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남 산청군 남사예담촌 원형경관 보전기본계획
A Study on the preservation plan for prototype landscape in Namsa-Yedamcho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17 no.4, 2011년, pp.13 - 24  

강영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민수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홍성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김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임승빈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make the preservation plan for sustainable preservation restoration of Namsa-Yedamcho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through analyzing the site's characteristics and prototype landscape. Namsa-Yedamchon proudly presents ancient traditions and various historic resources. And seve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의 시간적 범위는 개화기 이전 조선 후기 시점에서 형성·유지되어온 경관의 집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원형경관 개념적 정의에 속하는 마을 내 취락경관들을 유형별로 선정하여 보전 대상으로 설정하고, 이의 구체적인 보전 방향 및 범위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 현장조사, 주민 인터뷰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문헌조사는 남사예담촌의 역사, 사회상, 현황 등의 자료 구축과 전통경관 보전 계획과 관련된 기존 연구의 방법론과 보전 방향을 참고하기 위한 2가지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따라서, 남사예담촌에 대한 자료는 기존의 선행 연구, 보고서, 각종 통계자료 등을 참고하였으며, 기존 연구 분석은 기존의 관련 연구에서 전통경관 보전 시 적용한 방법론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 경관은 다양한 사회·문화·경제적 요인들이 상호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변화되기 때문에, 경관의 변화 내용과 요인을 밝힘에 있어서 단순히 한 요인에 의하여 변화했다고 단정짓기에는 무리가 따르지만, 경관 요소가 직접적으로 변화한 것에 초점을 두고 변화내용 및 요인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 하지만 마을의 원형과 그 변천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부족하여 편의성을 고려한 기반시설·편의시설의 무분별한 도입으로 전통적인 마을의 배치구조와 환경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올바른 보전과 복원, 정비방안에 관한 연구를 통해 농촌 마을 원형경관의 진정성을 구현하고, 이의 계획 방향을 설정하는 계획형 중심의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보전 요소의 선정 기준 및 보전 및 복원 수법 등의 고찰을 통하여 본 연구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 이에 올바른 보전과 복원, 정비방안에 관한 연구를 통해 농촌 마을 원형경관의 진정성을 구현하고, 이의 계획 방향을 설정하는 계획형 중심의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보전 요소의 선정 기준 및 보전 및 복원 수법 등의 고찰을 통하여 본 연구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와 연관성이 있는 기존의 연구 중 박찬용 등(2002)은 닭실마을을 대상으로 마을의 역사 문화적 정체성을 보전하기 위하여 총체적 경관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복원과 정비방안을 제시하였다.
  • 이처럼 본 연구는 대상지역의 환경 및 특성과 관계없이 일률적인 보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계획하는 방향과 달리 지역의 원형경관과 특징, 주변 환경 등 마을과 관련된 사항을 면밀히 조사·분석하여 보다 현실적인 보전 계획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주차장과 가까이 위치한 마을회관은 현재 한옥양식으로 신축 공사를 진행 중에 있으며 현대화된 내부시설 설치로 이용자들의 편의를 돕고자 한다. 또한 이 공간은 주차장과 가까이 위치하여 방문객의 접근이 유리하기 때문에 마을 전통과 관련된 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현 할 수 있도록 한다.
  • 따라서 농촌체험 프로그램의 활용 및 향토경관의 조성을 위해 시설재배지를 마을 내 한 지구로 입지를 지정한 후 조성하도록 하여 비닐하우스의 무차별적인 확산을 막고, 시설 재배지 주변의 차폐식재 등을 통해 마을경관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논경관을 활용하여 청보리, 벼 등의 경관작물을 식재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계절별 다양한 향토경관을 창출하고 방문객을 위한 농촌체험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 본 연구는 역사문화자원 및 경관 보전에 대한 국가적인 관심과 지원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전통마을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는 경상남도 산청군 남사예담촌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이의 바람직한 보전계획을 수립하고자 진행되었다.
  • 마을 내부의 주거경관으로 최씨고가와 이씨고가, 사양 정사는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전통한옥으로 사람이상주하거나 민박으로 활용하여 관리도 양호한 편이나 현대적 요소의 노출로 인한 주변 전통경관과의 부조화 등의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건조물, 정원, 주변의 돌담을 포함한 범위를 기준으로 기존의 양호한 상태를 보전하며 지속적인 관리를 계획목표로 하였다. 이의 주된 계획 내용으로는 가시성이 높은 곳에서의 현대적 요소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통한 보전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내용이다.
  • 또한 마을의 진입부는 도로 가까이 인접하여 주차장 진입 시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마을 안내판 및 지도 등이 노후화되고 일부 부식된 상태이다. 따라서 풍수지리에 의한 비움의 공간에 다른 시설물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공간을 보전하되, 마을회관과 그 주변공간을 중심으로 체험 관광형 공간으로 조성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 비움의 공간에 자연친화형 주차장을 도입하고, 주변부 전통수종의 식재를 통해 전통마을로서의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에 위치한 남사예담촌은 어떤 장소인가?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에 위치한 남사예담촌은 우리고유의 주거문화와 공동체의 생활문화 그리고 주변의 자연경관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는 귀중한 역사문화자원 으로 문화재적인 가치와 원형 경관의 보전을 통해 고유한 전통문화를 인지하고 체험할 수 있는 곳이다. 또한 역사문화자원 보전에 대한 전국민적인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2003년 농촌전통테마마을 사업 지정에서 최근 지리산권역 개발사업·농촌체험 명품화 사업에 이르기까지 남사예담촌의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을 보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및 관련 사업들을 펼치고 있다.
원형경관은 어디에 활용되었는가? 본 연구에서 보전 대상이 되는 원형경관(原型景觀)은 선행연구에서 정의한 개념적 정의에 따라 구체화되어 본 연구대상지에서 원형경관을 발굴·파악하는데 활용되었다. 선행연구(강영은 등, 2009)의 원형경관 정의에 의하면, 이는 우리 민족의 사상과 문화, 경험에 의해 형성된 완결성 있는 경관으로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표본경관으로서 작용한다.
남사예담촌에 대한 자료는 기존의 선행 연구, 보고서, 각종 통계자료 등을 참고하였으며, 기존 연구 분석은 기존의 관련 연구에서 전통경관 보전 시 적용한 방법론 등을 조사·분석한 이유는?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 현장조사, 주민 인터뷰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문헌조사는 남사예담촌의 역사, 사회상, 현황 등의 자료 구축과 전통경관 보전 계획과 관련된 기존 연구의 방법론과 보전 방향을 참고하기 위한 2가지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따라서, 남사예담촌에 대한 자료는 기존의 선행 연구, 보고서, 각종 통계자료 등을 참고하였으며, 기존 연구 분석은 기존의 관련 연구에서 전통경관 보전 시 적용한 방법론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강영은, 최동욱, 홍성희, 정윤희, 김상범, 임승빈, 2009, 원형경관(原型景觀) 개념 정립 및 형성요인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5(4), 33-42. 

  2. 강영은, 최동욱, 홍성희, 민수희, 김상범, 임승빈, 2010, 농촌 원형경관의 문화재적 가치 속성 및 중요도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6(4), 117-129. 

  3. 김덕삼, 2007, 남한산성 마을경관의 복원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6), 101-110. 

  4. 김미선, 2005, 역사도시에서의 지속가능한 도시건축 시스템 연구, 석사학위논문. 

  5. 김한배, 1998, 우리 도시의 얼굴 찾기: 한국 도시의 경관변천과 정체성 연구, 서울, 태림문화사. 

  6. 이현정, 김주원(2009) 지속가능성있는 전통마을 재정비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9(1), 371-374. 

  7. 전남기, 2006, 역사적 문화경관 해석: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남사마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전종한, 2006, 민속마을 외암리의 경관 원형과 경관 동학, 문화역사지리, 18(2), 38-56. 

  9. 진주원, 장윤영, 김성우, 2007, 전통마을의 장기적 보존?활용을 위한 관리모델 개발 가능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7(1), 581-584. 

  10. 손호기, 김상범, 2010, 경남산청군 남사예담촌 전통조경 조성계획. 휴양 및 경관계획연구소 논문집, 4(1), 83-90. 

  11. 박찬용, 김한배, 2003, 산운마을의 역사문화경관 복원 및 정비,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4), 47-61. 

  12. 박찬용, 김한배, 황상돈, 2002, 닭실마을의 경관복원과 정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4), 1-15. 

  13. J. M. Fitch, 1992, Historical Preservation. New York: Curatorial Management of the Built World. 

  14. http://yedam.go2vil.org/(산청 남사예담촌 홈페이지)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