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자만 새꼬막, Scapharca subcrenata (Bivalvia: Arcidae)의 생리적변화 및 계절별 에너지수지
Variation in physiological energetics of blood cockle Scapharca subcrenata (Bivalvia: Arcidae) from Yeoja bay, South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27 no.3, 2011년, pp.205 - 211  

신윤경 (국립수산과학원 전략양식연구소 양식관리과) ,  이원찬 (국립수산과학원 기반연구부 어장환경과) ,  김성연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기획부 연구기획과) ,  전제천 (국립수산과학원 전략양식연구소 양식관리과) ,  김응오 (국립수산과학원 전략양식연구소 양식관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esents physiological rates of oxygen consumption, ammonia excretion, feeding rates, O/N ratio and assimilation efficiency of the blood cockle, Scapharca subcrenata, determined from specimens collected in Yeoja bay on the south coast of Korea. Physiolog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mon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남 여수시 여자만에서 양식되고 있는 새꼬막을 대상으로 호흡, 배설, 먹이섭취율 및 SFG (Scope for Growth) 등을 분석하여 새꼬막의 에너지 수지 특성 및 최적 성장시기를 파악하고 양식장 적정수용력을 산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꼬막의 정의는? 새꼬막은 Scapharca subcrenata 는 이매패강 (bivalvia) 돌조개목 (Arcoida), 돌조개과 (Arcidae) 에 속하는 이매패류로서, 유용한 양식패류이며, 수심 4-6 m의 진흙갯벌에 서식하며, 전남 여자만이 주 산지이다 (Min, 2004). 한국에서 꼬막류의 생산량은 2001년에 3,842 MT이던 것이 2003년에 2,440 MT으로 감소하였다가 2004년에 10,849 MT으로 다시 증가한 후 2006년에 5,063 MT, 2008년에 1,637 MT으로 생산량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패류 양식의 이점은? 패류 양식은 해산 양식 중 가장 지속적인 양식방법중 하나이며, 인위적인 먹이 공급없이도 해양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성 미세조류와 유기 영양염 등을 이용하여 광범위하게 양식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여과섭식의 특성을 가진 양식 패류들은 이들의 여과능력으로 인해 연안 생태계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패류 양식 수용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나타나는 문제점은? 또한 여과섭식의 특성을 가진 양식 패류들은 이들의 여과능력으로 인해 연안 생태계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양식수용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패류가 섭취할 수 있는 1차 생산력은 감소하고 있고, 또한 서식지의 혐기화와 같은 환경변화는 패류 생산력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NRCA, 1998). 에너지수지에 관한 연구는 해양생물의 서식지 적응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중요하며, 양식생물의 어장환경 적정수용력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yne, B.L, Brown, D.A, Burns, K, Dixon, D.R, Ivanovici, A., Livingstone, D.R, Lowe, D.M., Moore, M.N., Stebbing, A.R.D. and Widdows. J. (1985) The effects of stress and pollution on marine animals (Praeger special studies). Praeger Scientific, Westport, C.T. p. 9. 

  2. Bayne, B.L and Newell, R.C. (1983) Physiological energetics of marine mollusca. In: Saleuddim, ASM. and Wilbur, KM (Eds.). The Mollusca 4, Academic press, New York, p. 407-515. 

  3. Dame, R.P. (1966) Ecology of marine bivalves. An ecosystem approach. CRC Press, Boca Raton, p. 254. 

  4. Durbin, E.G. and Durbin, A.G. (1981) Assimilation efficiency and nitrogen excretion of a filter feeding planktivore, the atlantic menhaden, Brevoortia tyrannus (Pisces: Clupeidae). Fisheries Bulletin, p. 601-616. 

  5. Gabbott, P.A. (1982)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adaptation of marine organisms.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6: 37-56. 

  6. Hicks, D.W and McMahon, R.F. (2002) Respiratory responses to temperature and hypoxia in the brown mussel Perna perna (Bivalavia: Mytilidae), from the Gulf of Mexico.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277: 61-78. 

  7. Huang, S.C. and Newell, R.I.E. (2002) Seasonal variations in the rates of aquatic and aerial respiration and ammonium excretion of the ribbed mussel, Geukensia demissa (Dillwyn.).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270: 241-255. 

  8. Iglesias, J.I.P., Perez-Camacho. Navarro, A., Labarta, E., Beiras, U., Hawkins A.J.S. and Widdows, J. (1996) Microgeographic variability in feeding, absorption and condition of mussel (Mytilus galloprovincialis Lmk): a transplant experiment. Journal of Shellfish Research, 15: 673-680. 

  9. Jiang, A.L, Lin, J., and Wang, C.H. (2008) Physiological energetics of the ascidian Styela clava in relation to body size and temperature. Comparative Biochemical Physiology, part A 149: 129-136. 

  10. Kinne, O. (1966) Physiological aspects of animal life in estuaries with special reference to salinity. Netherand Journal of Sea Research 3: 222-244. 

  11. Lee, J.H. and Youn, S..M. (2000)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Yeoja bay of Korea. Algae, 15(2): 89-98. 

  12. Min, D.K. (2004) Mollusks in Korea. Hanguel Graphics, Busan, p. 387 

  13. MacDonald, B.A,, Bacon, G.S. and Ward, J.E. (1998) Physiological responses of infaunal (Mya arenaria) and epifaunal (Placopecten magellanicus) bivalve to variations in the concentration and quality of suspended particles. II. Absorption efficiency and scope for growth.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219: 127-141. 

  14. Mao, Y., Zhou, Y., Yang, H. and Wang, R. (2006) Seasonal variation in metabolism of culture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Sanggou Bay, China. Aquaculture, 253: 322-333. 

  15. Navarro JM, Leiva GE, Martinez G, and Aguilera C (2000) Interactive effects of diet and temperature on the scope for growth of the scallop Argopecten purpuratus during reproductive conditioning.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247: 67-83. 

  16. Shigeru, S., Yutaka, A. and Hiroshi, T. (2000) Report of marine ecology research institute from Japan, 2: 255-256. 

  17. Shin, Y.K., Choi, Y.S., Kim, E.O. and Sohn, S.G. (2009) Variation in physiological energetics of the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Bivalvia: Arcidae) from Gamak Bay, South Coast of Korea. Fisheries Aquaculture Science, 12(4): 331-338. 

  18. Solorzano, L. (1969) Determination of ammonia natural waters by the phenolhypochlorite method. Limnology Oceanogrphy, 14: 799-801. 

  19. Smaal, A.C. and Widdows, J. (1994) The scope for growth of bivalves as an integrated response parameter in biological monitoring. In: Kramer KJM (ed), Biomonitoring of coastal waters and estuaries. CRC, BocaRaton, pp 247-267. 

  20. Ward, J.E, Cassel, H.K. and MacDonald, B.A. (1992) Chemoreception in the sea scallop Placopecten magellanicus (Gmelin). I. Stimulatory effects of phytoplankton metabolites on clearance and ingestion rates.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163: 235-250. 

  21. Warren, G.E. and Davis, G.E. (1967) Laboratory studies on the feeding, bioenergetics and growth of fish. In: The biological basis of freshwater fish production. Edited by S. D. Gerking,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p. 175-2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