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하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영양상태, 자각증상 및 정보요구도
A Study on the Nutritional Status, Symptoms, and Information Needs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원문보기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3 no.1, 2011년, pp.72 - 80  

김나현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권영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이경희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곽혜원 (계명대학교) ,  김명애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eal the nutritional status and symptoms related to dysphagia and to identify the information needs of the patient with post-stroke dysphagia for self care. Methods: Fifty one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patients being admitted from 3 tertiary hospital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하장애 발생 후 만성적 경과기간을 거치는 동안 환자의 식이섭취는 대부분 보호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 과정에서 많은 보호자들이 충분한 정보와 기술을 습득하지 못한 채 환자의 식이를 돕고 있어 어려움을 호소함은 물론 흡인의 위험을 가중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적 연하장애 문제를 가진 환자 및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연하장애 관련 특성 및 연하장애 환자의 자가관리 정보요구도를 사정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환자의 치료에 참여하는 의료진들이 연하장애 환자에게 필요한 통합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체계화하여 연하장애 환자치료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뿐만 아니라 연하장애에 관련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하장애 환자의 실제 영양상태와 다양하게 알려져 있는 연하장애 증상들 중 환자가 경험하고 있는 연하장애 증상을 파악하고 연하장애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연하장애 환자에게 필요한 통합적인 간호사정 및 간호중재 개발의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연하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영양상태 및 연하장애 관련 증상과 자가관리를 위한 정보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가 1개월 이상 지속된 환자 및 보호자 51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구조화된 설문지,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 본 연구는 연하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영양상태, 자각증상 및 자가관리 정보요구도를 조사하여 연하장애 환자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통합적인 사정 및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연하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영양상태, 자각증상 및 정보요구도를 규명해보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하장애 환자의 실제 영양상태와 다양하게 알려져 있는 연하장애 증상들 중 환자가 경험하고 있는 연하장애 증상을 파악하고 연하장애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연하장애 환자에게 필요한 통합적인 간호사정 및 간호중재 개발의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하장애 환자들의 영양상태가 매우 저조함을 확인할 수 있는 이유는? 각 지표별 분석결과에서도 전체 대상자의 약 85%가 한 가지 이상 영양지표에서 정상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연하장애 환자들의 영양상태가 매우 저조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연하장애 환자에게서 영양 부족이 초래되는 이유로 연하장애가 있는 경우 구강섭취가 가능하여 하루 필요 영양소를 제공한다 하더라도 연하장애 증상들로 인해 그것을 충분히 섭취하기는 어려우며, 위관영양을 하는 경우라도 적절한 영양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Leibovitz et al., 2005).
연하장애란? 연하장애(dysphagia)란 음식물을 삼키는 데 어려움이 있는 상태를 말하며, 목구멍의 경한 불편감에서부터 심한 경우 음식물을 전혀 삼키지 못하는 상태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연하과정은 6개의 뇌신경과 55개의 근육이 관련되는 복잡한 현상으로, 뇌졸중, 다발성 경화증, 뇌종양, 파킨슨, 치매 등 다양한 질환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문제이다(Cornwell, Murdoch, Ward, & Morgan, 2003; Westergren, Hallberg, & Isson, 1999).
연하장애의 증상은? 이 중 뇌졸중은 연하장애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으로, 뇌졸중 후 25-65%의 환자에서 연하장애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nn, Hankey, & Cameron, 1999; Teasell, Bach, & McRae, 1994). 연하장애의 증상으로는 침흘림, 씹기 장애, 입속에 음 식물 주머니 형성(food pocketing), 삼킴 지연, 기침, 질식, 습한 목소리(wet-sound voice), 인두에 음식물이 달라붙는 느낌(food sticking), 체중감소, 가슴쓰림, 비강 역류, 흡인성 폐렴 등이 보고되어 있다 (Perry,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ker, D. M. (1993).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impairments in swallowing.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28, 793-805. 

  2. Chon, J. S., Chun, S., Kim, D., & Bae, H. S. (1996). Clinical evaluation of dysphagia in stroke patients(I).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 305-311. 

  3. Chun, M. H. (1999). Dysphagia in stroke patients. Korean Journal of Stroke, 1, 146-150. 

  4. Clark, H. M. (2003). Neuromuscular treatments for speech and swallowing : A tutorial.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 400-415. 

  5. Colodny, N. (2001).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mealtime and dysphagia questionnaire: an instrument designed to assess nursing staff reasons for noncompliance with SLP dysphagia and feeding recommendations. Dysphagia, 16, 263-271. 

  6. Cornwell, P. L., Murdoch, B. E., Ward, E. C., & Morgan, A. (2003). Dysarthria and dysphagia as long-term sequelae in a child treated for posterior fossa tumour. Pediatric Rehabilitation, 6(2), 67-75. 

  7. Daniels, S. K., Brailey, K., Priestly, D. H., Herrington, L. R., Weisberg, L. A., & Foundas, A. L. (1998). Aspiration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9, 14-19. 

  8. Heritage, M. (2001). A collaborative approach to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dysphagia.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6(Suppl), 369-374. 

  9. Ickenstein, G. W., Kelly, P. J., Furie, K. L., Ambrosi, D., Rallis, N., Goldstein, R., et al. (2003). Predictors of feeding gastrostomy tube (FGT) removal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12, 169-174. 

  10. Johnson, E. R., McKenzie, S. W., & Sievers, A. (1993). Aspiration pneumonia in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4, 973-976. 

  11. Kim, B. E., Lee, J. M., & Lee, H. Y. (1997). A study of the effect of structured rehabilitation education on the stress of the family with stroke pati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 22-39. 

  12. Kim, C. J., Choi, K. H., & Chun, M. H. (1999). Dysphagia in traumatic brain injur-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3, 711-716. 

  13. Kim, M. H., & Kim, M. Y. (2007). The effects of swallowing with oropharyngeal sensory stimulation in nasogastric tube insert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558-567. 

  14. Kim, M. H., Kim, Y. H., Kim, Y. M., Ju, Y. H., Lee, Y. M., Jung, E. H. (2001). A study on the applying of training program to facilitate deglution-on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patients with nasogastric tub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3, 136-146. 

  15. Kind, A., Anderson, P., Hind, J., Robbins, J., & Smith, M. (2011). Omission of dysphagia therapies in hospital discharge communications. Dysphagia, 26, 49-61. 

  16. Leibovitz, A., Sela, B., Habot, B., Gavendo, S., Lansky, R., Ayni, Y., et al. (2002). Homocysteine blood level in long-term care residents with oropharyngeal dysphagia: comparison of hand-oral and tube-enteral-fed patients.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6, 94-97. 

  17. Leibovitz, A., Sela, B., Zlotnik, J., Baumohel, Y., & Segal, R. (2005). Plasma levels of amino acids in elderly long term care residents with oropharyngeal dysphagia: Comparison of hand-oral with tube-enteral-fed patients. Amino Acids, 29, 263-266. 

  18. Lin, L., Wang, S., Chen, S. H., Wang, T., Chen, M., & Wu, S. (2002). Effiacy of swallowing training for residents following strok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4, 469-478. 

  19. Mann, G., Hankey, G. J., & Cameron, D. (1999). Swallowing function after stroke: Prognosis and prognosis factors at 6 months. Stroke, 30, 744-748. 

  20. Paek, E. K., Moon, K. H., Kim, H. J., Lee, E. S., Lee, J. H., Lee, S. H., et al. (2007). Dysphagia assessment tool for post-stroke patients. Clinical Nursing Research, 13(3), 19-30. 

  21. Park, K. A., Kim, S., Park, Y., Suh, E. Y., Park, M. S., Kim, E. S., et al. (2010). A study on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and nutrient intakes in elderly Korean female. Journal of Biological Nursing, 12, 39-47. 

  22. Pelletier, C. A. (2004). What do certified nurse assistants actually know about dysphagia and feeding nursing home resident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3, 99-113. 

  23. Perry, L. (2001). Dysphagia: The management and detection of a disabling problem. British Journal of Nursing, 10, 837-844. 

  24. Perry, L., & McLaren, S. (2003). Eating difficulties after strok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3, 360-369. 

  25. Ramsey, D., Smithard, D., Donaldson, N., & Kalra, L. (2005). Is the gag reflex useful in the management of swallowing problems in acute stroke? Dysphagia, 20, 105-107. 

  26. Seo, W. H., Oh, J. H., Nam, Y. H., & Sung, I. Y. (1994). Clinical study of aspiration pneumonia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18, 52-58. 

  27. Shin, S., Park, J., Jung, N., Yoo, E., Ryu, M., & Lee, D. (2009). The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neck muscles of patients with a swallowing disorder caused by a strok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2), 17-28. 

  28. Teasell, R. W., Bach, D., & McRae, M. (1994). Prevalence and recovery of aspiration poststroke: A retrospective analysis. Dysphagia, 9, 35-39. 

  29. Westergren, A., Hallberg, I. R., & Isson, O. (1999). Nursing assessment of dysphagia among patients with stroke.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13, 274-282. 

  30. Woo, H., Chang, K., Cha, T., & Oh, J. (2009). A study of the status of dysphagia rehabilitaion conduct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3), 67-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