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거리 수송 연무 발생과 연관된 우리나라 대도시 대기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Air Quality over Korean Urban Area due to the Long-range Transport Haze Events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7 no.1, 2011년, pp.73 - 86  

조현영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대기환경과학) ,  김철희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대기환경과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ze phenomena were analyzed to assess the impact of long range transport process on the air quality of Seoul and Busan. We statistically classified haze days observed in both Seoul and Busan into two types of haze cases: stagnant case and long-range transport case, and analyzed the air pollutant 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연무 발생 메커니즘을 정체성 및 장거리 수송 사례로 분류하고 분류된 사례별 대기질 특성 규명을 목표로 하므로, 연무일을 사례별(정체성 혹은 장거리이동성)로 구분하는 환경 과학적 기준이 가장 기초적이면서 중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이후 구분된 사례별 연무일의 대도시 측정망 특성을 분석하면 자연스럽게 연무 발생 메커니즘별 우리나라 대도시 대기오염물질 특성이 규명될 것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도시인 서울과 부산에서 연무가 발생한 날들을 종관기상학적 분석기법으로 장거리 수송에 의한 연무 발생일을 골라내고 그 때의 대기질 농도 경향을 분석하였다. 즉 대도시 연무 발생 메커니즘을 자체 기여도가 우세한 사례(이하 정체성 사례)와 장거리 수송이 우세한 사례(이하 장거리수송 사례)로 정량 분류하고 연무발생 사례별 서울과 부산의 대기오염물질농도(PM10, SO2, NO2, O3) 수준 및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 농도에서 주로 뚜렷이 차이가 있었고 특히 장거리 수송 연무의 경우 계절과 무관하게 빈번히 나타났음을 또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무 현상 중 장거리 수송 사례의 발원지를 추적해 보기 위하여 미국 NOAA의 HYSPLIT-4 모델을 이용하여 장거리 수송 연무 사례에 대하여 역궤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때 정체성 사례 또한 함께 분석하였는데, 이를 통해 정체성 사례와 장거리 수송 사례별 차이를 분석해 보고, 특히 장거리 수송 사례의 배출원을 정성적으로 추적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무발생 메커니즘은 두 사례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각각 무엇인가? 요약하면 연무발생 메커니즘은 두 사례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사례인 정체성 사례는 풍속이 약하고 안정한 대기 상태의 특징을 가지며 고기압권의 영향으로 대기정체로 인하여 공기가 잘 확산되지 않아 발생과 수송 및 지속에 유리하여 연무 발생 시 한반도 자체 기여율이 높은 사례로 볼 수 있다. 반면 두번째 사례인 장거리 수송 사례는 다소 강한 바람을 유도하여 외부로부터 한반도로 연무 혹은 연무 생성 물질을 수송한 것으로 유추되는 사례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특징을 구분할 수 있는 기상요인은 대기 열역학적 변수보다는 와도 등의 모멘텀과 연관된 역학적 요인에 의해 상대적으로 더 뚜렷이 구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전적으로 연무란 무엇인가? 사전적으로 연무란 시정이 1 km 이상이고 습도가 75% 이하로 낮을 때 대기 중에 연기, 먼지 등 미세하고 건조한 고체입자로 인해 공기의 색이 우윳빛으로 흐려 가시거리가 짧아지는 현상을 말하며(기상청, 2002), 연무와 연관된 자연적 및 인위적 에어로졸이 한반도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는 지금도 다양한 관측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예를 들어 현재 발생되는 연무에 대한 단기 사례 분석(Lim et al.
연무 발생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무엇을 목표로 하는가? 본 연구는 연무 발생 메커니즘을 정체성 및 장거리 수송 사례로 분류하고 분류된 사례별 대기질 특성 규명을 목표로 하므로, 연무일을 사례별(정체성 혹은 장거리이동성)로 구분하는 환경 과학적 기준이 가장 기초적이면서 중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이후 구분된 사례별 연무일의 대도시 측정망 특성을 분석하면 자연스럽게 연무 발생 메커니즘별 우리나라 대도시 대기오염물질 특성이 규명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기상청(2002) 기상용어해설, 204pp. 

  2. 노영민, 정진상, 김정은, 김영준(2006) GIST 다파장 Raman Lidar를 이용한 2005년 10월에 관측된 연무 현상의 광화적?미세물리적 특성 관측.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02-103. 

  3. 이권호, 정현록, 김민정, 김영준(2005) 인공위성과 지상 관측 자료를 이용한 2004년 두 가지 연무 현상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313-314. 

  4. Chen, L.W.A., J.C. Chow, B.G. Doddridge, R.R. Dickerson, W.F. Ryan, and P.K. Mueller (2003) Analysis of a summertime $PM_{2.5}$ and haze episode in mid-Atlantic region, J. Air & Waste Manage. Assoc., 53, 946-956. 

  5. Chun, Y.S., J.Y. Lim, and B.C. Choi (2003) The features of aerosol in Seoul by Asian dust and haze during springtime from 1998 to 2002, Atmosphere, 39, 459-4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an, J.S., Y.M. Kim, J.Y. Ahn, B.J. Kong, J.S. Choi, S.U. Lee, and S.J. Lee (2006) Spatial distribution and variation of long-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ants flux during 1997-2004, Atmosphere, 22(1), 99-1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Jo, H.Y. and C.-H. Kim (2010) Characteristics of East Asia synoptic meteorological conditions in association with haze phenomena, Atmosphere, 20(2), 161-1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ang, C.-M., H.-S. Lee, B.-W. Kang, S.-K. Lee, and Y. Sunwoo (2004)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cidic gas pollutants and $PM_{2.5}$ species during hazy episodes in Seoul, South Korea, Atmos. Environ., 38, 4749-4760. 

  9. Kim, C.-H., I.-S. Park, S.-J. Lee, J.-S. Kim, Y.-D. Hong, J.-S. Han, and H.-A. Jin (2005)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raffic control program on the ambient air quality in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the lower level stability index of atmosphere, J. Korean Soc. Atmos. Environ., 21(2), 243-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Y.P. (2006) Air pollution in Seoul caused by aerosols, J. Korean Soc. Atmos. Environ., 22(5), 535-5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im, J.H., Y.-C. Chun, K.M. Cho, S.S. Lee, and H.J. Shin (2004) The meteor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erosol during haze event in May 2003, J. Korean Soc. Atmos. Environ., 20(5), 697-7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Wang, Y., G. Zhuang, Y. Sun, and Z. An (2006) The variation of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mechanisms of aerosols in dust, haze, and clear days in Beijing, Atmos. Environ., 40, 6579-6591. 

  13. United Nation Environment Programme (2002) The Asian Brown Cloud: Climate and Other Environmental impact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