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to make the preservation plan for sustainable preservation restoration of Namsa-Yedamcho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through analyzing the site's characteristics and prototype landscape. Namsa-Yedamchon proudly presents ancient traditions and various historic resources. And sever...
This study is to make the preservation plan for sustainable preservation restoration of Namsa-Yedamcho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through analyzing the site's characteristics and prototype landscape. Namsa-Yedamchon proudly presents ancient traditions and various historic resources. And several development plan and projects associated with historic resources of this site are in progress. Therefore, it was carried out to make master plan of Namsa-Yedamchon for preserving various prototype landscape. To achieve this, literature search, field survey, local residents' interview and the estimation of value on each prototype landscape were carried out. In literature search, it was analyzed to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is study and past data was collected like past picture, antique books, articles and so on. In field survey, i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problems of prototype landscape in this site. In addition, the progress of landscape change in this site was analyzed through local residents' interview. The estimation of value on each prototype landscape was carried out to set up the appropriate preservation directions and preservation scope through selecting more important prototype landscape among them. Through these steps, the master plan was deducted and it was divided into 3 type; preservation conservation zone, restoration maintenance zone and renovation utilization according to landscape components, preservation scope, surroundings and so on.
This study is to make the preservation plan for sustainable preservation restoration of Namsa-Yedamcho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through analyzing the site's characteristics and prototype landscape. Namsa-Yedamchon proudly presents ancient traditions and various historic resources. And several development plan and projects associated with historic resources of this site are in progress. Therefore, it was carried out to make master plan of Namsa-Yedamchon for preserving various prototype landscape. To achieve this, literature search, field survey, local residents' interview and the estimation of value on each prototype landscape were carried out. In literature search, it was analyzed to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is study and past data was collected like past picture, antique books, articles and so on. In field survey, i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problems of prototype landscape in this site. In addition, the progress of landscape change in this site was analyzed through local residents' interview. The estimation of value on each prototype landscape was carried out to set up the appropriate preservation directions and preservation scope through selecting more important prototype landscape among them. Through these steps, the master plan was deducted and it was divided into 3 type; preservation conservation zone, restoration maintenance zone and renovation utilization according to landscape components, preservation scope, surroundings and so 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의 시간적 범위는 개화기 이전 조선 후기 시점에서 형성·유지되어온 경관의 집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원형경관 개념적 정의에 속하는 마을 내 취락경관들을 유형별로 선정하여 보전 대상으로 설정하고, 이의 구체적인 보전 방향 및 범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 현장조사, 주민 인터뷰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문헌조사는 남사예담촌의 역사, 사회상, 현황 등의 자료 구축과 전통경관 보전 계획과 관련된 기존 연구의 방법론과 보전 방향을 참고하기 위한 2가지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따라서, 남사예담촌에 대한 자료는 기존의 선행 연구, 보고서, 각종 통계자료 등을 참고하였으며, 기존 연구 분석은 기존의 관련 연구에서 전통경관 보전 시 적용한 방법론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경관은 다양한 사회·문화·경제적 요인들이 상호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변화되기 때문에, 경관의 변화 내용과 요인을 밝힘에 있어서 단순히 한 요인에 의하여 변화했다고 단정짓기에는 무리가 따르지만, 경관 요소가 직접적으로 변화한 것에 초점을 두고 변화내용 및 요인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마을의 원형과 그 변천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부족하여 편의성을 고려한 기반시설·편의시설의 무분별한 도입으로 전통적인 마을의 배치구조와 환경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올바른 보전과 복원, 정비방안에 관한 연구를 통해 농촌 마을 원형경관의 진정성을 구현하고, 이의 계획 방향을 설정하는 계획형 중심의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보전 요소의 선정 기준 및 보전 및 복원 수법 등의 고찰을 통하여 본 연구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에 올바른 보전과 복원, 정비방안에 관한 연구를 통해 농촌 마을 원형경관의 진정성을 구현하고, 이의 계획 방향을 설정하는 계획형 중심의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보전 요소의 선정 기준 및 보전 및 복원 수법 등의 고찰을 통하여 본 연구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와 연관성이 있는 기존의 연구 중 박찬용 등(2002)은 닭실마을을 대상으로 마을의 역사 문화적 정체성을 보전하기 위하여 총체적 경관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복원과 정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대상지역의 환경 및 특성과 관계없이 일률적인 보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계획하는 방향과 달리 지역의 원형경관과 특징, 주변 환경 등 마을과 관련된 사항을 면밀히 조사·분석하여 보다 현실적인 보전 계획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주차장과 가까이 위치한 마을회관은 현재 한옥양식으로 신축 공사를 진행 중에 있으며 현대화된 내부시설 설치로 이용자들의 편의를 돕고자 한다. 또한 이 공간은 주차장과 가까이 위치하여 방문객의 접근이 유리하기 때문에 마을 전통과 관련된 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농촌체험 프로그램의 활용 및 향토경관의 조성을 위해 시설재배지를 마을 내 한 지구로 입지를 지정한 후 조성하도록 하여 비닐하우스의 무차별적인 확산을 막고, 시설 재배지 주변의 차폐식재 등을 통해 마을경관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논경관을 활용하여 청보리, 벼 등의 경관작물을 식재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계절별 다양한 향토경관을 창출하고 방문객을 위한 농촌체험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본 연구는 역사문화자원 및 경관 보전에 대한 국가적인 관심과 지원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전통마을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는 경상남도 산청군 남사예담촌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이의 바람직한 보전계획을 수립하고자 진행되었다.
마을 내부의 주거경관으로 최씨고가와 이씨고가, 사양 정사는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전통한옥으로 사람이상주하거나 민박으로 활용하여 관리도 양호한 편이나 현대적 요소의 노출로 인한 주변 전통경관과의 부조화 등의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건조물, 정원, 주변의 돌담을 포함한 범위를 기준으로 기존의 양호한 상태를 보전하며 지속적인 관리를 계획목표로 하였다. 이의 주된 계획 내용으로는 가시성이 높은 곳에서의 현대적 요소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통한 보전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내용이다.
또한 마을의 진입부는 도로 가까이 인접하여 주차장 진입 시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마을 안내판 및 지도 등이 노후화되고 일부 부식된 상태이다. 따라서 풍수지리에 의한 비움의 공간에 다른 시설물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공간을 보전하되, 마을회관과 그 주변공간을 중심으로 체험 관광형 공간으로 조성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 비움의 공간에 자연친화형 주차장을 도입하고, 주변부 전통수종의 식재를 통해 전통마을로서의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
제안 방법
첫째, 남사예담촌의 현장조사, 주민 인터뷰, 변화 내용 등을 파악하여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해야 할 원형경관1)을 보전·발굴하고자 한다.
총 4가지 유형의 문화재적 가치(물리적 가치, 역사·문화적 가치, 공동체 가치, 생태적 가치)에 대한 평가는 리커드 척도로 1~5점까지의 등간척도를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따라서, 남사예담촌에 대한 자료는 기존의 선행 연구, 보고서, 각종 통계자료 등을 참고하였으며, 기존 연구 분석은 기존의 관련 연구에서 전통경관 보전 시 적용한 방법론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보전 대상이 되는 원형경관(原型景觀)은 선행연구에서 정의한 개념적 정의에 따라 구체화되어 본 연구대상지에서 원형경관을 발굴·파악하는데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 현장조사, 주민 인터뷰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문헌조사는 남사예담촌의 역사, 사회상, 현황 등의 자료 구축과 전통경관 보전 계획과 관련된 기존 연구의 방법론과 보전 방향을 참고하기 위한 2가지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현장조사는 2010년 8월 4일, 2011년 6월 9일, 2011년 7월 7일의 총 3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마을의 현황 및 문제점 등을 파악·기록하였다. 특히, 사전 조사 시 파악한 특징 경관 및 그 주변 일대를 중심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사진 촬영을 병행하였다.
또한, 현장조사를 실시한 연구원들은 보전 가치가 높은 마을 내 특징 경관별 문화재적 가치에 대한 속성 평가를 실시하여, 이의 총점을 상대 비교함으로써 남사예 담촌 보전의 방향 설정 및 계획에 참고하였다. 문화재적 가치에 대한 가중치는 기존 연구(강영은 등, 2010)의 결과 내용2)을 참고하여 최종 총점으로 환산하였다.
남사예담촌은 전통 농촌경관이 고스란히 보전되어 있는 전통문화마을로서(손호기와 김상범, 2010), 보전해야 할 원형경관은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의 결과로 수집하였다. 원형경관을 체계화시키기 위한 경관 유형은 경관 요소가 입지한 장소와 형태의 유사성에 따라 주거경관, 생산경관, 녹지경관, 수변경관, 가로경관, 상징 및 신앙경관의 총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각 경관 유형별 경관요소와 그 분포 및 이미지는 다음과 같다(Table 2, Figure 2, 3).
해당 연구의 내용에서는 마을의 경관구조를 고려하여 권역별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주요 가시권 내 건축물 및 지형, 식재 등을 포함하는 건축적·경관적·조경적 정비방안을 수립하였다.
기존의 관련 연구 고찰을 통해 현 상태의 유지 및 옛 것의 회복, 옛 것과 새 것의 조화를 이루는 보전의 객관적인 원칙들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대상지의 역사·문화적 환경을 함께 고려하여 융통적인 보전 계획을 도출하였다.
조성·개발의 보전 수법은 본 연구 대상지의 보전 계획 취지와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의 보전 계획 유형에 반영시키지 않았고, 나머지 보전·보존, 복원·정비, 재생·활용의 세 가지 보전 수법은 최종적인 보전 계획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와 연관성이 있는 기존의 연구 중 박찬용 등(2002)은 닭실마을을 대상으로 마을의 역사 문화적 정체성을 보전하기 위하여 총체적 경관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복원과 정비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전통마을 경관의 근간을 이루는 실체 구명을 파악하기 위해 전통경관, 건축, 정원, 풍수지리, 역사고고 등 종합적 관점에서 연구를 접근하였다. 또한 조선조 마을환경의 참여와 체험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시설 및 역사문화 체험프로그램 도입을 제안한 바 있다.
따라서, 마을 내 원형경관 요소의 성격 및 특징, 보전 상태 등의 현재 보전 실태를 참고하여 해당 마을이 취해야 할 보전의 기본 방향을 보전·보존, 복원· 정비, 재생·활용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대상지인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남 사리 예담마을은 타 지역에 비하여 마을의 유구한 전통·역사와 관련된 많은 프로젝트가 진행 중에 있기 때문에 큰 틀 안에서 현재 산재하고 있는 많은 원형경관을 지속적으로 보전·보존하는 방향으로 보전방향을 설정 하였다.
또한 현재 주차장이 위치하고 있는 마을 입구 부지, 식당과 체험장소가 있는 입구 공간, 남사천 주변 일대는 현재 체험공간, 부대시설 등의 용도로 쓰이고 있는 점과 향후 개발 내용 등을 고려하여 재생·활용의 방향으로 설정하였다(Table 6).
초포정사, 이동정사 등이 위치하고 있는 남사천 건너편 일부 일대는 현재 일부 원형경관이 소실되거나 복원이 시급한 대상들이 있으므로 복원·정비방향으로 설정하였다.
남사예담촌 내 최씨고가, 사양정사, 이씨고가 등 주요 문화재들이 산재하고 있는 마을 내부와 남사천 바로 건너편 니사재 일대는 원형경관의 형태를 어느 정도 잘 유지하고 있고 보전 가치가 높으므로 보전·보존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대상지인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남 사리 예담마을은 타 지역에 비하여 마을의 유구한 전통·역사와 관련된 많은 프로젝트가 진행 중에 있기 때문에 큰 틀 안에서 현재 산재하고 있는 많은 원형경관을 지속적으로 보전·보존하는 방향으로 보전방향을 설정 하였다. 또한 마을 전체 공간에 일괄적으로 동일한 보전방식을 취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따르므로, 문헌 조사, 주민인터뷰, 가치평가 등 사전 조사의 결과를 반영 하여 마을 공간을 구분하고, 해당 구역별 기본 방향을 설정하였다(Table 9, 10). 이는 점적인 원형경관이 분포한 지점을 고려하여 설정하였으며, 보전·보존 구역, 복원·정비 구역, 재생·활용 구역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Figure 5).
마을 내부의 녹지경관인 마을숲과 매화나무, 회화나무등 각종 보호수 및 기타 주요 수목 보호를 위해서는 보전대상을 개별요소가 아닌 전체로 인식하는 통합적 관리가 요구된다. 자연 경관요소 보전가치의 중요성 인식을 통하여 기존 건조물에 국한된 보전 인식을 넓히고, 마을 생태계 보전을 위한 지속적인 관리와 문화재 보호구역내 주요 식생의 보존을 고려하도록 한다. 더불어 마을의 수변경관인 용소 역시 인공적인 요소의 도입을 최소화 시켜 자연경관 및 그 주변부의 훼손을 최소화하고 비교적 양호한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첫째, 남사예담촌의 보전 가치가 있는 경관을 우선적으로 조사·유형화하여 해당 경관 요소를 중심으로 보전 구역을 설정하고, 보전계획을 구체화시켰다.
남사예담촌 원형경관 보전의 문제점은 ‘점적인 요소만의 보전 문제’, ‘전통경관과 현대 경관 혼재로 인한 부조화’, ‘지속적인 관리 부족’ 등의 문제로 축약되었으며, 이의 문제점을 우선적으로 개선·보완하는 내용을 보전 계획에 반영하였다.
보전 구역은 기존 연구의 보전 수법 등의 참고와 연구대상지의 특성에 따라 보전·보존 구역, 복원·정비 구역, 재생·활용 구역으로 구분하여 계획하였다.
체험을 위한 재생·활용 구역 계획에서 생산경관인 논 경관·밭경관의 경우는 밭경관과 시설재배를 위한 비닐하우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닐하우스와 전통마을경관이 부조화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농촌체험 프로그램의 활용 및 향토경관의 조성을 위해 시설재배지를 마을 내 한 지구로 입지를 지정한 후 조성하도록 하여 비닐하우스의 무차별적인 확산을 막고, 시설 재배지 주변의 차폐식재 등을 통해 마을경관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논경관을 활용하여 청보리, 벼 등의 경관작물을 식재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계절별 다양한 향토경관을 창출하고 방문객을 위한 농촌체험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이는 주민 인터뷰 시 주민들이 불만족하는 경관 중의 하나로 이에 대한 적절한 강구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남 사천 주변의 삭막한 콘크리트 하천변을 친수성이 뛰어난 자연형 하천으로 장기적으로 정비하도록 하며, 주변부과거 빨래터를 복원하는 계획을 통해 운치있는 수변경관 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남사천 및 그 주변경관 정비 및 수경관과 연계된 체험 프로그램 도입 등을 통해 마을 주민들과 방문객들의 적극적인 활용과 아름다운 수경관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연구대상지 조사 시 보전의 문제점, 경관 변화 내용 및 요인 고찰, 보전 가치가 있는 원형경관 요소들의 가치평가 등을 통하여 보전 계획을 구체화하였다. 남사예담촌 원형경관 보전의 문제점은 ‘점적인 요소만의 보전 문제’, ‘전통경관과 현대 경관 혼재로 인한 부조화’, ‘지속적인 관리 부족’ 등의 문제로 축약되었으며, 이의 문제점을 우선적으로 개선·보완하는 내용을 보전 계획에 반영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지의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구역을 구분하여 보전 계획을 수립하고 각 구역별 보전 계획을 도면화하였으며, 지역주민 인터뷰 결과와 가치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융통적인 보전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는 보전 가치가 높은 경관을 절대 보전 대상으로 설정하여 해당 경관 및 그 주변부까지 보전 범주에 포함시키거나, 전설 및 풍수지리 등 인문·사회학적 요소를 반영하여 비워놓는 공간들을 설정하고 이의 개발을 제한하는 등의 계획 내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보전 기본계획은 점적인 원형경관이 분포한 지점을 고려하여 권역을 설정하고자 하였으며, 남사예담촌 마을 권역을 크게 보전·보존, 복원·정비, 재생·활용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지속적인 원형경관 보전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를 통해 남사예담촌 원형경관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주민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원형경관의 보전 방식 및 방향, 현장조사 시 연구원 들에 의해 평가된 원형경관별 가치평가 결과 등을 수렴하여 최종적인 남사예담촌 원형경관 보전 기본 계획을 도출하였다.
대상 데이터
현장조사는 2010년 8월 4일, 2011년 6월 9일, 2011년 7월 7일의 총 3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마을의 현황 및 문제점 등을 파악·기록하였다.
또한, 이의 실질적인 평가이유로는 경관요소별 각 가치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부여받은 경관 요소는 다른 경관에 비하여 우선적으로 보전하고 관리해야 한다는 타당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남사예담촌 원형경관 평가대상은 총 10개로 선정되었는데, 이는 주거경관의 최씨고가, 이씨고가, 초포정사, 사양정사, 이동서당, 니사재, 망추정, 가로경관의 옛담, 녹지경관의 마을숲(동숲)과 회화나무이다. 이의 선정 기준은 사전 현장 조사와 문헌 조사를 통하여 수행되었으며, 문화재로 지정되어 전통자원으로서 그 가치를 입증받았거나, 문화재는 아니지만 향후 지정될 가능성이 있거나 마을의 전통적인 분위기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인정되는 원형경관의 범주로 한정하였다.
남사예담촌 원형경관 평가대상은 총 10개로 선정되었는데, 이는 주거경관의 최씨고가, 이씨고가, 초포정사, 사양정사, 이동서당, 니사재, 망추정, 가로경관의 옛담, 녹지경관의 마을숲(동숲)과 회화나무이다. 이의 선정 기준은 사전 현장 조사와 문헌 조사를 통하여 수행되었으며, 문화재로 지정되어 전통자원으로서 그 가치를 입증받았거나, 문화재는 아니지만 향후 지정될 가능성이 있거나 마을의 전통적인 분위기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인정되는 원형경관의 범주로 한정하였다. 경관요소별 총점은 선행 연구(강영은 등, 2010)에서 산출된 가치별 가중치 점수와 본 연구에서 도출한 평가 결과의 곱으로 산출되었으며, 5점 만점에 평균적으로 3점에서 4점 사이로 도출되었다(Table 7).
성능/효과
둘째, 남사예담촌이 전통마을로서 명성을 이어갈 수 있도록 마을 내 구역을 세분화하여 구역별 기본계획을 세움으로써 마을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보전할 수 있도록 한다.
경관 요소의 도입과 변경 부분은 마을에 투입된 각종 개발 사업과 농지 변경, 농작물의 변화 등 사회·경제적 측면에 의한 영향으로 많은 부분 변경되었으며, 경관 요소의 이전에서는 원래 경관 요소가 다른 장소로 옮겨가는 내용들이 주를 이루었으며, 이는 마을에 투입된 각종 개발사업의 간접적인 영향으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장조사 및 문헌조사를 통하여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한 남사예담촌 원형경관 보전의 문제점은 ‘점적인 요소만의 보전 문제’, ‘복원 방식의 문제’, ‘보전 대상 내부의 현대적 요소 도입 문제’, ‘기존의 형태 및 재료 상이의 문제’, ‘주변경관과 부조화 문제’, ‘지속적인 관리 부족의 문제’, ‘기존 용도의 변경 문제’ 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기존의 관련 연구 고찰을 통해 역사문화자원의 효율적인 보전 방향, 관광적 활용계획 등 체계적 수립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구역별 세부적인 보전계획 도출을 통해 바람직한 보전계획 내용을 참고할 수 있었다.
이의 선정 기준은 사전 현장 조사와 문헌 조사를 통하여 수행되었으며, 문화재로 지정되어 전통자원으로서 그 가치를 입증받았거나, 문화재는 아니지만 향후 지정될 가능성이 있거나 마을의 전통적인 분위기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인정되는 원형경관의 범주로 한정하였다. 경관요소별 총점은 선행 연구(강영은 등, 2010)에서 산출된 가치별 가중치 점수와 본 연구에서 도출한 평가 결과의 곱으로 산출되었으며, 5점 만점에 평균적으로 3점에서 4점 사이로 도출되었다(Table 7). 특히, 회화나무와 니사재는 가중치를 반영한 총점이 각각 4.
경관 변화 내용 및 요인 고찰에서는 농촌마을이 근대화·현대화됨에 따라 주민들의 의식 구조와 생활 방식의 변화 등 사회·경제적인 영향으로 변모한 것과 더불어 다양한 농촌지원사업 및 개발 사업 등의 영향이 남사예담촌의 급격한 경관 변화에 크게 작용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후속연구
향후 남사예담촌에 우선적으로 보전·복원해야 할 경관에 대해서는 과거 남사천 주변 빨래터가 있는 곳을 복원하는 것을 희망하고 있었으며, 남사천 주변 징검다리 같은 전통적 요소 등을 도입하여 마을 전체적인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의견이 수렴되었다.
주차장과 가까이 위치한 마을회관은 현재 한옥양식으로 신축 공사를 진행 중에 있으며 현대화된 내부시설 설치로 이용자들의 편의를 돕고자 한다. 또한 이 공간은 주차장과 가까이 위치하여 방문객의 접근이 유리하기 때문에 마을 전통과 관련된 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신축된 마을회관과 주차장, 주변공간들을 등을 바탕으로 방문객을 위한 다양한 체험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마을 커뮤니티 장소로서의 기능을 높이며, 전통적 요소의 도입을 통해 역사성 및 지역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남 사천 주변의 삭막한 콘크리트 하천변을 친수성이 뛰어난 자연형 하천으로 장기적으로 정비하도록 하며, 주변부과거 빨래터를 복원하는 계획을 통해 운치있는 수변경관 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남사천 및 그 주변경관 정비 및 수경관과 연계된 체험 프로그램 도입 등을 통해 마을 주민들과 방문객들의 적극적인 활용과 아름다운 수경관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역사문화환경 보전의 일환으로 과거의 경관 수집과 함께 과거 문헌 자료들을 해석·분석하려는 연구의 풍토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며, 보전을 위한 계획 및 방법은 지역의 특징 및 주변 환경에 따라 더 구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보전을 위한 기본계획 도출 시 적용한 경관의 변화 내용 분석, 가치평가, 지역주민 인터뷰의 사례수는 마을의 총체적인 기본계획을 도출하는 데 있어 부족하였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틀을 활용함과 동시에 보다 많은 사례 수를 검토하여 마을 내 산재한 원형경관을 충분히 발굴·보전할 수 있는 기본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남사예담촌의 재생·활용구역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용도를 고려하여 계획하였으며, 향후 마을의 사업 및 개발에 따른 부지 확보 등의 용이성도 함께 고려하여 계획에 반영하였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에 위치한 남사예담촌은 어떤 장소인가?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에 위치한 남사예담촌은 우리고유의 주거문화와 공동체의 생활문화 그리고 주변의 자연경관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는 귀중한 역사문화자원 으로 문화재적인 가치와 원형 경관의 보전을 통해 고유한 전통문화를 인지하고 체험할 수 있는 곳이다. 또한 역사문화자원 보전에 대한 전국민적인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2003년 농촌전통테마마을 사업 지정에서 최근 지리산권역 개발사업·농촌체험 명품화 사업에 이르기까지 남사예담촌의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을 보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및 관련 사업들을 펼치고 있다.
원형경관은 어디에 활용되었는가?
본 연구에서 보전 대상이 되는 원형경관(原型景觀)은 선행연구에서 정의한 개념적 정의에 따라 구체화되어 본 연구대상지에서 원형경관을 발굴·파악하는데 활용되었다. 선행연구(강영은 등, 2009)의 원형경관 정의에 의하면, 이는 우리 민족의 사상과 문화, 경험에 의해 형성된 완결성 있는 경관으로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표본경관으로서 작용한다.
남사예담촌에 대한 자료는 기존의 선행 연구, 보고서, 각종 통계자료 등을 참고하였으며, 기존 연구 분석은 기존의 관련 연구에서 전통경관 보전 시 적용한 방법론 등을 조사·분석한 이유는?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 현장조사, 주민 인터뷰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문헌조사는 남사예담촌의 역사, 사회상, 현황 등의 자료 구축과 전통경관 보전 계획과 관련된 기존 연구의 방법론과 보전 방향을 참고하기 위한 2가지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따라서, 남사예담촌에 대한 자료는 기존의 선행 연구, 보고서, 각종 통계자료 등을 참고하였으며, 기존 연구 분석은 기존의 관련 연구에서 전통경관 보전 시 적용한 방법론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참고문헌 (14)
강영은, 최동욱, 홍성희, 정윤희, 김상범, 임승빈, 2009, 원형경관(原型景觀) 개념 정립 및 형성요인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5(4), 33-4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