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콩과 피복작물 리빙멀치에 따른 옥수수 무경운 재배지의 잡초군락 변화
Change of Weed Community in No-till Corn with Legume Cover Crops as Living Mulch 원문보기

한국잡초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v.31 no.1, 2011년, pp.34 - 40  

최봉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김충국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성기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송득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전원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조현숙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정광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강위금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른 봄 녹비피복작물 생육에 따른 잡초의 발생은 헤어리베치구에서 크림손클로버구의 76%수준이었으며, 발생한 잡초총은 헤어리베치구에서 4종(냉이, 쇠별꽃, 점나도나물 및 꽃다지), 크림손클로버구에서 3종(냉이, 쇠별꽃 및 꽃다지)이었다. 두 피복작물 재배지에서 발생한 잡초 중 냉이는 다른 초종보다 현저히 많았고, 이에 따른 건물생산량도 가장 높았다. 크림손클로버구는 냉이 외에도 쇠별꽃의 개체수가 많았으며, 건물생산량도 쇠별꽃이 가장 높았다. 옥수수 생육중기의 경작지 발생 잡초는 관행구에서 9종으로 다양하였으며, 잡초의 개체수도 가장 많았다. 한편 헤어리베치구와 크림손클로버구의 발생 잡초는 각각 4종과 6종이었으며, 건물생산량은 각각 관행구의 18과 25% 수준으로 낮았다. 옥수수 수확 후 각 재배지 발생 잡초는 관행구에서 초종이 현저히 감소하여 바랭이를 비롯한 5종, 헤어리베치와 크림손클로버구에서 각각 5종과 4종이었다. 잡초의 건물율은 관행구에서 23.5%였으며, 헤어리베치와 크림손클로버구는 각각 13.8과 14.7%로 관행구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한편 피복작물 재배구는 토양 피복에 의한 낮은 지온과 광차단 등으로 인하여 관행구에서 발생하지 않았던 쇠별꽃이 지속적으로 생육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ver crop can be used to suppress weeds by competition for light and nutrient.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legume cover crops on change of weed community in no-till corn cultivation. Two legume cover crops, hairy vetch and crimson clover were grown in the field,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피복작물의 장점을 이용하여 친환경 작물재배로써 무경운 옥수수 재배시 콩과피복작물인 헤어리베치와 크림손클로버를 리빙멀치(living mulch)에 따른 경작지의 잡초 군락변화를 조사하였다.
  • 콩과 피복작물-옥수수 작부체계에서 피복작물의 멀칭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토양 피복에 의한 경작지의 잡초 발생형태를 조사하였다. 경작지 잡초 조사는 옥수수 파종전인 4월 15일, 옥수수가 한창 생육중인 7월 1일, 옥수수 수확 후인 8월 20일의 3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복작물을 이용한 멀칭효과는 무엇에 따라 잡초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가? 피복작물을 이용한 멀칭효과는 초종, 기후 및 시기에 따라 잡초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데(Herrero 등 2001), 피복작물과 연계한 작물 관리시스템은 단기간 또는 장기간에 걸쳐 잡초의 밀도와 생산량에 영향을 미친다(Ngouajio 등 2003). 작부체계의 변화는 농업 생태계의 현저한 변화를 가져오며 이러한 변화는 잡초와 병해충의 발생밀도 및 관리에 영향을 미친다(Ngouajio 등 2003).
최근 잡초방제가 줄어들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경작지에서 잡초의 발생은 작물수량을 상당량 감소시키기 때문에 잡초방제는 농업 생산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이중 제초제의 이용은 보다 효과적인 잡초방제의 수단이다. 그러나 최근 다수확에서 친환경 안전 농산물 생산이라는 패러다임의 변화로 합성농약 및 화학비료 사용을 줄이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른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속에서 피복(녹비)작물을 이용해 친환경 안전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피복작물은 어떤 효과를 가지고 있는가? 피복작물은 수분, 광, 양분의 경합에 의해 경작지에서 잡초의 발생을 억제시키고, 일부 피복작물은 잡초의 생육을 억제시키는 알레로파시 효과를 가지고 있다(Barnes와 Putnam 1983). 이들 작물은 잡초방제를 위한 윤작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이며, 피복작물 잔유물에 의한 잡초종자의 사멸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잡초의 밀도 및 초종변화에 큰 영향을 준다(Cromar 등 1999). 또한 이들 피복작물은 질소 용탈을 줄이고, 토양의 생물다양성 증가, 물리성 개선, 수분보유력 증진 등 토양의 건전성(quality)을 증진시킬 수 있어 지속농업을 영위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Sarrantonio와 Scott 198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구자옥, 변종영, 전재철. 1995. 잡초방제학. 향문사. pp. 25-26. 

  2. Barnes, J. P., and A. R. Putnam. 1983. Rye residues contribute weed suppression in no-tillage cropping systems. J. Chem. Ecol. 9:1045-1057. 

  3. Crawley, M. J. 2004. Timing of disturbance and coexistence in a species-rich ruderal plant community. Ecology 85:3277-3288. 

  4. Cromar, H. E., S. D., Murphy and C. J., Swanton. 1999. Influence of tillage and crop residue on postdispersal predation of weed seeds. Weed Sci. 47:184-194. 

  5. Hartwig, N. L. 1983. Crownvetch-a perennial legume living mulch for no-tillage crop production. Proc. Northeast. Weed Sci. Soc. 37(suppl.): 28-38. 

  6. Hartwig, N. L. and H. U. Ammon. 2002. Cover crops and living mulches. Weed Sci. 50:688-699. 

  7. Herrero, E.V., J. P., Mitchell, W. T., Lanini, S. R., Temple, E. M., Miyao, R. D., Morse and E. Campiglia. 2001. Use of cover crop mulches in a no-till furrow-irrigated processing tomato production. HortTechnology 11:43-48. 

  8. Ngouajio, M., M. E. McGiffen and C. M. Hutchinson. 2003. Effect of cover crop and management system on weed populations in lettuce. Crop Prot. 22:57-64. 

  9. Sarrantonio, M., and T. W. Scott. 1988. Tillage effects on availability of N to corn following a winter green manure crop. Soil Sci. Soc. Am. J. 52:1661-1668. 

  10. Smith, R. G. 2006. Timing of tillage is an important filter on the assembly of weed communities. Weed Sci. 54:705-712. 

  11. Smith, R. G., and K. L. Gross. 2007. Assembly of weed communities along a crop diversity gradient. J. Appl. Ecol. 44:1046-1056. 

  12. Teasdale, J. R. 1993. Reduced-herbicide weed management systems for no-tillage corn (Zea mays) in a hairy vetch (Vicia villosa) cover crop. Weed Tech. 7:879-8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