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e Fort I 골절단술을 통한 상악의 후상방 회전에 따른 상순과 비부의 연조직 변화
Soft tissue changes of upper lip and nose following posterosuperior rotation of the maxilla by Le Fort I osteotomy 원문보기

大韓口腔顎顔面外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v.37 no.6, 2011년, pp.457 - 463  

권영욱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표성운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  이원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구강악안면외과) ,  박재억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roduction: This study evaluate the soft tissue changes to the upper lip and nose after Le Fort I maxillary posterosuperior rotational movement.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Skeletal class III patients, who had undergone bimaxillary surgery with a maxillary Le Fort I osteotomy and bilateral sag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상악의 후상방 회전이동에 의한 상순 및 비부 연조직 변화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고, 그 중에서도 상악의 특정 회전점(rotation center)을 중심으로 한 시계방향의 회전이동에 의한 상순 및 비부 연조직의 변화에 대해서 평가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NS를 중심으로 상악을 후상방으로 회전한 경우 비부 및 상순의 연조직 변화를 평가하였다.
  • 따라서 이에 따른 상순과 비부의 연조직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악수술에서 설정할 수 있는 여러 회전 중심점들 중에서 상악 기저골의 전후방적인 위치변화를 계획하지 않고 anterior nasal spine (ANS)을 회전점으로 하여 후상방 회전한 증례들에 있어서, 그에 따른 상순 및 비부의 변화를 알아보아 향후 보다 예지성 있는 악교정 수술계획의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Baek 등8에 의한 상악의 Le Fort I 후상방 회전 움직임과 하악의 BSSRO 후방이동 후 골격적인 안정성을 알아본 연구에서, 상악골에 위치하는 골격성 계측점들은 수술 후 1주일과 수술 후 1년을 비교하였을 때 안정적이었지만 상악 제 1대구치 근심협측 교두정이나 상악 전치 절단연과 같은 치성 계측점은 수술 후 1년에서 수직, 수평적으로 유의한 재발성 변화가 있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술 후 교정치료의 상순에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수술 후 평가 기간을 술 후 6개월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격성 부정교합의 치료에 자주 시행되는 술법은 무엇인가? 이후 Axhausen4, Schuchardt5 등에 의해서 수술방법이 발전되었고, 1960년대에 Obwegeser6가 Le Fort I을 이용한 다양한 수술방법을 정리, 보고하여 Le Fort 골절단술이 널리 활용되는 계기가 되어 최근 30년간 전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술식이 되었다. 이러한 상악의 Le Fort I 골절단술을 포함하는 악교정 수술은 골격성 부정교합의 치료에 있어서 자주 선택되어 시행되고 있다. 상악의 악교정 수술 중 상악의 상방이동에 대한 안정성을 Proffit 등7이 알아본 바 있고, 42명을 1년 이상 경과 관찰했을 때 매우 안정적인 술식임을 보고하였다.
악교정 수술은 어느 경우에 고려되는가? 악교정 수술은 골격성 부정교합 환자들의 치료에 있어서 교정 치료만으로 기능적인 교합과 심미적인 안모의 치료결과를 얻기 어려운 경우 고려된다. 상악과 하악의 다양한 악교정 술식 중 1901년 Rene Le Fort에 의해서 명명된 두 개안면부의 골절술 중 하나인 Le Fort I 골절단술은 1859년에 von Langenbeck1에 의해서 처음 기술되었다.
안면골의 움직임에 따른 연조직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연구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 동안 안면골의 움직임에 따른 연조직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방법들이 시행되어왔다. 측모두부계측 방사선사진을 활용한 방법, videocephalometric 예측방법 그리고 최근에는 computed tomography를 활용한 삼차원적인 방법 등이 있다. 그중에서도 측모두부계측 방사선사진을 활용한 방법은 1930년대에 보고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악교정 치료의 계획수립에 있어서 기본적인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von Langenbeck B. Beitrage zur osteoplastik - Die osteoplastische resektion des oberkiefers. In: Goschen A, ed. Deutsche Klinik. Berlin: Reimer; 1859. 

  2. Cheever DW. Naso-pharyngeal polypus, attached to the basilar process of occipital and body of the sphenoid bone successfully removed by a section, displacement, and subsequent replacement and reunion of the superior maxillary bone. Boston Med Surg J 1867;8:162. 

  3. Wassmund M. Frakturen und Luxationen des Gesichtsschadels. Leipzig: Meusser; 1927. 

  4. Axhausen G. Technik und Ergebnisse der Lippenplastiked. Leipzig: Thieme; 1941. 

  5. Schuchardt K. Ein Beitrag zur chirurgischen Kieferorthopadie unter Berucksichtigung ihrer Bedeutung fur die Behandlung angeborener und erworbener Kieferdeformitaten bei Soldaten. Dtsch Zahn Mund Kieferheil 1942;9:73-89. 

  6. Obwegeser H. [Surgery of the maxilla for the correction of prognathism]. SSO Schweiz Monatsschr Zahnheilkd 1965;75:365- 74. 

  7. Proffit WR, Turvey TA, Phillips C. The hierarchy of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in orthognathic surgery with rigid fixation: an update and extension. Head Face Med 2007;30:3-21. 

  8. Baek SH, Kim K, Choi JY. Evaluation of treatment modality for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labioversed upper incisors and/ or protrusive maxilla: surgical movement and stability of rotational maxillary setback procedure. J Craniofac Surg 2009;20:2049-54. 

  9. Betts NJ, Edwards SP. Soft tissue changes associated with orthognathic surgery. In: Perterson's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Vol. II, 2nd ed. Hamilton; BC Decker; 2004:1221-46. 

  10. Dann JJ 3rd, Fonseca RJ, Bell WH. Soft tissue changes associated with total maxillary advancement: a preliminary study. J Oral Surg 1976;34:19-23. 

  11. Schendel SA, Eisenfeld JH, Bell WH, Epker BN. Superior repositioning of the maxilla: stability and soft tissue osseous relations. Am J Orthod 1976;70:663-74. 

  12. Burstone CJ, James RB, Legan H, Murphy GA, Norton LA. Cephalometrics for orthognathic surgery. J Oral Surg 1978;36:269- 77. 

  13. Legan HL, Burstone CJ. Soft tissue cephalometric analysis for orthognathic surgery. J Oral Surg 1980;38:744-51. 

  14. Radney LJ, Jacobs JD. Soft-tissue changes associated with surgical total maxillary intrusion. Am J Orthod 1981;80:191-212. 

  15. Mansour S, Burstone C, Legan H. An evaluation of soft-tissue changes resulting from Le Fort I maxillary surgery. Am J Orthod 1983;84:37-47. 

  16. O'Ryan F, Carlotti A. Nasal anatomy and maxillary surgery. III. Surgical techniques for correction of nasal deformities in patients undergoing maxillary surgery. 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1989;4:157-74. 

  17. O'Ryan F, Schendel S. Nasal anatomy and maxillary surgery. II. Unfavorable nasolabial esthetics following the Le Fort I osteotomy. 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1989;4:75-84. 

  18. O'Ryan F, Schendel S. Nasal anatomy and maxillary surgery. I. Esthetic and anatomic principles. 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1989;4:27-37. 

  19. Stella JP, Streater MR, Epker BN, Sinn DP. Predictability of upper lip soft tissue changes with maxillary advancement. J Oral Maxillofac Surg 1989;47:697-703. 

  20. Betts NJ, Fonseca RJ. Soft tissue changes associated with orthognathic surgery. In: Bell WH, ed. Modern practice in orthognath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Volume III. Philadelphia: Saunders; 1992:2171-209. 

  21. Jensen AC, Sinclair PM, Wolford LM. Soft tissue changes associated with double jaw surger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2;101:266-75. 

  22. Hack GA, de Mol van Otterloo JJ, Nanda R. Long-term stability and prediction of soft tissue changes after LeFort I surger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3;104:544-55. 

  23. Enacar A, Taner T, Toroglu S. Analysis of soft tissue profile changes associated with mandibular setback and double-jaw surgeries. 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1999;14:27-35. 

  24. Park JO, Lee SC. A clinico-statistical study of soft tissue changes of upper lip & nose following Le Fort I maxillary movement. J Korean Assoc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2000;22:310-8. 

  25. Mommaerts MY, Lippens F, Abeloos JV, Neyt LF. Nasal profile changes after maxillary impaction and advancement surgery. J Oral Maxillofac Surg 2000;58:470-5. 

  26. Koh CH, Chew MT. Predictability of soft tissue profile changes following bimaxillary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Chinese patients. J Oral Maxillofac Surg 2004;62:1505-9. 

  27. Chew MT.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after bimaxillary surgery in Chinese Class III patients. Angle Orthod 2005;75:959-63. 

  28. Jeong MH, Choi JH, Kim BH, Kim SG, Nahm DS. Soft tissue changes after double jaw rotation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2006;32:559- 65. 

  29. Chew MT, Sandham A, Wong HB. Evaluation of the linearity of soft- to hard-tissue movement after orthognathic surger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8;134:665-70. 

  30. Chung C, Lee Y, Park KH, Park SH, Park YC, Kim KH. Nasal changes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 Koreans. Angle Orthod 2008;78:427-32. 

  31. Joss CU, Thuer UW. Stability of the hard and soft tissue profile after mandibular advancement in sagittal split osteotomies: a longitudinal and long-term follow-up study. Eur J Orthod 2008;30:16-23. 

  32. Joss CU, Vassalli IM, Thuer UW. Stability of soft tissue profile after mandibular setback in sagittal split osteotomies: a longitudinal and long-term follow-up study. J Oral Maxillofac Surg 2008;66:1610-6. 

  33. Park JU, Hwang YS. Evaluation of the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after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on the maxilla and mandible. J Oral Maxillofac Surg 2008;66:98-103. 

  34. Marsan G, Cura N, Emekli U.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after bimaxillary surgery in Turkish female Class III patients. J Craniomaxillofac Surg 2009;37:8-17. 

  35. Schouman T, Baralle MM, Ferri J. Facial morphology changes after total maxillary setback osteotomy. J Oral Maxillofac Surg 2010;68:1504-11. 

  36. Jacobson R, Sarver DM. The predictability of maxillary repositioning in LeFort I orthognathic surger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2;122:142-54. 

  37. Semaan S, Goonewardene MS. Accuracy of a LeFort I maxillary osteotomy. Angle Orthod 2005;75:964-73. 

  38. Robinson SW, Speidel TM, Isaacson RJ, Worms FW. Soft tissue profile change produced by redu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Angle Orthod 1972;42:227-35. 

  39. Hershey HG, Smith LH. Soft-tissue profile change associated with surgical correction of the prognathic mandible. Am J Orthod 1974;65:483-502. 

  40. Lee JJ. Maxillary osteotomies: Le Fort I Osteotomy. In: Turvey TA, ed.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Vol. III. 2nd ed. St. Louis: Saunders; 2009:172-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