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atty liver disease refers to a range of disorders associated with fatty liver, which occur in excessive eating, evident infection or significant consumption of alcohol.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Triticum aestivum young leaf on lipid metabolism and 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 하지만 간조직의 지질 대사 및 축적에 대한 밀순의 효과는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밀순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고지방식이를 마우스에게 제공하여 유발되는 비만 및 지방간증 동물에게 추출물을 경구투여 하여 혈액중의 지질 수준 및 간조직의 지질 축적에 밀순 추출물의 개선효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 18) 하지만 지질대사를 향상시키고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연구는 밀순에서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이들을 분리 정제하여 구조 규명과 지질합성 및 분해에 관련된 효소의 mRNA와 protein 발현수준을 확인하여 기전을 밝히고자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 밀(Triticum aestivum Lamarck: TA)은 화본과 식물로 세계적으로 생산량 1위를 유지하는 작물이다. 최근 기능성 식품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밀을 소재로 하여 다양한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추세이다. 서양에서는 밀순을 wheetglass라는 명칭으로 분말 또는 착즙하여 영양부족 및 성인병 등의 건강 기능성보조식품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간증에서 알코올성 지방간은 장기간 방치하면 어떤 변화가 나타날 수 있느가? 지방간증은 간 기능 이상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으로 알코올성 지방간(alcoholic hepatostaetosis, ASH)과 비알코올성 지방간(nonalcoholic hepatostaetosis, NASH)으로 구분된다.5)알코올성 지방간은 알코올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만성 과다 음주자의 대부분은 지방간증 소견을 보이며 장기간 방치하면 단순한 지방증과 달리 섬유화 단계를 거쳐 간경변증으로 진행할 수 있는 중간 단계의 진행성 병변이라고 할 수 있다. 알코올성 지방간증은 알코올을 차단하면 바로 상태가 호전되므로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다.
밀이란? 밀(Triticum aestivum Lamarck: TA)은 화본과 식물로 세계적으로 생산량 1위를 유지하는 작물이다. 최근 기능성 식품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밀을 소재로 하여 다양한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추세이다.
지방간의 병인은 무엇에 의해 간 및 지방조직으로 유리지방산의 이동을 증가시키는가? 6) 비만, 당뇨, 고지혈증 등의 대사증후군과 연관성이 있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증은 대부분 과다한 지방섭취에 의해 체내에서 대사되지 못하고 간 및 지방 조직에 축적이 주된 원인이며, 일부는 유전 및 환경적 원인에 기인한 복합 대사성질환으로 나타난다.7) 지방간의 병인은 대사이상으로 야기되는 고인슐린혈증에 의해 간 및 지방조직으로 유리지방산의 이동을 증가시키고 지방축적이 초래된다. 이 과정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이에 노출된 간 조직에서는 염증반응 및 조직손상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oi, M. S., Lee, M. K., Jung, U. J., Kim, H. J., Do, G. M., Park, Y. B. and Jeon, S. M. (2009) Metabolic response of soy pinitol on lipid-lowing, antioxidant and hepatoprotetic action in hamsters fed-high cholesterol diet. Mol. Nutr. Food Res. 53: 751-759. 

  2. Cha, J. Y., Cho, Y. S. and Kim, D. J. (2001) Effect of chicory extract on the lipid metabolism and oxidative stress in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30: 1220-1226. 

  3. Clark, J. M., Brancati, F. I. and Diehl, A. M. (2002)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Gastroenterology 122: 1649- 1657. 

  4. Cortez-Pinto, H., Camilo, M. E., Baptista, A., De Oliveira, A. G. and De Moura, M. C. (1999) Non-alcoholic fatty liver: another feature of the metabolic syndrome? Clin. Nutr. 18: 353-358. 

  5. Ludwig, J., Viggiano, T. R. and McGill, D. B. (1980)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Mayo Clinic experiences with a hitherto unnamed disease. Mayo Clin. Proc. 55: 434-438. 

  6. Marchesini, G., Bugianesi, E., Forlani, G., Cerrelli, F., Lenzi, M. and Manini, R. (2003) Nonalcoholic fatty liver, steatohepatitis, and the metabolic syndrome. Hepatology 37: 917- 923. 

  7. Day, C. P. and James, O. F. (1998) Steatohepatitis: a tale of two "hit"?. Gastroenterology 114: 842-845. 

  8. Schaffler, A., Scholmerich, J. and Buchler, C. (2005) Mechanism of disease: adipocytokines and visceral adipose tissue emerging role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t. Clin. Pract. Gastroenterol. Hepatol. 2: 273-280. 

  9. Delgado, J. S. (2008) Evolving trend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Eur. J. Int. Med. 19: 75-82. 

  10. Park, S. H. (2008)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Pathogenesis and treatment. Kor. J. Hepatol. 14: 12-27. 

  11. Hanninen, O., Rauma, A. L., Kaartinen, K. and Nenonen, M. (1999) Vegan diet in physiological health promotion. Acta Physiol. Hung. 86: 171-180. 

  12. Nagaoka, H. (2005) Treatment of germinated wheat to increase levels of GABA and IP6 catalyzed by endogenous enzymes. Biotechnol. Prog. 21: 405-410. 

  13. Ben-Arye, E., Goldin, E., Wengrower, D., Stamper, A., Kohn, R. and Berry, E. (2002) Wheat grass juice in the treatment of active distal ulcerative colitis: a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trial. Scand. J. Gastroenterol. 37: 444-449. 

  14. Bonfili, L., Amici, M., Cecarini, V., Cuccioloni, M., Tacconi, R., Angeletti, M., Fioretti, E., Keller, J. N. and Eleuteri, A. M. (2009) Wheat sprout extract-induced apoptosis in human cancer cells by proteasomes modulation. Biochimie. 91: 1131- 1144. 

  15. Tudek, B., Peryt, B., Mi oszewska, J., Szymczyk, T., Przybyszewska, M. and Janik, P. (1998) The effect of wheat sprout extract on benzo(a)pyrene and 7,2-dimethylbenz(a)anthracene activity. Neoplasma 35: 515-523. 

  16. Watzl, B. (2008)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lant-based foods and of their constituents. Int. J. Vitam. Nutr. Res. 78: 293-298. 

  17. Eddouks, M., Maghrani, M. and Michel, J. B. (2005) Hypoglycaemic effect of Triticum repens P. Beauv. in normal and diabetic rats. J. Ethnopharmacol. 102: 228-232. 

  18. Lee, S. H., Lee, Y. M., Lee, H. S. and Kim, D. K. (2009) Anti-oxidative and anti-hyperglycemia effect of Triticum aestivum wheat sprout water extracts on th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Kor. J. Pharmacogn. 40: 408-414. 

  19. Lindstrm, P. (2007) The physiology of obese-hyperglycemic mice [ob/ob mice]. Sci. World J. 7: 666-685. 

  20. Lee, S. H., Lim, S. W., Lee, Y. M., Lee, H. S. and Kim, D. K. (2011) Administration of Triticum aestivum sprout Water Extracts regulate the level of Blood Glucose and Lipid in Leptin Deficient ob/ob Mice. J. Kor. Soc. Food Sci. Nutr. 40: 401-408. 

  21. Friedewald, W., Levy, R. and Fredrickson, D.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2. Folch, J., Mee, L. and Stanley, G. S. H. (1975)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23. Frings, C. S. and Dunn, R. T. (1970) A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otal serum lipids based on the sulfophospho- vanillin reaction. Am. J. Clin. Pathol. 53: 89-91. 

  24. Hong, H. S., Ryu, H. K. and Kim, W. Y. (2008) The association of plasma HDL-Cholesterol level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elated factors on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J. Kor. Diabet. 32: 215-223. 

  25. Rim, J. C. K. and Kang, S. A. (2001) Effect of high fat and high carbohydrate diet on serum leptin and lipids concentration in rats. Kor. J. Nutr. 34: 123-131. 

  26.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8) 200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verview.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272-275. 

  27.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2002)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Circulation 106: 3143-3421. 

  28. Friedman, S. F., Martin, P. and Munoz, J. S. (2003) Laboratory evaluation of the patient with liver disease. Hepatology, a textbook of liver disease. Philedelphia; Saunders publication 1: 661-709. 

  29. Burkus, Z. and Temelli, F. (1998)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yield, composition and viscosity stability of barley $\beta$ gum. Cereal Chern. 75: 805-809. 

  30. Lee, Y. T., Yoo, J. W., Yoo, M. S., Choi, K. H., Kim, J. H. and Seog, M. H. (2003) Retarding effects of $\beta$ -glucans separated from barley bran on in vitro transport of bile acid and glucose. Food Sci. Biotechnol. 12: 298-302. 

  31. Lee, S. H., Lee, Y. M., Lee, H. S. and Kim, D. K. (2010) Anti-diabetic Effects of Triticum aestivum L. Water Extracts in db/db Mice as an Animal Model of Diabetes Mellitus Type II. Kor. J. Pharmacogn. 41: 282-288. 

  32. Yang, E. J., Cho, Y. S., Choi, M. S., Woo, M. N., Kim, M. J., Shon, M. Y. and Lee, M. K. (2009) Effect of Young Barley Leaf on Lipid Contents and Hepatic Lipid-Regulating Enzyme Activities in Mice Fed High-Fat Diet. Kor. J. Nutr. 42: 14-22. 

  33. Won, H. R., Lee, S. G. and Park, D. Y. (2005) Effects of hot water soluble extract from green tea on the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effect in rats fed animal or vegetable protein and a hypercholesterol diet. Kor. J. Comm. Living Sci. 16: 39- 45. 

  34. Yugarani, T., Tan, B. K., The, M. and Das, N. P. (1992) Effects of polyphenolic natural products on the lipid profiles of rats fed high fat diets. Lipids 27: 181-186. 

  35. Wang, J. Q., Li, J., Zou, Y. H., Cheng, W. M., Lu, C., Zhang, L., Ge, J. F., Huang, C., Jin, Y., Lv, X. W., Hu, C. M. and Liu, L. P. (2009) Preventive effects of total flavonoids of Litsea coreana leve on hepatic steatosis in rats fed with high fat diet. J. Ethnopharmacol. 121: 54-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