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otal coordination in the pursuit fashion sensibility among women their 20'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from 410 women in their 20'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ug. 5 to Aug. 15, 2009. Most women 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otal coordination in the pursuit fashion sensibility among women their 20'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from 410 women in their 20'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ug. 5 to Aug. 15, 2009. Most women emphasized on clothing for total coordination and utilized clothing color and style as a selection criteria. They tried to match makeup and clothing, and spent more time considering makeup, hair styles, and fashion accessaries than clothing for their total coordination. Factors of fashion sensibility included luxury and fashion, casualness and ethnicity, modernity, sociality, activity, and sexual attractiveness and women were segmented into fashionably sensible intermediate, low, and high groups according to their fashion sensibility. The fashionably sensible intermediate group predominantly encompassed women who were unmarried or in their late 20's, unemployed, highly educated, or of low economic status, preferred to mixing and matching colors, and who utilized their individuality or makeup color for total coordination. The fashionably sensible low group encompassed homemakers, in their early 20's, high school graduates or university students, who utilized their clothing or hair color within their total coordination criteria. The fashionably sensible high group encompassed unmarried career women in their mid 20's or of high economic status, who spent much money on their clothing, makeup, hair styles, and fashion accessaries, who preferred achromatic, warm or cool colors, and utilized their individuality or fashion col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otal coordination in the pursuit fashion sensibility among women their 20'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from 410 women in their 20'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ug. 5 to Aug. 15, 2009. Most women emphasized on clothing for total coordination and utilized clothing color and style as a selection criteria. They tried to match makeup and clothing, and spent more time considering makeup, hair styles, and fashion accessaries than clothing for their total coordination. Factors of fashion sensibility included luxury and fashion, casualness and ethnicity, modernity, sociality, activity, and sexual attractiveness and women were segmented into fashionably sensible intermediate, low, and high groups according to their fashion sensibility. The fashionably sensible intermediate group predominantly encompassed women who were unmarried or in their late 20's, unemployed, highly educated, or of low economic status, preferred to mixing and matching colors, and who utilized their individuality or makeup color for total coordination. The fashionably sensible low group encompassed homemakers, in their early 20's, high school graduates or university students, who utilized their clothing or hair color within their total coordination criteria. The fashionably sensible high group encompassed unmarried career women in their mid 20's or of high economic status, who spent much money on their clothing, makeup, hair styles, and fashion accessaries, who preferred achromatic, warm or cool colors, and utilized their individuality or fashion colo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토털 코디네이션을 통한 자신의 외모관리에 관심과 투자가 가장 높은 20대 여성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패션상품에서 추구하는 패션감성의 요인을 파악한 후, 이를 기준으로 유형화된 집단의 토털 코디네이션 연출 특성을 파악하여 토털 코디네이션 관련 업체의 상품 기획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토털 코디네이션을 통한 자신의 외모관리에 관심과 투자가 가장 높은 20대 여성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패션상품에서 추구하는 패션감성의 요인을 파악한 후, 이를 기준으로 유형화된 집단의 토탈 코디네이션 연출 특성을 파악하여 토털 코디네이션 관련 업체의 상품 기획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두었다. 본 연구자들이 작성한 설문지로 20대 여성 4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제안 방법
즉, 피부색은 화장이나 의복과의 토털 코디네이션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얼굴형이 둥근 사람은 클래식 스타일이나 캐주얼 스타일의 의복을 선호하고, 의복 및 신발의 색과 스타일을 고려하여 가방을 들고, 의복 색상에 맞는 양말이나 스타킹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하였다. 얼굴형이 역삼각형이나 네모형인 사람은 원색이나 파스텔 계통의 캐주얼 스타일과 로맨틱, 아방가르드, 매니쉬 스타일의 의복을 선호하고, 의복 스타일에 맞춰 헤어 스타일에 변화를 주어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였다. 또, 피부색이 흰 사람은 무채색 계열의 의복을 선호하며 토털 코디네이션을 위하여 의복 색이나 스타일에 맞춰 신발을 선택하고, 헤어스타일, 화장, 패션 액세서리, 스카프, 모자, 양말이나 스타킹에 변화를 많이 주어 높은 토털 코디네이션 관심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2. 20대 여성들의 패션감성 추구의 요인구조를 파악한 후 이들 요인을 기준으로 유형화한다.
3. 패션감성 추구의 요인에 따라 유형화된 집단의 인구통계적 특성 및 토털 코디네이션 연출 특성의 차이를 파악한다.
본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는 인구통계적 변인, 토털 코디네이션 특성과 관련된 변인, 패션감성 추구에 관한 3부분으로 구성되었다.
20대 여성들이 추구하는 패션감성을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기 위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인자를 발췌하기 위하여 배리맥스 회전에 의한 주성분 분석을 하였고, 요인의 수는 고유값 1을 기준으로 하였다. 신뢰도가 낮은 1문항을 삭제하고 최종 6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였으며, 이들 요인들의 총 설명력은 73.
첫째, 20대 여성들은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할 때 의상에 가장 비중을 많이 두며, 자기 이미지를 높이고 유행을 따르기 위하여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며, 다양한 색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며 의상의 색을 기준으로 TOP(시간, 장소, 상황)에 맞게 연출하였다. 또, 이들은 의상 스타일에 맞춰 헤어스타일에 변화를 주거나 화장을 하고 가방을 들었으며, 1년 동안 지출하는 의상 구입비에 비하여 토털 코디네이션을 위한 화장, 헤어 관리, 패션 액세서리를 구입하는 비용을 많이 지출하였으며, 이들 지출비 사이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대상자는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500명이었다. 2009년 8월 5일부터 2009년 8월 15일 사이에 대학교, 사무실 밀집지역, 전업주부 등을 포함하여 주택가와 아파트 인근에서 설문지를 500부 배부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500명이었다. 2009년 8월 5일부터 2009년 8월 15일 사이에 대학교, 사무실 밀집지역, 전업주부 등을 포함하여 주택가와 아파트 인근에서 설문지를 500부 배부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443부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것으로 판단된 33부를 제외한 410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2009년 8월 5일부터 2009년 8월 15일 사이에 대학교, 사무실 밀집지역, 전업주부 등을 포함하여 주택가와 아파트 인근에서 설문지를 500부 배부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443부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것으로 판단된 33부를 제외한 410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토털 코디네이션을 통한 자신의 외모관리에 관심과 투자가 가장 높은 20대 여성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패션상품에서 추구하는 패션감성의 요인을 파악한 후, 이를 기준으로 유형화된 집단의 토탈 코디네이션 연출 특성을 파악하여 토털 코디네이션 관련 업체의 상품 기획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두었다. 본 연구자들이 작성한 설문지로 20대 여성 4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데이터처리
셋째, 연구 대상자들이 추구하는 패션감성을 기준으로 집단을 유형화한 후, 각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토털 코디네이션 관련 변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χ2-test 또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토털 코디네이션 변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이 지불하는 의상비, 화장품, 헤어, 패션 액세서리 구입비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토털 코디네이션 변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이 지불하는 의상비, 화장품, 헤어, 패션 액세서리 구입비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연구 대상자들이 추구하는 패션감성을 기준으로 집단을 유형화한 후, 각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토털 코디네이션 관련 변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χ2-test 또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패션감성의 6개 요인을 기준으로 적절한 집단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K-집단 군집분석으로 집단의 수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집단 수를 3개로 지정하였을 때 유형화된 집단 간 차이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이론/모형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나이, 학력, 결혼 여부, 직업, 월 가계소득 등 5문항이었고, 지유선택형으로 구성되었다. 토털 코디네이션 특성에 관한 문항은 선행 연구들17~20)을 참고로 토털 코디네이션 연출 방법에 관한 5문항, 연출 도구에 관한 9문항, 토털 코디네이션 연출요소의 우선 순위에 관한 1문항, 토털 코디네이션 연출비용에 관한 4문항 등이었고, 선택형과 단답형으로 구성되었다. 패션감성 추구에 관한 문항은 선행연구들21~23)을 참고로 33문항은 5점 Likert형으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추구 수준이 높았다.
성능/효과
경제적 풍요로움은 생활의 질을 향상시켜 주었으며, 이에 따라 패션 라이프스타일도 변화하고 의생활의 질도 높아졌다. 여성들은 다양한 패션 디자인의 요소나 패션 아이템을 결합하여 개성적이고 아름다운 외모를 가꾸기 위해 토털 코디네이션 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검색 및 활용하고 있다.
은소영 등8)은 패션감성의 차원으로 매력성, 귀여움, 대담성, 부드러움을 추출하고, 20대 여성에게 의복 배색에서 느끼는 가장 중요한 시각적 감성은 매력성과 귀여움이라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패션감성의 요인에는 심미성, 활동성, 개성, 여성성, 성숙성, 귀여움, 매력 등이 포함되었다.
또, 피부색이 흰 사람은 무채색 계열의 의복을 선호하며 토털 코디네이션을 위하여 의복 색이나 스타일에 맞춰 신발을 선택하고, 헤어스타일, 화장, 패션 액세서리, 스카프, 모자, 양말이나 스타킹에 변화를 많이 주어 높은 토털 코디네이션 관심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대다수 여성들이 토털 코디네이션에 관심이 높고,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외모에 대한 자신감이 자신을 장식하고 싶은 욕구를 자극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나이, 학력, 결혼 여부, 직업, 월 가계소득 등 5문항이었고, 지유선택형으로 구성되었다. 토털 코디네이션 특성에 관한 문항은 선행 연구들17~20)을 참고로 토털 코디네이션 연출 방법에 관한 5문항, 연출 도구에 관한 9문항, 토털 코디네이션 연출요소의 우선 순위에 관한 1문항, 토털 코디네이션 연출비용에 관한 4문항 등이었고, 선택형과 단답형으로 구성되었다.
2%나 되었다. 이상과 같이 20대 여성들은 의상을 구입하기 위하여 지출하는 비용에 비하여 화장품, 헤어 관리비, 패션 액세서리를 구입하기 위하여 지출하는 비용이 많아 토털 코디네이션을 위하여 지출하는 비용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의상 구입비, 화장품 구입비, 헤어관리비, 패션 액세서리 구입비 사이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연간 의상 구입비가 많을수록 화장품 구입비, 헤어 관리비, 패션 액세서리 구입비가 모두 높고, 화장품 구입비 지출이 많을수록 헤어관리비나 패션 액세서리 구입비 지출도 많았으며, 헤어 관리비가 많을수록 패션 액세서리 구입비도 많았다.
의상 구입비, 화장품 구입비, 헤어관리비, 패션 액세서리 구입비 사이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연간 의상 구입비가 많을수록 화장품 구입비, 헤어 관리비, 패션 액세서리 구입비가 모두 높고, 화장품 구입비 지출이 많을수록 헤어관리비나 패션 액세서리 구입비 지출도 많았으며, 헤어 관리비가 많을수록 패션 액세서리 구입비도 많았다.
인자를 발췌하기 위하여 배리맥스 회전에 의한 주성분 분석을 하였고, 요인의 수는 고유값 1을 기준으로 하였다. 신뢰도가 낮은 1문항을 삭제하고 최종 6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였으며, 이들 요인들의 총 설명력은 73.73%였다.
50%를 설명하였다. 이들 6요인의 평균을 비교하면 고급스러움 및 유행성이 3.15로 가장 높았고, 이어 활동성, 현대성, 성적매력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김지연과 이경희,27) 이은령과 이경희28)의 연구에서 도출되었던 패션감성 요인들과 부분적으로 일치하였다.
패션감성의 6개 요인을 기준으로 적절한 집단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K-집단 군집분석으로 집단의 수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집단 수를 3개로 지정하였을 때 유형화된 집단 간 차이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표 8〉은 패션감성의 요인을 기준으로 20대 여성들을 유형화한 결과이다.
61%를 차지하였다. 집단 2는 패션상품의 고급스러움 및 유행성, 캐주얼 및 토속성, 현대성, 사교성, 활동성, 성적매력에 대한 감성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가장 낮으므로 패션감성 무관심 집단으로 명명하였으며, 20대 여성들의 45.57%로 집단 크기가 가장 컸다. 집단 3은 패션상품의 고급스러움 및 유행성, 캐주얼 및 토속성, 현대성, 사교성, 활동성, 성적매력에 대한 감성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가장 높으므로 패션감성 고추구집단이라 명명하였으며 11.
57%로 집단 크기가 가장 컸다. 집단 3은 패션상품의 고급스러움 및 유행성, 캐주얼 및 토속성, 현대성, 사교성, 활동성, 성적매력에 대한 감성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가장 높으므로 패션감성 고추구집단이라 명명하였으며 11.82%로 집단 크기가 가장 작았다.
20대 여성들의 나이, 학력, 결혼 여부, 직업, 가정의 월 평균 수입에 따라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패션감성 중도집단에는 20대 후반인 여성들이 많았고, 패션감성 무관심집단에는 20대 초반인 여성들이 많았으며, 패션감성 고추구집단에는 20대 중반인 여성들이 많았다.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할 때 비중을 가장 많이 두는 요소, 연출 목적, 연출 방법 등은 유형화된 집단 사이에서 유의차가 없었으나, 선호 색상과 색상 선택 기준은 유형화된 집단 사이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즉, 패션감성 중도집단에는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할 때 다양한 색을 복합적으로 선호하고, 자신의 개성, 화장 또는 계절을 상징하는 색을 기준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패션감성 무관심집단에는 무채색, 중성색, 난색 또는 한색 등을 선호하고, 의상이나 헤어의 색을 기준으로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는 경우가 많았다.
패션감성에 따라 유형화된 집단은 의상스타일에 맞춰 헤어스타일, 화장, 스타킹 또는 양말, 모자를 착용하거나, 의상과 신발 스타일에 맞춰 가방을 들어서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는 정도에서는 집단 간 유의차가 없었으나, 의상스타일에 맞춰 목걸이 또는 반지, 신발, 선글라스 또는 안경, 스카프 또는 목도리를 착용하여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는 정도에서는 유의차가 있었다. 즉, 패션감성 중도 집단은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기 위하여 의상 스타일에 맞춰 목걸이 또는 반지나 신발을 착용하는 정도가 다른 집단보다 더 높았으나, 선글라스 또는 안경, 스카프 또는 목도리를 착용하는 정도는 가장 낮았다.
패션감성에 따라 유형화된 집단은 의상스타일에 맞춰 헤어스타일, 화장, 스타킹 또는 양말, 모자를 착용하거나, 의상과 신발 스타일에 맞춰 가방을 들어서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는 정도에서는 집단 간 유의차가 없었으나, 의상스타일에 맞춰 목걸이 또는 반지, 신발, 선글라스 또는 안경, 스카프 또는 목도리를 착용하여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는 정도에서는 유의차가 있었다. 즉, 패션감성 중도 집단은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기 위하여 의상 스타일에 맞춰 목걸이 또는 반지나 신발을 착용하는 정도가 다른 집단보다 더 높았으나, 선글라스 또는 안경, 스카프 또는 목도리를 착용하는 정도는 가장 낮았다. 패션감성 중도집단과 반대로 패션감성 고추구집단은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기 위하여 의상스타일에 맞춰 목걸이 또는 반지나 신발을 착용하는 정도가 가장 낮았으나, 선글라스 또는 안경, 스카프 또는 목도리를 착용하는 정도는 가장 높았다.
즉, 패션감성 중도 집단은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기 위하여 의상 스타일에 맞춰 목걸이 또는 반지나 신발을 착용하는 정도가 다른 집단보다 더 높았으나, 선글라스 또는 안경, 스카프 또는 목도리를 착용하는 정도는 가장 낮았다. 패션감성 중도집단과 반대로 패션감성 고추구집단은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기 위하여 의상스타일에 맞춰 목걸이 또는 반지나 신발을 착용하는 정도가 가장 낮았으나, 선글라스 또는 안경, 스카프 또는 목도리를 착용하는 정도는 가장 높았다. 그러나 패션감성 무관심집단은 의상스타일에 맞춰 목걸이 또는 반지, 신발, 선글라스 또는 안경, 스카프 또는 목도리를 착용하는 정도가 가장 낮았다.
둘째, 20대 여성들이 패션제품에서 추구하는 패션감성의 요인은 고급스러움 및 유행성, 캐주얼 및 토속성, 현대감, 사교성, 활동성, 성적 매력이었으며, 이들 요인을 기준으로 패션감성 중도집단, 패션 감성 무관심집단, 패션감성 고추구집단으로 유형화하였다.
셋째, 패션감성 중도집단은 20대 후반, 고학력, 미혼, 미취업 또는 취업 준비 중이거나, 가정의 수입은 낮은 편이었다. 또 이들은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할 때 다양한 색을 복합적으로 선호하고, 자신의 개성, 화장 또는 계절을 상징하는 색을 기준으로 활용하며, 의상스타일에 맞춰 목걸이 또는 반지나 신발을 착용하며, 토털 코디네이션을 위하여 지출하는 의상, 화장품, 패션 액세서리 구입비나 헤어 관리비는 다른 집단에 비하여 평균 수준이었다.
둘째, 20대 여성들은 인터넷을 포함한 대중 매체를 통해 토털 코디네이션에 관한 정보를 수집해서 활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가격대가 높은 의상을 구입하는 대신 토털 코디네이션에 필요한 화장이나 패션 액세서리를 구입하거나 헤어스타일 관리비를 더 많이 지출하여 경제적으로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관련업체에서는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가격대, 색, 스타일의 패션 액세서리 품목을 기획 및 생산하고, 이들이 스스로 연출할 수 있도록(DIY: Do it yourself) 상세한 지침서나 동영상 자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20대 여성들이 패션상품에서 추구하는 패션감성을 기준으로 유형화하였을 때 유형화된 집단은 서로 다른 토털 코디네이션 연출 특성을 보이므로 표적 집단에 맞는 화장이나 패션 액세서리 기획 및 생산이 필요하다. 즉, 패션감성 중도집단을 표적으로 하는 관련업체에서는 20대 여성들의 개성이나 화장과 조화를 이루거나 계절을 상징하는 다양한 색상의 목걸이나 반지, 신발을 포함한 패션 액세서리 품목을 중가 수준으로 제공해야 할 것이다.
20대 여성들은 연간 의상 구입비, 연간 화장품 구입비, 연간 헤어 관리비, 연간 패션 액세서리 구입비에 따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상 구입비 지출을 살펴보면 패션감성 중도집단은 1년 동안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 지출하는 경우가 많고, 패션감성 무관심집단은 100만원 미만 지불하는 경우가 많으나, 패션감성 고추구집단은 200만원 이상 지출하는 경우가 많았다.
후속연구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마케팅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20대 여성들은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할 때 의상을 가장 중요시하며 특히 의상의 색과 스타일을 기준으로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므로 토털 코디네이션 관련 업체에서는 유행하는 의상의 색과 스타일을 기준으로 화장이나 패션 액세서리의 색과 스타일을 기획해야 할 것이다. 둘째, 20대 여성들은 인터넷을 포함한 대중 매체를 통해 토털 코디네이션에 관한 정보를 수집해서 활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가격대가 높은 의상을 구입하는 대신 토털 코디네이션에 필요한 화장이나 패션 액세서리를 구입하거나 헤어스타일 관리비를 더 많이 지출하여 경제적으로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관련업체에서는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가격대, 색, 스타일의 패션 액세서리 품목을 기획 및 생산하고, 이들이 스스로 연출할 수 있도록(DIY: Do it yourself) 상세한 지침서나 동영상 자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첫째, 20대 여성들은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할 때 의상을 가장 중요시하며 특히 의상의 색과 스타일을 기준으로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므로 토털 코디네이션 관련 업체에서는 유행하는 의상의 색과 스타일을 기준으로 화장이나 패션 액세서리의 색과 스타일을 기획해야 할 것이다. 둘째, 20대 여성들은 인터넷을 포함한 대중 매체를 통해 토털 코디네이션에 관한 정보를 수집해서 활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가격대가 높은 의상을 구입하는 대신 토털 코디네이션에 필요한 화장이나 패션 액세서리를 구입하거나 헤어스타일 관리비를 더 많이 지출하여 경제적으로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관련업체에서는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가격대, 색, 스타일의 패션 액세서리 품목을 기획 및 생산하고, 이들이 스스로 연출할 수 있도록(DIY: Do it yourself) 상세한 지침서나 동영상 자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20대 여성들이 패션상품에서 추구하는 패션감성을 기준으로 유형화하였을 때 유형화된 집단은 서로 다른 토털 코디네이션 연출 특성을 보이므로 표적 집단에 맞는 화장이나 패션 액세서리 기획 및 생산이 필요하다.
즉, 패션감성 중도집단을 표적으로 하는 관련업체에서는 20대 여성들의 개성이나 화장과 조화를 이루거나 계절을 상징하는 다양한 색상의 목걸이나 반지, 신발을 포함한 패션 액세서리 품목을 중가 수준으로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 토털 코디네이션 관련업체에서는 패션감성 무관심집단의 소속인원이 많은 점을 주지하고, 이들에게 무채색, 중성색, 난색 또는 한색의 패션 액세서리를 저가로 제공하고, 패션감성 무관심집단이 토털 코디네이션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패션감성을 자극하는 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 패션감성 고추구집단을 표적으로 하는 관련업체에서는 무채색, 난색 또는 한색을 위주로 의상 스타일에 맞춰 코디네이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들은 자신의 개성이나 유행에 민감한 점을 고려하여 높은 가격대의 패셔너블한 선글라스나 안경, 스카프나 목도리와 같은 패션 액세서리 품목을 기획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본 연구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표집되었으며, 표준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 결과를 확대 해석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 블로그 새토리얼리스트는 누구의 블로그인가?
2) 이에 부응하여 패션 디자이너들은 계절마다 컬렉션을 통하여 의상, 헤어스타일, 화장, 패션 액세서리를 활용하여 토털 코디네이션을 연출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며, 패션 전문 코디네이터들은 자신의 미니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통하여 코디네이션 정보를 제공해 준다. 그 예로 사진작가 스콧 슈만(Scott Schuman)의 패션 블로그 새토리얼리스트(The Satorialist)가 있으며, 지명도와 이용도가 매우 높다.3)
현대 패션에 대한 감성의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으며 각각의 특징은 어떠한가?
패션감성은 제품에서 끌어 낸 감성이 아니라 인간의 내면에 잠재된 감성을 제품 개발에 반영하기 위하여 패션제품에 대한 소비자 들의 감정을 읽어낸 것을 의미한다. 김유진과 이경희4)는 현대 패션에 대한 감성의 요인으로 심미성, 성숙성, 개성, 여성성을 추출하였으며, 미적 측면을 나타내는 심미성, 나이와 활동적 측면을 나타내는 성숙성은 패션감성의 의미구조 속에서 중요한 차원이며, 개인의 취향을 나타내는 개성과 성적 측면을 나타내는 여성성은 복합적인 감성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김지연과 이경희5)도 현대패션의 복합적 이미지에 대한 패션감성의 요인으로 심미성, 활동성, 개성, 여성성을 추출하고, 활동성과 개성이 복합적 패션이미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하였다.
패션에서 토털 코디네이션은 어떤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가?
패션에서 토털 코디네이션은 세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첫째, 패션 소재, 색상, 무늬 등을 능숙하게 활용하여 여러 의상을 조화롭게 매치시키는 것을 말한다. 둘째, 의상이나 인터리어를 포함한 생활 전반에 걸쳐 통일감 있게 완성시키는 것을 말하며, 셋째, 패션의 관점에서 정보를 제공하고 기획하여 판매에 이르는 각 과정을 체계화하는 것을 말한다.11) 이상과 같이 토털 코디네이션이란 패션 코디네이션의 기본인 의복을 기준으로 하여 때, 목적, 장소에 적합하도록 체형이나 용모에서 결점을 보완하여 개인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도록 헤어스타일과 화장과 같은 미적 요소를 추가하고, 기타 패션 액세서리를 활용하여 머리부터 발 끝까지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자신의 개성과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하도록 연출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17)
김유진, 이경희 (2003). "현대패션에 대한 감성과 감정과의 관계 연구 I." 한국의류학회지 27권 3/4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