는 큰 차이가 없었고 지면 상태는 노거수가 조금 더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활력도가 3.2~4.0범위를 보여 절대관리가 필요한 보호수는 광산구 송대동 대촌마을 은행나무 1개체 이었고, 노거수는 광산구 산수동 감동마을의 왕버들 1개체로 나타났다. 보호수 및 노거수의 관리방안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기본적으로 노거수가 자랄 수 있는 최소한의 생육공간을 확보하는 것으로 보호수와 노거수 근계 위의 아스팔트나 시멘트 포장을 제거해 주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ried to present develop a management plan for about old and big trees and legally protected trees by investigating through the present the current status and the distribution of the legally protected trees and old and big tree that range in Gwangju, South Korea. The number of lega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광주광역시 노거수에 대한 자료는 보호수지정관리대장과 2004년 전남대학교 박물관에서 발행된 문화유적분포지도 등이 있지만 현황파악 수준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노거수의 분포 및 생육현황에 대한 현장 조사를 통해 그 관리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생태적 측면에서 그리고 공원녹지 및 문화적 측면의 행정에 도움을 주고자 실시하였다.
  • 보호수로 지정된 개체와 일반 노거수와의 상태를 비교하여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는 개체와 그렇지 않은 개체의 상태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노거수 수간 주변 즉 근계 표면의 포장(콘크리트, 아스팔트)이 노거수 수목생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어(Park et al.
  • 노거수의 활력도에 지면 상태까지 고려하여 노거수 각 부위의 수목생장 정보와 주변환경 실태 항목의 평가 점수를 종합하여 노거수의 전체적인 건상상태와 어떠한 관리가 필요한지를 관리등급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판단은 나무의 전체적인 상태와 더불어 어느 정도 관리가 필요한지를 표현한 것으로서 노거수 감시 수준을 절대관리, 주요관리, 일반관리로 나누어 노거수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산정한 수치를 기준으로 활력도와 지면상태에 따라 관리등급을 구분하였다(Table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거수는 무엇이며, 무엇으로 일컫나요? 노거수는 일반적으로 수령(樹齡)이 오래 된 큰 나무로서 마을 공동체의 문화유산인 ‘전통마을나무’를 일컫는다(Jang and Kim, 2007). 노거수는 수령이 오래된 생태적 지표식물일 뿐만 아니라 마을주민의 커뮤니케이션 장이자 쉼터이며 전설을 지닌 수호목으로서 문화적인 가치 또한 매우 크다.
보호수란 무엇인가요? 노거수 중에는 보호수, 시·도기념물로 지정되어 비교적 보존이 잘 되고 있는 개체들이 있다. 보호수란 노목, 거목, 희귀목으로서 명목, 보목, 당산목, 정자목, 호안목, 기형목 및 풍치목 등 보존할 가치가 있는 수목으로 고사 및 전설이 담긴 수목이나 특별히 보호 또는 증식 가치가 있는 수종을 말한다(Jang and Kim, 2007).
노거수가 고사된 지점에서 더 나아가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어떤 관리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나요? 노거수가 고사된 지점에는 동일종의 묘수를 식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더 나아가 국가적인 차원의 보호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문화재청이나 각 자치단체에서 모수에서 후계목을 양묘하여 유전자원 보존과 더불어 고사할 경우 보식하는 관리방안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ng, K.J., S.J. Lee and H.K. Kang(2003) A study on the growth status of the large old trees as the natural monument of Korea. J. Korean Env. & Reveg. Tech. 6(3): 35-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Museum & Gwangju City(2004) Culture relics distribution map - Gwangju City 1 : 10,000 -. Gwangju City, 406pp. (in Korean) 

  3. Gao, Yuliang and B.J. Cha(2009) Nondestructive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internal decay and vitaity measurement of old-giant trees. Mun Hwa Jae 42(1): 144-157. (in Korean) 

  4. Gwangju City(2006) An environmental white paper. Gwangju City, 736pp. (in Korean) 

  5. Ha, T.J., J.K. Lee, C.M. Yoo and K.Y. Park(2006) A study on vitality measurements of the natural monuments, large and old trees in Chungchengnamdo.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 society 24(3): 87-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eo, S.H. and J.H. Ha(2004) A study on growth condition of the protected trees in Gyeongju-si. J.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3(10): 883-8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Jang, E.J. and J.W. Kim(2007) Ecology & Culture of the old-growth and giant trees of traditional village. Worldscience, Seoul, 365pp. (in Korean) 

  8. Jang, H.C. and J.H. Lee(2005) The study of management state & conservation counterplan of natural monuments - The case of old trees in Gyeongsangnamdo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3(1): 68-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ung, J.S.(2009) A Study on the trees surgery problem and protection measures in monumental old trees. Mun Hwa Jae 42(1): 122-1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ung, J.S., S.H. Ju and J.K. Lee(2008) Study on the surgery condition and conservation management measures in old tree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 Society 26(1): 97-1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ung, K., J.Y. Seo and J.K. Lee(2009) A study on the analysis of growth of Ginkgo and Pine trees for environmental circumstance improvement for old big trees - Focused in precious natural treasures and the designated as treasures by cities and counties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7(1): 57-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ang, H.C., J.H. Lee, K.S. Lee and Y.B. Sagong(2002) An evaluation of the vitality and environmental of old trees on the rural area in Jinju.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 Society 20(4): 27-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ang, H.K. and S.J. Lee(2004) Management Guidelines of natural monuments old trees through an analysis of growing environments II - A focus o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s. J. Korean Env. & Reveg. Tech. 7(2): 36-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H.J., Y.H. Yoon, B.J. Park and W.T. Kim(2007) A study on the growth environment and management status of protected trees in Seoul - Focused on Zelkova serrata.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 Society 25(2): 127-1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H.R., D.Y. Kim, J.S. Park, K.E. Lee and W.J. Park(2010)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management of protected trees in Gangwon-Province.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 Society 28(1): 12-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S.H. and S.H. Kim(1996) A study on old trees as they relate to the organization of space in Pusan - Attaching importance to the growth environment and arrangement from in space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4(2): 86-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T.S., C.H. Lee, I.H. Park and H.Y. Lee(2009) Analysis of growth environment on old tree, a natural monument in Jeon-la do.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 Society 27(4): 136-1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J.B.(2007) A study on growth condition of protected trees by the environmental change - The case of protected trees in Pyungtaek -. Master's degree thesis, Hankyong National Univ., Gyeonggido, 7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J.T.(2000) Study on the values and protection conditions of big and old trees. Master's degree thesis, Chonbuk National Univ., Jeonju, 119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im, D.O. and E.K. Chekar(2010) Growth State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Old and Big Tre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Pro. Kor. Soc. Env. Eco. Con. 20(2): 185-188. 

  21.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10) http://www.kma.go.kr/ (in Korean) 

  22. Park, B.J., Y.H. Yoon, W.T. Kim and W.H. Lee(2007) Analysis of the growth environment of protected trees Zelkova serrata in Chungju.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 Society 25(1): 60-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Park, J.M., J.T. Lee and M.S. Beon(2000) Study on the growth conditions of big and old trees in Chollabuk-do.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 Society 18(3): 86-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Seo, J.Y., Y.Y.Lee, M.H. Na and J. K. Lee(200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rearing status of law -protected trees - with focus on law-protected trees in Hwasung city -.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 Society 27(3): 93-1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Shin, S.K. and W.K. Sim(1992) Status of Maintenance and protection strategies of the law-protected trees in Korea - with special references to Young Dong and Po Un County , Chung Cheng Buk Province, Korea -.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 Society 10(2): 61-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Sim, K.J., S.Y. Kang, S.B. Kim and Y.S. Kim(1999) A study on the transitions of ROGEOSU and Its conservation ideas - The case of Hab-Cheon Gun, Kyung-Nam Province - J. of NERI(Journal of Nakdonggang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4(1): 1-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Sim, W.K.(1991) Symbolic values and protection strategies of the law-Protected tre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 society 9(1): 91-1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Yoon, Y.H. and J.H. Ju(2010) Assessment of growth conditions and maintenance of law-protected trees in Je-cheon city.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 Society 28(2): 67-1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Yu, J.E.(1999)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the aged-big trees in Kyong-In area. Journal of the natural science(Myongji University) 18(1): 59-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