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nd Objectives : Narrow Band Imaging(NBI) is a novel optical technique that enhances the visualization of superficial microvascular architecture which is commonly increased and founded as an irregular shape in a neoplastic les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he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 최근의 고해상도 전자내시경의 개발과 함께 등장한 협대역 영상(Narrow Band Imaging, NBI)은 빛의 파장을 조절하여 점막의 미세혈관구조를 보다 자세하고도 명확히 관찰할 수 있는 광학기법으로 1999년 개발 이후 이미 위장관 영역에서는 편평세포암의 조기 발견에 관한 많은 보고가 있어왔다.8,9) 본 연구에서는 두경부암을 조기 진단함에 있어서 협대역 영상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Demonstrable lesion of post pharyngeal wall mass. A : A slight reddish area(arrows) was detected by the conventional broad band image.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margin of the lesion from surrounding normal mucosa.
  •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margin of the lesion from surrounding normal mucosa. B : Well demarcated brownish lesion(arrows) was detected with scattered brown dots on the surface of the lesions. It could be well identified by narrow band imagin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협대역 영상이란? 하지만 기존의 광대역 영상의 내시경만으로는 1cm 미만의 병변을 발견하기 힘들고 병변의 미세한 혈관 증식 또는 혈관의 변형을 구별해내기 어려운 점이 있다.7) 최근의 고해상도 전자내시경의 개발과 함께 등장한 협대역 영상(Narrow Band Imaging, NBI)은 빛의 파장을 조절하여 점막의 미세혈관구조를 보다 자세하고도 명확히 관찰할 수 있는 광학기법으로 1999년 개발 이후 이미 위장관 영역에서는 편평세포암의 조기 발견에 관한 많은 보고가 있어왔다.8,9) 본 연구에서는 두경부암을 조기 진단함에 있어서 협대역 영상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기존 광대역 영상의 내시경의 한계는? 5,6) 이러한 병변을 조기에 진단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들은 미세한 병변을 찾아내어 이를 양성 병변과 잘 감별하는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광대역 영상의 내시경만으로는 1cm 미만의 병변을 발견하기 힘들고 병변의 미세한 혈관 증식 또는 혈관의 변형을 구별해내기 어려운 점이 있다.7) 최근의 고해상도 전자내시경의 개발과 함께 등장한 협대역 영상(Narrow Band Imaging, NBI)은 빛의 파장을 조절하여 점막의 미세혈관구조를 보다 자세하고도 명확히 관찰할 수 있는 광학기법으로 1999년 개발 이후 이미 위장관 영역에서는 편평세포암의 조기 발견에 관한 많은 보고가 있어왔다.
협대역 영상에서 악성으로 판단되는 소견 중, 경계가 뚜렷한 갈색 병변이란? 협대역 영상에서 악성으로 판단되는 소견으로는 경계가 뚜렷한 갈색 병변(Well demarcated brownish lesion)과 유두 내 모세혈관고리(Intra-epithelial papillary capillary loop, IPCL) 수의 증가 또는 형태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조직의 악성화 초기에 동반되는 미세한 혈관 증식부위에서 단파장의 빛이 혈색소에 흡수되어 주변조직으로부터 반사되는 빛과 대조를 이루며 뚜렷한 갈색 병변으로 관찰되는 것이 경계가 뚜렷한 갈색병변(well demarcated brownish lesion)이다. 경계가 뚜렷한 갈색 병변은 악성의 가능성이 많고 모호한 경계의 산만한 갈색 병변은 오히려 수술 후 염증반응과 같은 양성 병변에서 관찰되기 쉽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mith JA, Fleming WB. An approach to malignant parotid tumours. Aust NZJ Surg. 1989;59:317-320. 

  2. Wahlberg PC, Andersson KE, Biorklund AT, Moller TR. Carcinoma of the hypopharynx: Analysis of incidence and survival in Sweden over a 30-year period. Head Neck. 1998;20(8):714-719. 

  3. Johansen LV, Grau C, Overgaard J. Hyp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treatment results in 138 consecutively admitted patients. Acta Oncol. 2000;39(4):529-536. 

  4. Eckel HE, Staar S, Volling P, Sittel C, Damm M, Jungehuelsing M. Surgical treatment for hypopharynx carcinoma: Feasibility, mortality, and results.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1;124(5): 561-569. 

  5. McGuirt WF. Panendoscopy as a screening examination for simultaneous primary tumors in head and neck cancer: A prospective sequential study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Laryngoscope. 1982;92(5):569-576. 

  6. Morita M, Kuwano H, Ohno S, Sugimachi K, Seo Y, Tomoda H, et al. Multiple occurrence of carcinoma in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associated with esophageal cancer: Reference to smoking, drinking and family history. Int J Cancer. 1994;58(2): 207-210. 

  7. Muto M, Hironaka S, Nakane M, Boku N, Ohtsu A, Yoshida S. Association of multiple Lugol-voiding lesions with synchronous and metachronous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Gastrointest Endosc. 2002;56 (4):517-521. 

  8. Inoue H, Yokoyama A, Kudo SE. [Ultrahigh magnifying endoscopy: Development of CM double staining for endocytoscopy and its safety]. Nippon Rinsho. 2010;68(7):1247-1252. 

  9. Muto M, Horimatsu T, Ezoe Y, Hori K, Yukawa Y, Morita S, et al. Narrow-band imaging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J Gastro enterol. 2009;44(1):13-25. 

  10. Mori M, Adachi Y, Matsushima T, Matsuda H, Kuwano H, Sugimachi K. Lugol staining pattern and histology of esophageal lesions. Am J Gastroenterol. 1993;88(5):701-705. 

  11. Inoue H, Rey JF, Lightdale C. Lugol chromoendoscopy for eso-phageal squamous cell cancer. Endoscopy. 2001;33(1):75-79. 

  12. Uedo N, Iishi H, Tatsuta M, Yamada T, Ogiyama H, Imanaka K, et al. A novel videoendoscopy system by using autofluorescence and reflectance imaging for diagnosis of esophagogastric cancers. Gastrointest Endosc. 2005;62(4):521-528. 

  13. Kara MA, Peters FP, Fockens P, ten Kate FJ, Bergman JJ. Endoscopic video-autofluorescence imaging followed by narrow band imaging for detecting early neoplasia in Barrett's esophagus. Gastrointest Endosc. 2006;64(2):176-185. 

  14. Curvers WL, Singh R, Song LM, Wolfsen HC, Ragunath K, Wang K, et al. Endoscopic tri-modal imaging for detection of early neoplasia in Barrett's oesophagus: a multi-centre feasibility study using high-resolution endoscopy, autofluorescence imaging and narrow band imaging incorporated in one endoscopy system. Gut. 2008;57(2):167-172. 

  15. Yoshida Y, Goda K, Tajiri H, Urashima M, Yoshimura N, Kato T. Assessment of novel endoscopic techniques for visualizing superficial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Autofluorescence and narrow-band imaging. Dis Esophagus. 2009;22(5): 439-446. 

  16. Inoue H. [Endoscopic diagnosis of tissue atypism(EA) in the pharyngeal and esophageal squamous epithelium; IPCL pattern classification and ECA classification]. Kyobu Geka. 2007; 60(8 Suppl):768-775. 

  17. Kumagai Y, Inoue H, Nagai K, Kawano T, Iwai T. Magnifying endoscopy, stereoscopic microscopy, and the microvascular architecture of superficial esophageal carcinoma. Endoscopy. 2002;34(5):369-375. 

  18. Muto M, Nakane M, Katada C, Sano Y, Ohtsu A, Esumi H, et al. Squamous cell carcinoma in situ at oropharyngeal and hypopharyngeal mucosal sites. Cancer. 2004;101(6):1375-1381. 

  19. Piazza C, Cocco D, De Benedetto L, Bon FD, Nicolai P, Peretti G. Role of narrow-band imaging and high-definition television in the surveillance of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ncer after chemo- and/or radiotherapy. Eur Arch Otorhinolaryngol. 2010; 267(9):1423-1428. 

  20. Watanabe A, Taniguchi M, Tsujie H, Hosokawa M, Fujita M, Sasaki S. The value of narrow band imaging for early detection of laryngeal cancer.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9;266(7): 1017-102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