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토양처리용 천연물 제초제의 개발을 보다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실용적인 입장에서 보다 개선된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검정하고자 하는 화합물의 량이 50mg 이상 충분할 경우, 잡초 4초종(피, 바랭이, 자귀풀, 어저귀)이 파종된 $50cm^2$ 토양 표면적을 가진 폿트에서 온실검정을 함으로서 기존의 방법(토양 표면적이 $350cm^2$인 폿트 이용)에 비해 약제 소요량을 7배 줄일 수 있었다. 이때 검정초기 처리농도는 $10,000{\mu}g\;mL^{-1}$ 내외로 하는 것이 적당하였다. 한편 검정용 시료의 량이 10mg 이하로서 미량일 경우는 6 well plate를 이용하되 각 well에 밭토양을 담고 4가지 초종을 파종한 다음 실내에서 제초활성을 검정하는 방법이 추천될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방법(토양 표면적이 $350cm^2$인 폿트 이용)에 비해 약제 소요량 및 처리용액 부피를 14배 가까이 줄일 수 있었고 실제에 가까운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어 보다 빠른 속도로 천연물 제초제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n improved bioassay system on the side of practicality, pre-emergence bioassay which is more effective in developing soil application natural herbicides. A miniaturized method which have a 50 cm2 of soil surface area and was efficient by 7 times compared to 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런데 천연물 제초제를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천연물로부터의 생리활성 물질의 분리 및 탐색 기술, 제초활성 검정 기술, 제제 기술, 소포장 및 대규모 포장시험 기술 등이 종합적으로 필요하지만 특히 합성화합물과는 달리 천연물은 유효성분을 다량 확보하는데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이 소요되고, 성분의 다양성 및 물성의 불안정 등 때문에 이들의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생물검정법의 확립과 운용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진은 경엽처리 방법으로서 전식물체를 대상으로 생장점에 약제 처리하는 연구내용을 사전에 발표한 바 있으며(Kim 등 2010), 본 연구에서는 보다 간소화된 토양처리 방법을 강구하고자 제반 실험을 진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소량의 시료를 가지고, 실제 야외조건에서와 유사한 제초활성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재배토양을 이용하여, pipett tip 또는 well plate 수준에서 토양처리 검정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구축하고자 실험하였다.
  • 또한 천연물 제초제는 충분한 양의 시료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가능한 소량으로도 효능을 검정할 수 있는 시스템의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화합물을 대상으로 온실조건에서 제초 활성을 검정했던 기존 시스템(Cho 1998; Jang 등 2010)을 축소화시켜 개선하는 방향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합성화합물 검정시에 적용해 왔던 350cm2 토양 표면적을 가진 폿트에서(Cho 1998) 50cm2 토양 표면적을 가진 폿트로 대체함으로서 약제 소요량을 7배 정도로 줄일 수 있었다(그림 1).
  • 검정법의 타당성과 초기처리 유효농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ALA를 포함한 53종의 천연 살초활성물질의 약효를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carvacrol외 8종에서 비교적 양호한 토양처리 제초활성반응을 나타내었고(표 1, 그림 1), 본 처리조건에서 상대적으로 매우 미약한 제초활성을 보인 약제는 trans-anethole, basil, cedarwood oil, cinnamon oil, clove oil, eucalyptus GLB, eucalyptus GROD, eugenol, fennel, jojoba bean oil, lavender, neem oil, pelargonic acid, peppermint oil, pine oil, sassafras oil, sunflower oil, turpentine oil, tarragon oil 등이었으며, 기타 aminolevulinic acid, anise oil, bialaphos, bisabolene, caryophyllene oxide, castor oil, camphor, 1,4-cineole, coconut oil, cotton seed oil, geranium, grape fruit, juniper berry, linseed oil, marjoram, peanut oil, pennyriyal, quercetin, rosemary oil, rotenone, safflower seed oil, terpineol, thyme oil, tea tree, wintergreen oil 등은 본 실험조건에서 전혀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토양처리용 천연물 제초제의 개발을 보다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실용적인 입장에서 보다 개선된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검정하고자 하는 화합물의 량이 50mg 이상 충분할 경우, 잡초 4초종(피, 바랭이, 자귀풀, 어저귀)이 파종된 50cm2 토양 표면적을 가진 폿트에서 온실검정을 함으로서 기존의 방법(토양 표면적이 350cm2인 폿트 이용)에 비해 약제 소요량을 7배 줄일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물 제초제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생물제초제(bioherbicide)는 ‘살아있는 미생물, 천연에서 유래된 추출물 등을 이용한 위해식물 방제제’로 정의할 수 있는데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 미생물을 직접 이용하는 미생물제초제와 미생물이 분비하는 대사산물이나 천연화합물을 추출하여 이용하는 천연물 제초제로 구분될 수 있다(Kim 등 2010). 이들 중 천연물 제초제는 미생물 제초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용범위가 넓고 안정한 살초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매우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bialaphos, pelargonic acid(nonanoic acid), 여러 가지의 식물정유(많이 알려진 종류로서는 pine oil, clove oil, peppermint oil, lemongrass oil, citronella oil, eucalyptus oil, neem oil, oregano 및 basil, manuka oil 등이 있음), 기타 미생물/식물 추출물과 이의 분리성분 등이 알려져 있지만(Bainard 등 2006; Choi 등 2008; Dayan 등 2009; Douglas 등 2004; Evans 등 2009; Kato-Noguchi와 Ino 2003; Kim 등 2001; Kim과 Lee 2007; Nimbal 등 1996; Rohlfsen 2008; Singh 등 2005; Tworkoski 2002; Vaughn과 Holser 2007; Young 2004), 이들의 잡초방제 효과에 있어서는 농가의 요구 수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보다 효능이 우수한 천연물 제초제 개발을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될 필요성이 있다.
생물제초제는 무엇인가? 생물제초제(bioherbicide)는 ‘살아있는 미생물, 천연에서 유래된 추출물 등을 이용한 위해식물 방제제’로 정의할 수 있는데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 미생물을 직접 이용하는 미생물제초제와 미생물이 분비하는 대사산물이나 천연화합물을 추출하여 이용하는 천연물 제초제로 구분될 수 있다(Kim 등 2010). 이들 중 천연물 제초제는 미생물 제초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용범위가 넓고 안정한 살초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매우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bialaphos, pelargonic acid(nonanoic acid), 여러 가지의 식물정유(많이 알려진 종류로서는 pine oil, clove oil, peppermint oil, lemongrass oil, citronella oil, eucalyptus oil, neem oil, oregano 및 basil, manuka oil 등이 있음), 기타 미생물/식물 추출물과 이의 분리성분 등이 알려져 있지만(Bainard 등 2006; Choi 등 2008; Dayan 등 2009; Douglas 등 2004; Evans 등 2009; Kato-Noguchi와 Ino 2003; Kim 등 2001; Kim과 Lee 2007; Nimbal 등 1996; Rohlfsen 2008; Singh 등 2005; Tworkoski 2002; Vaughn과 Holser 2007; Young 2004), 이들의 잡초방제 효과에 있어서는 농가의 요구 수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화합물의 발아억제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적용해 온 검정방법의 문제점은? 화합물의 발아억제활성을 보기위하여 지금까지 적용해 온 대부분의 검정방법은 실내검정의 경우, Petri-dish에 필터페이퍼, 솜, sea sand, 또는 모래 등을 깔고 식물종자를 파종한 다음 약제처리 후 발아여부 및 초기 생장정도를 평가해 왔다(Chon과 Kim 2005; Kim 등 2005; Kim과 Lee 2007; Kim과 Jang 2009; Choi 등 2002; Uddin 등 2009). 그러나 이는 자연조건의 토양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보다 강한 활성이 나타난다거나, 실험방법에 따라서는 상대적으로 보다 많은 량의 천연물 시료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온실검정의 경우도 합성화합물 검정에 사용되었던 방법이(Cho 1998) 그대로 적용되고 있어(Jang 등 2010) 보다 많은 량의 천연물 시료가 소요되고 있는 상황임으로 효율적인 방법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inard, L. D., M. B. Isman and M. K. Upadhyaya. 2006. Phytotoxicity of clove oil and its primary constituent eugenol and the role of leaf epicuticular wax in the susceptibility to these essential oils. Weed Science 54(6):833-837. 

  2. Cho, K. Y. 1998. Activity evaluation for newly synthesized chemical compounds and related basic research. Final Report of Advanced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901 p. 

  3. Choi, J. S., J. S. Kim, B. H. Lee, T. J. Kim and K. Y. Cho. 2002. Highly efficient screening of herbicidal substances through germination inhibition of small seeds. Kor. J. Weed Sci. 22(4):399-413. 

  4. Choi, S. H., H. M. Gu, J. Y. Ahn, J. S. Nam, H. H. Kim, I. K. Chun and J. J. Lee. 2008. Effects of alone- or mixture-treatment of essential oils on upland weeds and crops. 28(1):61-68. 

  5. Chon, S. U., and D. K. Kim. 2005. Allelopathic potential of Xanthium occidentale extracts and residues. Kor. J. Weed Sci. 25(3):163-170. 

  6. Dayan, F. E., C. L. Cantrell and S. O. Duke. 2009. Natural products in crop protection.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17:4022-4034. 

  7. Douglas, M. H., J. W. van Klink, B. M. Smallfield, N. B. Perry, R. E. Anderson, P. Johnstone and R. T. Weavers. 2004. Essential oils from New Zealand manuka : triketone and other chemotypes of Leptospermum scoparium. Phytochemistry 65(9):1255-1264. 

  8. Evans, G. J., R. R. Bellinder and M. C. Goffinet. 2009. Herbicidal effect of vinegar and a clove oil product on redroot pigweed (Amaranthus retroflexus) and velvetleaf (Abutilon theophrasti). Weed Tech. 23(2):292-299. 

  9. Jang, H. W., B. R Seo, H. J. Hwang, J. D. Kim, J. S. Kim, S. Kim, J. C. Chun and J. S. Choi. 2010. Herbicidal activity of natural product chrysophanic acid. Kor. J. Weed Sci. 30(2):143-152. 

  10. Kato-Noguchi, H., and T. Ino. 2003. Rice seedlings release momilactone B into the environment. Phytochemistry 63:551-554. 

  11. Kim, S., S. J. Heo, S. H. Yong, J. S. Kim and J. H. Hur. 2001. Natural compounds as leads for novel herbicides. Kor. J. Weed Sci. 21(3):199-212. 

  12. Kim, K. W., J. K. Baek and J. S. Kim. 2005. Isolation of herbicidal compounds from the fruit of Zanthoxylum schinifolium S. et. Z. Kor. J. Weed Sci. 25(3):194-201. 

  13. Kim, K. W., and D. G. Lee. 2007. Screening of herbicidal and fungicidal activities from resource plants in Korea. Kor. J. Weed Sci. 27(3):285-295. 

  14. Kim, K. W., and H. J. Jang. 2009. Screening of korean native plants with herbicidal activity. Kor. J. Weed Sci. 29(3):194-203. 

  15. Kim, J. D., H. W. Jang, B. R. Seo, H. J. Hwang, J. S. Choi and J. S. Kim. 2010. Establishment of foliar application assays for developing natural herbicides. Kor. J. Weed Sci. 30(2):153-163. 

  16. Nimbal, C. I., J. F. Pedersen, C. N. Yerkes, L. A. Weston and S. C. Weller. 1996. Phytotoxicity and distribution of sorgoleone in grain sorghum germplasm. J. Agric. Food Chem. 44(5):1343-1347. 

  17. Rohlfsen, W. G. 2008. Method and formulation for eliminating moss with oregano oil. U.S. 2008125321, U.S. 2006-604081. 

  18. Singh, H. P., D. R. Batish, N. Setia and R. R. Kohli. 2005. Herbicidal activity of volatile oils from Eucalyptus citriodora against Parthenium hysterophorus. Ann. Appl. Biol. 146(1):89-94. 

  19. Tworkoski, T. 2002. Herbicide effects of essential oils. Weed Sci. 50:425-431. 

  20. Uddin, M. R., Y. K. Kim, A. U. Park and J. Y. Pyon. 2009. Herbicidal activity of sorgoleone from grain sorghum root exudates and its contents among sorghum cultivars. Kor. J. Weed Sci. 29(3):229-236. 

  21. Vaughn, S. F., and R. A. Holser. 2007. Evaluation of biodiesels from several oilseed sources as environmental friendly contact herbicides.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 26(1):63-68. 

  22. Young, S. L. 2004. Natural product herbicides for control of annual vegetation along roadsides. Weed Technol. 18(3):580-5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