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정 SBEACH 모델에 의한 호안 전면의 침퇴적 예측
Modified SBEACH Model for Predicting Erosion and Accretion in front of Seadike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3 no.6, 2011년, pp.482 - 488  

한재명 ,  김규한 (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  신성원 (관동대학교 첨단해양공간개발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호안은 파랑의 직접적인 영향을 차단하여 배후지역의 이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전빈의 배후면에 건설되는 해안시설물로서 대상지역의 설계파와 조석 조건 하에서 월파가 심각하지 않은 해안에 건설된다. 따라서, 호안의 위치는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가능한 한 높은 위치로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호안의 천단고는 단위시간당 월파량을 허용 가능한 범위 이내로 제어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그러나 호안 전면의 백사장은 입사 파랑에 의해 계속 변형되고 결국에는 원래 설계 초기의 경사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호안 전면 지형의 침식과 퇴적에 의해 원래 설계시 고려되었던 천단고와 월파량은 변하게 되며 호안의 설치 깊이가 감소하여 호안의 안정성을 위협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수리모형 실험과 수정 SBEACH모형을 이용한 수치모델링을 통하여, 처오름 지역에 있어서의 호안 전면부의 국부적인 세굴과 호안의 설치깊이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정한 SBEACH에 호안의 위치에 대한 경계조건을 적절히 적용함으로써, 침식형 파랑 입사시 호안 기초에서의 국부세굴 산정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dike is a coastal structure constructed in the rear region of the foreshore to maximize its usability by preventing direct effect of wave. The expected construction field is determined under the design wave and tidal condition where minor wave overtopping is anticipated. Thus, the location of s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백사장에 설치된 호안 전면부에서 설치 깊이에 따른 국부세굴을 수정 SBEACH 프로그램(Larson et al., 1999)을 이용한 수치 모의와 수리 모형실험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수리모형 실험 조건과 규칙파와 불규칙파에 의한 지형변화를 통해 표사이동의 결과를 기술하고, 수정 SBEACH를 통한 예측 방법을 소개한 후, 이를 통한 예측 결과를 수리 모형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 이러한 연구들의 목적은 포말대(swash zone)의 외해 방면에 설치된 호안 전면부에서의 국부세굴을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수면(still water level)에서 육지방향으로의 처오름(run up) 지역에 설치된 호안 전면부의 국부세굴을 연구하는 것이다. 현 시점에서 처오름 지역에 있는 모래 해안의 호안 전면부에서 국부세굴을 예측할 수 있는 마땅한 방법이 없는 현실이다.
  • (1984)은 호안 전면의 중복파(standing wave)의 영향을 지적하였으며, 호안 전면의 국부 세굴을 두 종류로 분류한 바 있다. 이러한 연구들의 목적은 포말대(swash zone)의 외해 방면에 설치된 호안 전면부에서의 국부세굴을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수면(still water level)에서 육지방향으로의 처오름(run up) 지역에 설치된 호안 전면부의 국부세굴을 연구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쇄파 발생 이전 지역과 쇄파전이 지역에서, 해안종단방향의 순 표사이동량은 감쇠계수의 변화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포말대에서의 q 값은 처오름 한계에 이르기까지 선형적으로 감소되는 함수로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 쇄파지역에서 해안 종단 방향으로 시간당 표사 이동량(q)은 식 (1)에서 임의의 형태의 해빈에서 단위 물 부피당 파랑 에너지감쇠(D)와 평형상태의 해빈에서의 파랑에너지 감쇠(Deq)의 차이에 비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BEACH 모델은 원래 무엇을 예측하기 위한 프로그램이었는가? SBEACH 모델은 원래 침식 형태에 의한 2-D 지형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프로그램이었다. 이 모델에서, 심해에서 포말대(swash zone)까지의 파랑변형은 Dally의 모델에 의해 예측되며, 해빈 종단면 방향의 표사 이동의 시간당 변화율은 Fig.
일반적으로 호안은 어디에 건설되는가? 일반적으로 호안은 그 전면의 해안이 초기 설계 지형이 유지된다고 가정하는 설계파와 조석 조건하에서 월파가 심각하지 않은 해안에 건설된다. 최근에 건설된 호안의 위치는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가능한 한 높은 위치로 결정된다.
SBEACH 모델에서 해빈 종단면 방향의 표사 이동의 시간당 변화율을 산정하기 위해 구분되는 서로 다른 네 개의 구역은 각각 무엇인가? - 쇄파 발생 이전 지역(Pre-breaking zone): 외해방향의 유효 표사이동 수심부터 쇄파지점까지 - 쇄파 전이 지역(breaker transition zone): 쇄파지점에서 권파지점(plunge point)까지 - 쇄파 지역(broken wave zone): 권파지점에서 파랑 재형성 지점(wave reformation point) 또는 포말대까지 - 포말대(swash zone): 쇄파대의 외해쪽 경계에서 해안방향 처오름 한계지점까지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Dally, W.R., Dean, R.G. and Dalrymple, R.A. (1985). Wave Height Variation Across Beaches of Arbitrary Profil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0(6), 11917-11927. 

  2. Deguchi, I, Arita, M, Han, J.M., Kim, K.H. and Yoon, S.J. (2010). Sand overtopping from sea dike on sandy beach. Proc. ISOPE2010, 3(1), 43-50. 

  3. Galvin, C.J. (1969). Breaker Travel and Choice of Design Wave Height. Journal of Waterways and Harbors Division,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95(2), 175-200. 

  4. Irie I., Nadaoka, K., Kondo, T. and Terasaki, K. (1984). Two Dimensional Seabed Scour in front of Breakwaters by Standing Waves. Report of the Port and Habour Research Institute, 23(1), 3-52 (in Japanese). 

  5. Larson, M., Kraus, N.C. and Byrnes, M.R. (1999). SBEACH: Numerical Model For Simulating Storm-Induced Beach change, Report 2 Numerical Formulation and Model Tests, Technical Report. CERC-89-9, 116. 

  6. Mase, H., Takayama, T., Kunitomi, S. and Mishima, T. (1999). Multidirectional spectral wave transformation model including diffraction effect. Journal of Hydraulic, Coasta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JSCE, 628(II-48), 177-187 (in Japanese) 

  7. Sawaragi, T., Deguchi, I. and Hong, G.P. (1986). Effect of rubble mound foundation of composite type breakwater on reduction of reflection. Proc. 5th Congress of APD, IAHR, 361-3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