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산성비가 봉선화(Impatiens balsamina L.)의 지방산 구성 및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nt System in Garden Balsam(Impatiens balsamina L.) 원문보기

한국잡초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v.31 no.2, 2011년, pp.152 - 159  

김학윤 (계명대학교 지구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성비에 대한 봉선화의 피해양상과 지질조성 변화 및 방어기작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2주 동안 여러 농도(pH 2.0, 3.0, 4.0, 5.6)의 인공산성비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공산성비의 pH가 낮을수록 생육피해가 심하게 나타났다. 인공산성비의 pH가 낮을수록 엽록소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H_2O_2$ 함량은 증가하였다. 인지질과 당지질 모두 인공산성비에 의해 포화지방산이 증가하고 불포화지방산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선화에는 주로 3종류의 polyaimne이 존재하며 이들 모두 인공산성비의 pH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atalase의 활성도 인공산성비의 pH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인공산성비에 의해 활성산소 생성되고, 지방산의 변화를 일어나며, polyamine 증가와 catalase 활성 증가는 산성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어기작이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SAR)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biochemical defense responses of plant was investigated. Garden balsam (Impatiens balsamina L.) was exposed to four pH levels (5.6, 4.0, 3.0, 2.0) of SAR and placed in the growth chambers for 2 weeks. SAR drastically inhibited 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자생하며, 산성비에 비교적 높은 감수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된(Kim 등 2000) 초본식물인 봉선화를 대상으로 H2O2의 함량 변화와 생체막 지질의 조성 변화를 조사하여 산성비에 의한 산화스트레스 생성 여부와 이를 막기 위한 식물의 방어기작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량의 산성 물질이 우리나라로 확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4의 산성비가 기록된 이래(Huh와 Huh 1998), 세계 여러 곳에서 산성비의 관측이 보고되고 있다. 최근 중국 동남부 지역의 급격한 공업화로 인해 다량의 산성 물질이 우리나라로 확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지표에 떨어지는 전체 황(S) 성분 중 51~94%가 중국에서 발생하여 이동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NIER 2007).
스코틀랜드에서 pH 2.4의 산성비가 기록된 해는 언제인가? 1974년 스코틀랜드에서 pH 2.4의 산성비가 기록된 이래(Huh와 Huh 1998), 세계 여러 곳에서 산성비의 관측이 보고되고 있다.
산성비는 어떻게 직·간접적으로 식물에 악영향을 미치는가? 산성비는 직·간접적으로 식물에 악영향을 미친다. 식물 잎의 큐티클층을 손상시켜 Ca2+, Mg2+, K+ 등과 같은 생체 유용성분들을 용출시키며(Luxmoore 등 1981), 엽육세포의 파괴로 비정상적인 생장을 초래한다(Evans와 Curry 1979). 산성비는 엽록소를 파괴하여 광합성을 억제하고, 각종 대사작용을 교란시켜 식물에 황화(chlorosis) 및 괴사(necrosis)를 일으킨다(Haines 등 1980). 또한 산성비는 토양 산성화를 유도하여 토양 영양염류를 용탈시키고 미생물의 생장변화를 조장하여 식물 생육환경을 악화시킨다 (Nouchi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 L., H. Feng, X. Tang and X. Wang. 2000. Changes of microsomal membrane properties in spring wheat leaves (Triticum aestivum L.) exposed to enhanced ultraviolet-B radiation. J. Photochem. and Photobiol. 57(1):60-65. 

  2. Chance, B., and A. C. Machiy. 1955. Assay of catalases and peroxidases. Meth. Enzymol. 2:764-775. 

  3. Evans, L. S., and T. M. Curry. 1979. Differential response of plant foliage to simulated acid rain. Amer. J. Bot. 66(3):953-962. 

  4. Ferenbaugh, R. W. 1976.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Phaseolus vulgaris L. (Fabaceae). Amer. J. Bot. 63(1):238-288. 

  5. Foyer, C. H., P. Descourvieres and K. J. Kunert. 1994. Protection against oxygen radicals an important defense mechanism studied in transgenic plants. Plant Cell Environ. 17:507-523. 

  6. Gao, Q., and L. Zhang. 2008. Ultraviolet-B induced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defense system responses in ascorbate-deficient vtc1 mutants of Arabidopsis thaliana. J. Plant Physiol. 165(1):138-148. 

  7. Haines, B., M. Stefani and F. Hendrix. 1980. Acid rain : threshold of leaf damage in eight plant species from a southern Appalachian forest succession. Water, Air and Soil, Pollut. 114(2):403-407. 

  8. Huh, H. W., and M. K. Huh. 1998. The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the growth of important crops. Kor. J. Environ. Sci. 7(2):123-131. 

  9. Kim, H. Y. 2005.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antioxidants and related enzymes in garden balsam (Impatiens balsamina L.). Kor. J. Life. Sci. 15(3):382-386. 

  10. Kim, H. Y. 2006. Effect of UV-B on fatty acid composition, lipid peroxidation and polyamine in 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L.). Kor. J. Life. Sci. 16(3):522-526. 

  11. Kim, H. Y., I. J. Lee, D. H. Shin and M. S. Chio. 2000.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germination, growth, acid buffering capacity and nutrient leaching in Impatiens balsamina L. and Tagetes patula L. Kor. J. Life. Sci. 10(6):598-604. 

  12. Knudson, L. L., T. W. Tibbitts and G. E. Edwards. 1977. Measurement of ozone injury by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concentration. Plant Physiol. 60(3):606-608. 

  13. Koricheva, J., S. Roy, J. A. Vranjic and P. R. Hughes. 1977. Antioxidant responses to simulated acid rain andantioxidant responses to simulated acid rain and heavy metal deposition in birch seedlings. Environ. Pollut. 95(2):249-258. 

  14. Lee, J. J., G. E. Neely, S. C. Perrjiean and L. C. Grothaus. 1981. Effects of simulated sulfuric acid rain on yield, growth and foliar injury of several crops. Environ. Exp. Bot. 21(2):171-185. 

  15. Lee, J. J., M. S. Moon and H. Y. Kim. 1999. Effects of Mg-deficieney on oxidative stress and protein pattern in pumpkin seedlings. Kor. J. Weed Sci. 19(2):121-128. 

  16. Luxmoore, R. J., T. Gizzard and R. H. Strand. 1981. Nutrient translocation in the outer canopy and understory of an eastern deciduous forest. For. Sic. 27(3):505-518. 

  17. Mcclung, C. R. 1997. Regulation of catalases in arabidopsis. Free Radic. Biol. Med. 23(3):489-496. 

  18. NIER. 2007. More than 50% of sulfur in precipitation over Korean peninsula came from China. Release Cop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7/03/01. 

  19. Neves, N. R., M. A. Oliva, D. C. Centeno, A. C. Costa, R. F. Ribas and E. G. Pereira. 2009. Photosynthesis and oxidative stress in the restinga plant species Eugenia uniflora L. exposed to simulated acid rain and iron ore dust deposition. Sci. Total Environ. 407:3740-3745. 

  20. Norman, H. A., D. T. Krizek and R. M. Mirecki. 2001. Changes in membrane lipid and free fatty acid composition during low temperature preconditioning against $SO_2$ injury in coleus. Phytochemistry 58(2):263-268. 

  21. Nouchi, I. 199. Acid rain and plant damage. J. Agr. Met. 47(1):165-175. 

  22. Singh, A., and M. Agrawal. 1996. Response of two cultivars of Triticum aestivum L. to simulated acid rain, Environ. Pollut. 91(1):161-167. 

  23. Turrens, J. F. 2010.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Comprehen. Toxicol. 4(12):219-227. 

  24. Velikova, V., I. Yordanov and A. Edreva. 2000. Oxidative stress and some antioxidant systems in acid rain-treated bean plants. Protective role of exogenous polyamines. Plant Sci. 151(1):59-66. 

  25. Walters, D. R. 2003. Polyamines and plant disease. Phytochemistry 64(1):97-107. 

  26. Wang, X., G. Shi, Q. Xu and J. Hu. 2007. Exogenous polyamines enhance copper tolerance of Nymphoides peltatum. J. Plant Physiol. 164(8):1062-1070. 

  27. Wyrwicka, A., and S. M. Sklodowska. 2006. Influence of repeated acid rain treatment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and on lipid peroxidation in cucumber leaves. Exp. Bot. 56(1):198-204. 

  28. Yan, K., W. Chen, X. He, G. Zhang, S. Xu and L. Wang. 2010. Responses of photosynthesis,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system in leaves of Quercus mongolica to elevated $O_3$ . Environ. Exp. Bot. 69(2):198-204. 

  29. Zeeshan, M., and S. M. Prasad. 2009. Differential response of growth, photosynthesis, antioxidant enzymes and lipid peroxidation to UV-B radiation in three cyanobacteria. S. African. J. Bot. 75(3):466-4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