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서울지역 유기견의 광견병 바이러스 항체 분포 조사
Serological survey of rabies virus from the stray dogs in Seoul 원문보기

韓國家畜衛生學會誌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v.34 no.4, 2011년, pp.297 - 301  

김능희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채희선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손홍락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강영일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이정학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김세곤 (서울시특별시 생활경제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abies virus is transmitted most commonly through a bite from an infected dog. Especially, stray dogs that are not excluded from contact with rabid wild animals can become rabies vectors. Therefore, serological survey of rabies virus from stray dogs in Seoul Metropolitan City was carried out in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환경 변화로 야생동물의 서식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경기 파주와 양주에 인접해 있는 지리적 여건상 서울지역의 떠돌이 개에서 광견병 발생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서울지역에서 포획된 유기견의 광견병 바이러스 항체 분포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광견병의 발생예방과 전파방지를 위한 방역대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견병의 원인체는 무엇인가? 광견병은 Rhabdoviridae과 Lyssavirus속에 속하는 rabies virus가 원인체이며, 감수성 숙주의 범위가 매우 넓어 대부분 온혈동물에 감염되어 중추신경계에 이상을 일으키는 인수공통질병이다(정과 김, 2007; 황, 1995a; 황 등, 1994; Delgado와 Cármenes, 1997). 광견병 바이러스는 사람에서 알려진 병원성 바이러스 중 가장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며, 극소수를 제외하고 임상적인 증상을 나타내는 감염환자는 대부분 사망한다(이, 2007).
광견병은 우리나라에서 언제 처음 보고되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1907년 최초 개의 발생보고 이래 1945년까지 매년 200∼800두 정도씩 발생하였다. 이후 점차 발생이 감소하였고, 1985년부터 1992년까지 8년 동안 발생이 없다가 1993년 9월 22일 강원도 철원의 사육견에서 다시 발생한 보고가 있다(윤 등, 1994).
광견병의 감수성 숙주의 종류는 동물별로 무엇이 있는가? 광견병 바이러스는 사람에서 알려진 병원성 바이러스 중 가장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며, 극소수를 제외하고 임상적인 증상을 나타내는 감염환자는 대부분 사망한다(이, 2007). 감수성은 침입부위, 병원성, 감염 농도와 나이 등 다양한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동물별로 여우, 코요테, 자칼, 야생들쥐들이 가장 높으며, 소, 스컹크, 너구리, 박쥐, 고양이, 토끼가 다소 높은 감수성을 가지고, 개, 면양, 염소, 말 및 영장류가 중등도의 감수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졌다(조, 1980; 한과 이, 1994; 황, 1995b; McCue, 1982). 또한, 바이러스의 침입부위, 병원성, 감염농도 및 나이에 따라 다양한 발현 양상을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강영배, 신진호. 1994. 광견병 해외 발생동향 역학정보 및 관리대책. 대한수의학회지 30: 149-160. 

  2.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2011.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전염병발생통계. http://www.nvrqs.go.kr/Wx_work/Disease_information/Aims/aims.asp. 

  3. 윤용덕, 황의경, 김재훈. 1994. 광견병 최근 국내 발생동향 및 역학조사 결과. 대한수의학회지 30: 139-144. 

  4. 이경기. 2007. 광견병 예방 백신 개발에 관한 연구 동향.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31: 123-128. 

  5. 소병재, 김기석. 2000. 광견병 최근 발생동향과 대책. pp. 14-17. 수의과학검역정보 제9호.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서울. 

  6. 소병재, 진영화, 이상직, 이은동, 이경기, 황의경, 이상경, 김재춘, 박최규, 윤순식, 김기석, 문운경, 신명균, 이성식. 2002. 국내 야생동물의 광견병 감염실태 조사.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26: 115-120. 

  7. 서울특별시. 2011. 농림수산업. pp. 192. 제51회 서울통계연보. 서울특별시, 서울. 

  8. 서울특별시. 2010. 서울시통계정보시스템/산업/농림수산업/유기동물보호현황. http://98.33.11.81/sis2/index.jsp. 

  9. 정지열, 김재훈. 2007. 광견병 실험적 진단의 진보: 종설.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31: 129-139. 

  10. 조길현. 1980. Rabies의 정체. 대한수의학회지 16: 309-326. 

  11. 한홍율, 이원창. 1994. 광견병 개요 및 인수공통전염병으로서의 중요성. 대한수의사회지 30: 131-138. 

  12. 황의경. 1995a. 광견병 발생실태 및 대책: 종설.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19: 281-293. 

  13. 황의경. 1995b. 광견병 진단법 및 예방약의 발전: 종설.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19: 295-307. 

  14. 황의경, 김재훈, 배수명, 박종원, 우종태, 윤용덕. 1994. 너구리의 광견병 발생 증례 보고.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18: 359-364. 

  15. Anderson RK, Carmeron JR. 1985. Registration without taxation: Denver's approach to rabies control. Am J Public Health Nations Health 45: 1005-1010. 

  16. Bota CN, Anderon RK, Gotal SM, Charamella LJ, Howard DR, Briggs DJ. 1987. Comparative prevalence of rabies antibodies among household and unclaimed/stry dogs as determined by the immune adherence haemagglutination assay. Int J Epidemiol 16: 472-476. 

  17. Chomel B, Chappuis G, Bullon F, Cardenas E, de Beublain TD, Lombard M, Giambruno E. 1988. Mass vaccination campaign aganist rabies: are dogs correctly protected? The peruvian experience. Rev Infect Dis 10 Suppl 4: S697-702. 

  18. Delgado S, Carmenes P. 1997. Immuneresponse following a vaccination campaign aganist rabies in dogs from northwestern Spain. Prev Vet Med 31: 257-261. 

  19. Dutta JK. 1999. Human rabies in India: epidemiological features, management and current methods of prevention. Trop Doct 29: 196-201. 

  20. Kelly VP, Gonzalez JL, Nettles WD. 1983. Control of rabies epizootic. Mod Vet Pract 64: 380-384. 

  21. Krebs JW, Smith JS, Rupprecht CE, Childs JE. 1999. Rabies surveillance in the United States during 1998. J Am Vet Med Assoc 215: 1786-1798. 

  22. Lontai I. 1997. The current state of rabies prevention in Europe. Vaccine 15: S16-S19. 

  23. Matter HC, Wandeler AI, Neuenschwander BE, Harischandra LPA, Meslin FX. 2000. Study of the dog population and the rabies control activities in the Mirigama area of Sri Lanka. Avta Trop 75: 95-108. 

  24. McCue JD. 1982. New developments in human rabies prevention. Hosp Pract 17: 66B, 66G, 66J. 

  25. Mebatsion T, Sillero-Zubiri C, Gottelli D, Cox JH. 1992. Detection of rabies antibody by ELISA and RFFIT in unvaccinates dogs and in the endangered Simien jackal (Canis simensis) of Etiopia. Zentralbl Veterinarmed B 39: 233-235. 

  26. Sallum PC, Almeida MF, Massad E. 2000. Rabies seroprevalence of street dogs from Sao Paul City, Brazil. Prev Vet Med 44: 131-139. 

  27. Timoney JF, Gillespie JH, Scott FW, Barlough JE. 1988. Rabies. pp. 832-846. Hagan and Bruner's microbiology and infectious disease of domestic animals. 8th ed.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and London. 

  28. WHO. 2011. Rabies.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099/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