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ED 가로등 및 경관조명의 직류 누전 특성 분석
DC Leakage Current Properties Analysis of the LED Lamps of Road and Landscape Lighting 원문보기

전기학회논문지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60 no.4, 2011년, pp.885 - 891  

김향곤 (한국전기안전공사 전기안전연구원) ,  김동우 (한국전기안전공사 전기안전연구원) ,  최효상 (조선대학교 전기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studied dc leakage current properties analysis of LED lamps of road and landscape lighting when leakage current appeared in dc power line. Generally, converter of LED lighting is divides to insulated type and non-insulated type according to components. When electric leakage happe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25조에 의하면 가로등 및 보안등 조명설비에는 지락이 발생하였을 때 전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지락차단장치를 시설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가로등, 보안등에 LED 등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KS C 7658(2009) "LED 가로등 및 보안등기구의 안전 및 성능요구사항“에 적합한 것을 시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ED 가로등 및 경관조명의 정상 배선상태 및 수중 배선상태에서의 컨버터 2차측 DC 전로에 피복 손상이 발생하였을 때 대지로의 누설전류의 발생 유무와 교류측에 설치된 감전보호장치인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의 동작 유무, LED 가로등 및 경관조명의 점등 특성 등에 대하여 실험,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LED 조명의 DC전로에서의 감전사고 예방과 감소, 전기안전 향상을 위한 LED 조명의 성능 향상을 위한 기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체의 감전사고는 직류와 교류 중 어디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가? IEC 60479-1(Effects of current on human beings and livestock-part 1:general aspects)에 따르면. 통전 경로에 따른 인체의 위험은 주로 전류의 크기와 통전시간에 좌우되며, 인체의 감전사고는 직류에서보다 교류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직류 전기설비가 증가하고 보편화됨에 따라 직류에 의한 감전사고나 전기화재 사고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IEC 60479-1에 따르면 통전 경로에 따른 인체의 위험은 무엇에 의해 좌우되는가? IEC 60479-1(Effects of current on human beings and livestock-part 1:general aspects)에 따르면. 통전 경로에 따른 인체의 위험은 주로 전류의 크기와 통전시간에 좌우되며, 인체의 감전사고는 직류에서보다 교류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직류 전기설비가 증가하고 보편화됨에 따라 직류에 의한 감전사고나 전기화재 사고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응석, 김철진, "파워 LED 구동을 위한 정전류 제어시 설계", 대한전기학회 논문지, Vol.59 No.3, pp.555-561, 2010. 

  2. 김진선, 조상묵, 박창규, "LED Channel Module의 가속수명 시험 설계",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년 춘계학술대회, pp.208-210, 2009. 

  3. 한철, 하강남, 어익수, "50W급 LED 조명기구의 열 해석", 대한전기학회 2010년 하계학술대회, pp.1607-1608, 2010. 

  4. 조미령, 전상규, 양승용, "차세대 LED 조명의 국내외 표준화 동향",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년 춘계학술대회, pp.141-144, 2009. 

  5.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KS C 7658(LED 가로등 및 보안등기구의 안전 및 성능요구사항", 2009. 

  6.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KS C 7652(컨버터 외장형 LED 램프의 안전 및 성능요구사항)", 2009. 

  7. 지식경제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1-01호, 2011. 

  8. 김향곤, 길형준, 김동욱, 김동우, "LED 가로등 및 보안 등기구의 절연특성 연구", 대한전기학회 논문지, Vol.58P. No.4, pp.546-551, 2009. 

  9. 이세현 등 8, "LED 가로등 열화 특성 분석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년 춘계학술대회, pp.149-152, 2009. 

  10. 김향곤, 김동우, 이기연, 문현욱, 최효상, "LED 조명설비의 컨버터의 DC 누전에 따른 전기적 특성 분석", 2010년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pp.2179-2180, 2010. 

  11. 김향곤, 고원식, 최효상, "옥외용 LED 조명의 전기화재 및 감전사고 위험성 평가기법", 대한전기학회 추계학술대회, pp.507-509, 2010. 

  12. IEC, "IEC60479-1(effects of current on human beings and livestock-part 1:general aspects)", pp.27-47.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