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중등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의 주제별 동향 분석
Trends in Research on Mathematics Curriculum: An Analysis of Research Topic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0 no.4, 2011년, pp.507 - 520  

권나영 (인하대학교) ,  김래영 (이화여자대학교) ,  김구연 (서강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s can be influenced by the ways in which curriculum is understood in terms of its characteristics and range. Viewing curriculum as encompassing all activities pertaining to teaching and learning allows us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education through curriculum stu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IMSS 관련 연구는 공개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학교 수학교육의 실태조사와 비교하거나(김민경·노선숙, 2001)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도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나귀수, 2003), TIMSS 추이문항 분석(김선희·김경희, 2009) 등으로 국제 성취도 검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 예를 들어, 최승현과 이대현(2005)은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시행된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적용에 대한 문제점이나 개선 방향에 대해 고등학교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쟁점들을 설명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논문 제목 혹은 키워드에 “수학과 교육과정”이 포함된 논문들을 수집하여 그 연구 논문들이 다루고 있는 주제들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초점은 각 논문의 연구자가 본인의 논문이 수학교과 교육과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연구로 간주하거나 혹은 정의하는지 여부에 있다. 교육과정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어떠한 연구물을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로 포함시킬 것인지는 달라질 수 있다.
  • 교육과정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어떠한 연구물을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로 포함시킬 것인지는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관련 연구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수학과 교육과정이라는 용어를 제목이나 키워드에 직접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연구로 제한함으로써 교육과정이라는 개념이 연구자들로 하여금 어떠한 연구맥락에서 인식되거나 사용되고 있는지에 초점을 둔 것이다.1)
  •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2000-2010년) 한국 연구 재단의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초·중등 수학과 교육과정에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여 연구 주제들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2000-2010년) 한국 연구 재단의 등재지에 수록된 수학과 교육과정 관련 연구 논문들을 검토함으로써, 초·중등 수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들이 다루고 있는 주제의 패턴을 찾아 최신 연구 동향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주제별 논문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성 및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 최근 10년간 등재지에 게재된 수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124편의 논문들 중 36편이 교육과정의 이론적 개념이나 내용, 교육과정 개발의 기본 방향, 교육 정책과 관련된 논문이었다. 이 논문들은 시행되고 있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만들고 개선하는데 있어 생각해야 할 문제들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런 내용으로 인해 새로운 교육과정이 계획되고 실행되는 시기와 맞물려 연구물들이 학술지에 게재되는 경향을 보였다.
  • 이 주제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수학과 교육과정을 직접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한 논문과 수학과 교육과정이 구체적으로 제시된 교과서를 특정 수학내용 영역 혹은 개념 등의 제시방법이나 유형들로 분석한 논문들이었다. 이 절에서는 수학교육과정 연구에서 수량이나 그 의미에서 중요한 교과서, 수학내용에 대한 논문들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과정을 살펴보는 것의 의미는? 교육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단순히 교수요목을 보는 것을 넘어 교수-학습 활동이 포함된 교육 활동 전반을 살핀다는 의미를 지닌다. 우리나라에서는 1954년에 공포된 ‘국민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사범학교 교육과정 시간 배당기준령’에서 교육과정을 “각 학교의 교과목 및 기타 교육 활동의 편제를 말한다”(제 1장 총칙의 제 2조)라고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2000-2010년) 한국 연구 재단의 등재지에 수록된 수학과 교육과정 관련 연구 논문들을 검토함으로써, 초·중등 수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들이 다루고 있는 주제의 패턴을 찾아 최신 연구 동향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주제별 논문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성 및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교육과정에 대한 다각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기존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에서 어떤 주제들이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림 1>에서 제시한 포괄적인 개념으로서의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볼 때 어떠한 연구 및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논문은 찾기 힘들다.
2차 교육과정부터 교육과정의 의미가 뜻하는것은? 하지만, 제 2차 교육과정부터 교육과정의 의미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모든 학습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것은 교수요목만을 의미하는 것에서 벗어나, 학습의 모든 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범위가 넓어진 것이다. 이후 한국 교육 개발원의 보고서(한국 교육 개발원, 1979)에서는 “교육과정이란 학교에서 전개되고 실현될 교육 실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일정 학생에게 무엇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를 국가 수준에서 규정하는 의도되고 문서화된 계획을 의미한다”(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4)

  1. 강명원?김성호?박지훈?이선준?차용우?고상숙 (2010).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평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4(2), 301-323. 

  2. 강현영?박문환?박교식 (2009).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소수 도입에 대한 분석과 비판. 학교수학, 11(3), 463-477. 

  3. 김구연 (2010). The analysis of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Addition and subtraction in grade 3. 교육과정평가연구, 13(2), 59-78. 

  4. 김남희 (2001).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7-가] 단계의 변수의 개념 지도에 관한 교수학적 논의. 수학교육학연구, 11(1), 67-87. 

  5. 김남희 (2005). 제 7차 교육과정의 이산수학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7(1), 77-101. 

  6. 김남희?나귀수?박경미?이경화?임재훈?정영옥?황혜정?고은성 (2005). 중등 수학과 교육과정 국제비교. 교원교육, 21(1), 50-68. 

  7. 김래영 (2010). Non-textual elements as opportunities to learn: An analysis of Korean and U.S. mathematics textbooks. 학교수학, 12(4), 605-617. 

  8. 김민경?노선숙 (2001). 우리나라 수학교육과정 현황 및 TIMSS 연구결과와의 비교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1(1), 137-156. 

  9. 김부윤?김윤영 (2000). 고등학교 수학에서의 미분 단원 의 내용 구성에 관한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0, 221-236. 

  10. 김상미 (2008).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이행에 따른 학년간 내용 이동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11(2), 95-103. 

  11. 김상화?방정숙?정희진 (2005).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 분석. 교원교육, 21(2), 58-75. 

  12. 김선희?김경희 (2009). 교육과정에 근거한 TIMSS 2007 공개 추이문항의 정답률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9(1), 99-121. 

  13. 김성준 (2002). 대수 교육과정의 변화에 관한 고찰-패턴에 기초한 대수 도입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2(3), 353-369. 

  14. 김훈?박은영?김종득 (2006). 한국과학영재학교 수학교 과과정 개정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0(1), 75-86. 

  15. 나귀수 (2003). TIMSS-R 국제성취수준에 따른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 분석- 교육과정, 교과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3(3), 383-403. 

  16. 노선숙?김민경?유현주?차인숙 (2001). 창조적 지식기반사회의 수학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연구-수학교육목표에 대한 교사.학생의 인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0(2), 162-177. 

  17. 류희찬 (200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 관점, 목표, 형식. 교원교육, 21(2), 76-90. 

  18. 문교부 (1954). 국민학교?중학교?고등학교?사범학교 교육과정 시간배당기준령 (문교부령 제 35호). 

  19. 박경미?김남희?나귀수?방정숙?이경화?임재훈?정영옥?정희진?황혜정 (2000).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교원교육, 21(1), 32-49. 

  20. 박교식 (2001a). 제 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문제해결 관련 내용의 분석. 학교수학, 3(1), 1-23. 

  21. 박교식 (2001b). 제 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 용어에 대한 연구. 학교수학, 3(2), 233-248. 

  22. 박혜숙 (2010).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기본 고려사항.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9(3), 343-351. 

  23. 방승진?최승오 (2006). 수학과 AP(Advanced Placement) 결과 분석 및 교육과정 연구: 2005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 지원 AP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0(1), 103-115. 

  24. 방정숙?김상화 (2006). 문제해결과 관련된 제 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분석. 학교수학, 8(3), 341-364. 

  25. 방정숙?이지영 (2009).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학교수학, 11(4), 723-743. 

  26. 백대현 (2010).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용어 사용과 표현의 적절성 고찰. 학교수학, 12(1), 61-77. 

  27. 백석윤?이명희 (2003).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 경향 재고: Ernest의 수학교육 철학적 관점에서. 학교수학, 5(2), 151-165. 

  28. 서경혜?유솔아?정진하 (2003a). 초등수학 교육과정 내용 조직 비교 분석: 제 7차 교육과정과 Everyday Mathematics. 교육과학연구, 33(2), 21-55. 

  29. 서경혜?유솔아?정진하 (2003b). 제 7차 초등학교 수학교육과정 내용 체계 분석. 초등교육연구, 16(2), 159-184. 

  30. 송정화?권오남 (2002). 6차와 7차 교과서 분석을 통한 그래프 지도 방안. 학교수학, 4(2), 161-191. 

  31. 신중필?노영순 (2000). 제 6, 7차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 과정 비교 분석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3(1), 165-171. 

  32. 신현성 (2001).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혁변인에 대한 소고.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4(2), 27-32. 

  33. 신현용 (200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절차에 관한 제언.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4(2), 169-178. 

  34. 우정호 (2004). 인간 교육을 위한 주요교과로서의 학교수학. 학교수학, 6(4), 313-324. 

  35. 임재훈?이경화?박경미 (2002). 남북한 수학 교과서 영역별 분석 및 표준 수학 교육과정안 개발 연구 (1) -남북한 학교 수학 용어 통합 방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2(4), 493-508. 

  36. 이강섭?김규상 (2003).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확률과 통계' 영역의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5, 113-117. 

  37. 이강섭?이민규 (2003).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참신성과 독창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6, 181-190. 

  38. 이경진 (2005). 대학부설 연구소와 초등 교사들의 협력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 사례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 교육과정' 개발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18(2), 335-361. 

  39. 이대현 (2009). 수학 교과서의 덧셈과 뺄셈 문장제와 그 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분석. 학교수학, 11(3), 479-496. 

  40. 이대현?임재훈 (2005).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성에 관한 학생 의견 조사 연구. 수학교육, 44(4), 509-524. 

  41. 이대현?최승현 (2006). 제 7차 수학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5(2), 231-244. 

  42. 이명희 (2000). 수학 교육 철학적 분석을 통한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경향 파악. 한국초등수학회, 4, 39-55. 

  43. 이영하?김미연 (2002). 수학과 7-가 교과서 단원도입활동의 내용소재 변화 및 활용실태 조사 연구-제 6차와 7차 교과서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4(3), 375-399. 

  44. 이재돈 (2000). 과거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2000년대 수학교육의 전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0, 441-457. 

  45. 임문규 (2001). 제 7차 교육과저에 따른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교재의 문제 만들기 내용 분석 및 학생들의 실태 조사. 학교수학, 3(2), 295-324. 

  46. 장경윤 (2003). 제 7차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적용의 쟁점과 개선방향: 2005학년도 대학입학전형제도와 관련하여. 학교수학, 5(1), 27-42. 

  47. 장경윤 (2007). ICT 시대의 대수교육의 방향과 과제. 학교수학, 9(3), 409-426. 

  48. 장대흥 (2007). 제 7차 1-6단계 수학과 교육과정 상의 확률과 통계영역 교과서에 대한 통계적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1(3), 361-384. 

  49. 정인수 (2007).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안의 특징 및 의의. 교원교육, 23(1), 137-145. 

  50. 정인숙?류희찬 (2006). Not as easy as it looks: Korean elementary classroom teacher perceptions of mathematics curriculum. 학교수학, 8(4), 365-377. 

  51. 정환옥?노정학 (2005). 한국과 독일의 중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II - 중학교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4(1), 1-14. 

  52. 조완영?정보나 (2002).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작도영역의 교과서와 수업사례 분석. 학교수학, 4(4), 601-615. 

  53. 최근배?김해규 (2005). 한국과 미국의 초등수학 교과서 (Harcourt Math) 비교 연구 - 도형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4(2), 179-200. 

  54. 최승현 (2007). 수학과 선택 교육과정 개정 방향 및 주요 특징. 교원교육, 23(1), 163-173. 

  55. 최승현?이대현 (2005).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4(3), 325-336. 

  56. 최승현?황혜정 (2004a).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과정 및 내용에 관한 분석 연구-시.도 및 초등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3(4), 321-335. 

  57. 최승현?황혜정 (2004b).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실태 분석 연구: 초등 단위학교 및 교사 수준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6(2), 213-233. 

  58. 최승현?황혜정 (2005).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실태 분석 연구: 중등학교 단위학교 및 교사 수준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7(2), 193-219. 

  59. 최승현?황혜정?신항균 (2002). 수학과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및 예시 평가도구 개발 연구-국민공통교육기간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2(1), 145-162. 

  60. 최택영?함석돈 (2001)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편성,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0(2), 179-194. 

  61. 표용수?이지원 (2007).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실생활문제의 개발과 적용: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도형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1(2), 177-197. 

  62. 한국교육개발원 (1979).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선 연구, 연구 보고 제 110집. 

  63. 한진규.서종진 (2004). 한국과 미국(North Carolina주)의 확률과 통계 교육 내용 비교.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8(1), 89-98. 

  64. 황혜정 (2008). 미국 조지아주와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연구 - 수와 연산 및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629-654. 

  65. Alexander, R. J. (2001). Border crossing: Towards a comparative pedagogy. Comparative Education, 37(4), 507-523. 

  66. Chavez, O. (2006). From the textbook to the enacted curriculum.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North America XXVIII, Yucatan, Mexico. 

  67. Ornstein, A. C. (1987). The field of curriculum: What approach? what definition? High school Journal, 70(4), pp.208-216. 

  68. Remillard, J. T., & Bryans, M. B. (2004). Teachers' orientations toward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Implications for teacher learn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5, 352-388. 

  69. Remillard, J. T., Herbel-Eisenmann, B. A., & Lloyd, G. M. (Eds.). (2009). Mathematics teachers at work: Connecting curriculum materials and classroom instruction. New York, NY: Routledge. 

  70. Reys, B. J., Reys, R. E., & Rubenstein, R. (Eds.). (2010). Mathematics curriculum: Issues,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Reston, VA: NCTM. 

  71. Schmidt, W. H., McKnight, C. C., Houang, R. T., Wang, H., Wiley, D. E., Cogan, L. S., & Wolfe, R. G. (2001). Why schools matter: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curriculum and learning. San Francisco, CA: Jossey-Bass. 

  72. Stein, M. K., Remillard, J. T., & Smith, M. S. (2007). How curriculum influences student learning. In F. K.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319-370).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73. Stigler, J. W. (1990). Mathematical knowledge of Japanese, Chinese, and Americ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Reston, VA: NCTM. 

  74. Valverde, G. A., Bianchi, L. J., Wolfe, R. G., Schmidt, W. H., & Houang, R. T. (2002). According to the book: Using TIMSS to investigate the translation of policy into practice through the world of textbooks.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