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름철 황해 동부 연안을 따라 흐르는 연안 경계류: 수치 모델 실험
Coastal Current Along the Eastern Boundary of the Yellow Sea in Summer: Numerical Simulations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6 no.4, 2011년, pp.155 - 168  

권경만 (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학과) ,  최병주 (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학과) ,  이상호 (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학과) ,  조양기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장찬주 (한국해양연구원 기후변화연안재해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여름철 황해 동부 연안 저층에 형성되는 수온전선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연안 경계류의 크기와 위치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3차원 수치모형인 ROMS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여름에 수심이 깊은 외해에서는 태양 가열로 강한 성층에 존재하지만 수심이 얕은 연안에서는 조류가 일으키는 저층 혼합으로 해수물성이 연직으로 잘 혼합된다. 이 과정에서 성층화된 외해와 연직 혼합이 잘되고 수온이 높은 연안 사이에서 수온전선이 형성되며, 수온전선을 가로 지르는 방향의 밀도 구배에 의해 수온전선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연안 경계류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해류계를 이용한 현장 관측에서도 약 10 cm/s로 북상하는 연안 경계류가 관측되었다. 이러한 수온전선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연안 경계류는 주로 조류와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조류에 의한 저층 혼합과 바람에 의한 표층 혼합이 여름철 황해 동부 경계류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다. 바람에 의한 표층 혼합은 북쪽으로 흐르는 황해 동부 연안 경계류의 폭을 더 넓게 하여 수송량을 증가시킨다. 강물의 유입과 일사량의 변화는 연안 경계류의 세기와 위치 변화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성층이 강하게 이루어지는 여름철 황해 동부 연안 $36^{\circ}N$에서는 대조기(소조기) 동안 강한(약한) 조류가 북쪽으로 흐르는 해류의 수송량을 증가(감소)시키지만, 동안 경계류의 위치를 크게 변화시키지는 않는다. 연안 경계류의 평균적인 위치는 바람의 세기 변화에 따라 변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astal boundary current flows along the eastern boundary of the Yellow Sea and its speed was about 0.l m/s during the summer 2007. In order to find major factors that affect the coastal boundary current in the eastern Yellow Sea,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experiments were performed. The mod...

주제어

참고문헌 (36)

  1. 국립해양조사원, 2007. 해양조사기술연보 2007. 

  2. 최병호, 1990. 세격자체계의 황해 및 동지나해 조석모형의 개발, 한국해양공학회지, 2: 231-244 

  3. Beardsley, R.C., R. Limeburner, K. Kim, and J. Candela, 1992. Lagrangian flow observations in the East China Sea, Yellow and Japan Seas. La Mer, 30: 297-314. 

  4. Bowers, D.G, J.H. Simpson, 1987. Mean position oftidal fronts in Europen-shelf seas. Cont. Shelf Res., 7: 35-44. 

  5. Chen, C. and R.C. Beardsley, 1995. A numerical study of stratified tidal rectification over [mite-amplitude banks, I, Symmetric banks. J. Phys. Oceanogr., 25: 2090-2110. 

  6. Chen, C., R.C. Beardsley, and R. Limeburner, 1995. A numerical study of stratified tidal rectification over finite-amplitude banks, II, Georges Bank. J. Phys. Oceanogr., 25: 2111-2128. 

  7. Cho, Y.K., B.H. Choi, and H.W. Chung, 1995. Variation oftidal front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J. Korean Soc. Coast. ocean Eng., 7: 170-175. 

  8. Choi, J.K., 1991. The influence of the tidal front on primary productivity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mid-eastern coast of Yellow Sea. J. Oceano. Soc. Korean, 26: 223-241. 

  9. Egbert, GD., and S.Y. Erofeeva, 2002. Efficient inverse modeling of barotropic ocean tides. J. Atmo. Ocean. Technol., 19: 183-204. 

  10. Fairall, C.w., E.F. Bradley, D.P. Rogers, J.B. Edson, and GS. Young, 1996. Bulk parameterization of air-sea fluxes in TOGA COARE. J. Geophys. Res., 101: 3747-3767. 

  11. Huthnance, J.M., 1973. Tidal current asymmetries over the Norfolk sandbanks. Estuarine, Coastal Mar. Sci., 1: 89-99. 

  12. James, I.D., 1977. A model of the annual cycle of temperature in a frontal region of the Celtic Sea. Estuarine, Coastal Mar. Sci., 5: 339-353. 

  13. Lie, HJ, 1989. Tidal fronts in the southern Hwanghae (Yellow Sea), Cont. Shelf Res., 9: 527-546. 

  14. Lee, S.H., and R.C. Beardsley, 1999. Infuence of stratification on residual tidal currents in the Yellow Sea. J. Geophy. Res., 104: 15679-15701. 

  15. Lee, S.H., and H.Y. Choi, 1997. A numerical model study of residual tidal currents in the mid-eastern Yellow Sea - initial stratification. The Yellow Sea, 3: 58-70. 

  16. Naimie, C.E., C.A. Blain, and D.R. Lynch, 2001. Seasonal mean circulation in the Yellow Sea: A model-generated climatology. Cont. Shelf Res., 21: 667-695. 

  17. Niino, H. and K. O. Emery, 1961. Sediments of shallow portions of East China Sea and South China Sea. Geol. Soc. Amer. Bull., 72: 731-762. 

  18. Pingree, R.D., P.M. Holligan, and G.T. Mardell, 1978. The effects of vertical stability on phytoplankton distributions in the summer on the northwest European shelf. Deep Sea Res., 25: 1011?1028. 

  19. Seo, G.- H., S. Kim, B.-J. Choi, Y.-K. Cho, and Y.-H. Kim, 2009. Implementation of the Ensemble Kalman Filter into a Northwest Pacific Ocean Circulation Model, in Data Assimilation for Atmospheric, Oceanic and Hydrologic Applications. edited by S.K. Park and L. Xu, Springer, Berlin, pp. 341?352. 

  20. Seo, S.N., 2008. Digital 30sec Gridded Bathymetric Data of Korea Marginal Seas - KorBathy30s. J. Korean Soc. Coast. ocean Eng., 20: 110?120. 

  21. Seung, Y.H., 1987. A summer circulation inferred from the density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eastern Yellow Sea. J. Ocean. Soc. of Korea, 22: 63?70. 

  22. Seung, Y.H., J.H. Chung, and Y.C. Park, 1990. Oceanographic studies related to the tidal front in the mid-Yellow Sea off Korea. J. Oceanol. Soc. Korea, 28: 121?131. 

  23. Shchepetkin, A.F. and J.C. McWilliams, 2000. The regional ocean modeling system: a split-explicit, free surface, topography-following coordinate ocean model. Geophy. and Planet. Phy. UCLA, Los Angeles, CA, 31 pp. 

  24. Simpson, J.H., and J.R. Hunter, 1974. Fronts in the Irish Sea. Nature, 250: 404?406. 

  25. Simpson J.H., C.M. Allen and N.C.G. Morris, 1978. Fronts on the continental shelf. J. Geophys. Res., 83: 4607-4614. 

  26. Simpson J.H. and D. Bowers, 1979. Shelf sea fronts' adjustment revealed by satellite IR imagery. Nature, 280: 648?651. 

  27. Simpson J.H. and D. Bowers, 1981. Models of stratification and frontal movement in shelf seas. Deep Sea Res., 28: 727?738. 

  28. Simpson J.H., P.B. Tett, M.L. Argote-Espinoza, A. Edwards. K.J. Jone and G. Savidge, 1982. Mixing and phytoplankton groth around an island in a stratified sea. Cont. shelf Res., 1: 15?31. 

  29. Song, Y., and D.B. Haidvogel, 1994. A semi-implicit ocean circulation model using a generalized topography-fllowing coordinate system. J. Comput. Physic. 115: 228?244. 

  30. Sun, Y.-J., and Y.-K. Cho, 2010. Tidal front and its relation to the biological process in coastal water. Ocean Sci. J. 45: 243?251. 

  31. Uda, M., 1934. The results of simultaneous oceanographical investigations in the Japan Sea and its adjacent waters in May and June, 1932. J. Imperial Fishery Experimental Station, 5: 57?190. 

  32. Xia, C., F. Qiao, Y. Yang, J. Ma, and Y. Yuan, 2006.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summertime circulation in the Yellow Sea from a wave-tide-circulation coupled model. J. Geophys. Res., 111: C11S03, doi:10.1029/2005JC003218. 

  33. Yanagi, T., A. Morimoto, and K. Ichikawa, 1997. Sesonal variation in surface circulation of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derived from satellite altimetric data. Cont. Shelf Res., 17: 655?644. 

  34. Yanagi, T., and S. Takahashi, 1993. Seasonal Variation of Circulations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J. Oceanorg., 49: 503?520. 

  35. Yang, J.Y., 2006. Path variablity of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in summer.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99 pp. 

  36. Yuan, Y.C., and J. Su, 1984. Numerical modelling of the circulation in the East China Sea. In: Ichiye, T. (Dd.), Ocean Htdrodynamics of the Japan and East China Seas. Oceanography Series, 39, Elsevier, Amsterdam, pp. 167?1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