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미역을 이용한 생물흡착 시스템별 중금속 제거 효율 평가
Evaluation of Removal Efficiencies of Heavy Metals Using Brown Seaweed Biosorbent Under Different Biosorption Systems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0 no.3, 2011년, pp.310 - 315  

최익원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  서동철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  김성은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  강세원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  이준배 (영산강 물환경연구소) ,  임병진 (영산강 물환경연구소) ,  강석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전원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허종수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조주식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초록

폐미역을 이용한 생물흡착제의 중금속 제거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lab-scale의 생물흡착시스템에서 최적조건을 구명하고, lab-scale의 생물흡착시스템의 최적조건하에서 large-scale PBCC 시스템의 중금속 제거능력을 조사하였다. Lab-scale 생물흡착시스템별 중금속 제거능력은 PBCC보다 CSTR이 뛰어났지만 CSTR은 폐수유입속도가 48 L/day이상에서 완전혼합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한 PBCC가 적합하였다. Cu용액의 유입속도 및 농도별 Cu 제거능력은 유입속도 12 L/day 및 유입농도 10 mg/L일 때 Cu용액 처리량이 가장 뛰어났으나 경제적인 부분을 검토한 결과 유입속도 24 L/day 및 유입농도 100 mg/L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처리단계별 Cu 제거능력은 컬럼을 연속식으로 배열하는 것이 Cu 제거효율이 높았다. 중금속 종류별 제거능력은 Pb, Cr의 처리효율이 높았고 Cu용액 이외의 다른 중금속 용액들도 Cu와 동등한 수준 이상의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 Lab-scale의 PBCC 시스템을 27배 규모로 scale-up한 large-scale PBCC 시스템의 Cu 제거능력은 138 L로 lab-scale의 5 L와 비교하였을 때 동등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중금속 처리를 위한 최적 폐미역 활용 생물흡착시스템은 PBCC 시스템인 것으로 판단되나, 실제 중금속 폐수에 본 최적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중금속 폐수 특성에 따른 적용성 연구가 추가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Heavy-metal pollution represents an important environmental problem due to the toxic effects of metals, and their accumulation throughout the food chain leads to serious ecological and health problems. METHODS AND RESULTS: Optimum conditions in continuous-flow stirred tank reactor (CS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Cu용액의 유입속도별 Cu 제거능력은 Cu용액 유입속도를 각각 48 L/day, 24 L/day 및 12L/day로 달리하고 Cu용액을 100 mg/L로 제조하여 연속적으로 처리하면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 하였다. Cu용액의 유입농도별 Cu 제거능력은 Cu용액의 농도를 각각 10, 50 및 100 mg/L로 제조하여 유입속도를 24L/day인 조건하에서 연속적으로 처리하면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중금속 흡착시스템에서 처리단계별 Cu 제거능력은 PBCC 시스템을 단일컬럼 및 연속식 결합컬럼으로 설치하여 제조된 Cu용액의 농도를 100mg/L로 하고 유입속도를 144 L/day로 처리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 2)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분쇄한 미역을 2% CaCl2용액에 떨어뜨려 bead 형태로 제조하였다. Cu용액의 유입속도별 Cu 제거능력은 Cu용액 유입속도를 각각 48 L/day, 24 L/day 및 12L/day로 달리하고 Cu용액을 100 mg/L로 제조하여 연속적으로 처리하면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 하였다. Cu용액의 유입농도별 Cu 제거능력은 Cu용액의 농도를 각각 10, 50 및 100 mg/L로 제조하여 유입속도를 24L/day인 조건하에서 연속적으로 처리하면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 Lab-scale 생물흡착시스템 설계 및 제작은 Fig. 1과 같은 구조의 Continuous-flow stirred-tank reactor (CSTR) 및 PBCC 두 가지 형태의 생물흡착시스템을 제작하였다. PBCC 시스템(Fig.
  • Lab-scale 생물흡착시스템과 lab-scale의 최적조건을 scale-up한 PBCC 시스템으로 실험장치를 제작하였다.
  • Lab-scale의 생물흡착시스템에서 최적조건을 구명하기 위해서 생물흡착시스템별, 유입속도별 및 농도별 중금속 제거능력을 각각 조사하였고, 최적조건인 PBCC 시스템의 처리단계별 및 중금속 종류별로 중금속 제거능력을 각각 조사하였다. 폐미역을 이용한 생물흡착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전남 완도에서 채취된 미역을 사용하였다.
  • Lab-scale의 생물흡착시스템의 최적조건하에서 실제 시스템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scale-up한 PBCC 시스템의 Cu 제거능력은 Cu용액의 농도를 100 mg/L로 하고 유입속도를 144 L/day로 처리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 , 2004)에 의해 개발된 미역폐기물을 이용한 생물흡착제를 이용하여 lab-scale 생물흡착시스템과 lab-scale의 최적조건을 scale-up한 Packedbed column contactor (PBCC)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Labscale 생물흡착시스템에서 최적조건을 구명하기 위해서 중금속 생물흡착시스템별, 유입속도별 및 농도별 중금속 제거능력을 각각 조사하였고, 최적조건인 PBCC 시스템의 처리단계별 및 중금속 종류별로 중금속 제거능력을 각각 조사하였다. 또한 상기 lab-scale 생물흡착시스템의 최적조건하에서 실제 시스템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PBCC 시스템을 scale-up한 다음 중금속 제거능력을 조사하였다.
  • 1과 같은 구조의 Continuous-flow stirred-tank reactor (CSTR) 및 PBCC 두 가지 형태의 생물흡착시스템을 제작하였다. PBCC 시스템(Fig. 1A)은 고정식 흡착 시스템으로 단일컬럼 또는 연속식 결합컬럼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PBCC 시스템의 사양은 직경이 46 mm, 충전 높이가 600 mm인 투명 아크릴(두께 10 mm)로 제작하였고, 충진된 흡착제는 670 g(수분 96.
  • Labscale 생물흡착시스템에서 최적조건을 구명하기 위해서 중금속 생물흡착시스템별, 유입속도별 및 농도별 중금속 제거능력을 각각 조사하였고, 최적조건인 PBCC 시스템의 처리단계별 및 중금속 종류별로 중금속 제거능력을 각각 조사하였다. 또한 상기 lab-scale 생물흡착시스템의 최적조건하에서 실제 시스템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PBCC 시스템을 scale-up한 다음 중금속 제거능력을 조사하였다.
  • 중금속 흡착시스템에서 처리단계별 Cu 제거능력은 PBCC 시스템을 단일컬럼 및 연속식 결합컬럼으로 설치하여 제조된 Cu용액의 농도를 100mg/L로 하고 유입속도를 144 L/day로 처리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생물흡착시스템에서 중금속 종류별 중금속 제거능력은 각각의 중금속에 대하여 100 mg/L로 제조된 용액을 144 L/day의 속도로 PBCC 시스템에 유입하여 처리후 유출수 중의 중금속(Pb, Cu, Cd, Zn, Mn, Co, Cr 및 Ni) 함량에 대해서 각각 조사하였다.
  • 그리고 채취된 미역의 염분 제거를 위해 증류수로 세척한 뒤 믹서기로 균일하게 분쇄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생물흡착제 제조는 본 연구진이 개발한 시스템(Fig. 2)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분쇄한 미역을 2% CaCl2용액에 떨어뜨려 bead 형태로 제조하였다. Cu용액의 유입속도별 Cu 제거능력은 Cu용액 유입속도를 각각 48 L/day, 24 L/day 및 12L/day로 달리하고 Cu용액을 100 mg/L로 제조하여 연속적으로 처리하면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진의 선행연구(Cho et al., 2004)에 의해 개발된 미역폐기물을 이용한 생물흡착제를 이용하여 lab-scale 생물흡착시스템과 lab-scale의 최적조건을 scale-up한 Packedbed column contactor (PBCC)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Labscale 생물흡착시스템에서 최적조건을 구명하기 위해서 중금속 생물흡착시스템별, 유입속도별 및 농도별 중금속 제거능력을 각각 조사하였고, 최적조건인 PBCC 시스템의 처리단계별 및 중금속 종류별로 중금속 제거능력을 각각 조사하였다.
  • Cu용액의 유입농도별 Cu 제거능력은 Cu용액의 농도를 각각 10, 50 및 100 mg/L로 제조하여 유입속도를 24L/day인 조건하에서 연속적으로 처리하면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중금속 흡착시스템에서 처리단계별 Cu 제거능력은 PBCC 시스템을 단일컬럼 및 연속식 결합컬럼으로 설치하여 제조된 Cu용액의 농도를 100mg/L로 하고 유입속도를 144 L/day로 처리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생물흡착시스템에서 중금속 종류별 중금속 제거능력은 각각의 중금속에 대하여 100 mg/L로 제조된 용액을 144 L/day의 속도로 PBCC 시스템에 유입하여 처리후 유출수 중의 중금속(Pb, Cu, Cd, Zn, Mn, Co, Cr 및 Ni) 함량에 대해서 각각 조사하였다.
  • 폐미역을 이용한 생물흡착제의 중금속 제거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lab-scale의 생물흡착시스템에서 최적조건을 구명하고, lab-scale의 생물흡착시스템의 최적조건하에서 large-scale PBCC 시스템의 중금속 제거능력을 조사하였다. Lab-scale 생물흡착시스템별 중금속 제거능력은 PBCC보다 CSTR이 뛰어났지만 CSTR은 폐수유입속도가 48 L/day이상에서 완전 혼합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한 PBCC 가 적합하였다.

대상 데이터

  • CSTR 시스템(Fig. 1B)은 직경이 142mm, 높이가 125 mm인 투명 아크릴(두께 10 mm)로 제작하였으며 교반기를 부착하여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고, 충진된 흡착제의 무게는 670 g(수분 96.5±0.5%)이었으며 반응조의 유효 부피는 약 2 L이었다.
  • PBCC 시스템의 사양은 직경이 46 mm, 충전 높이가 600 mm인 투명 아크릴(두께 10 mm)로 제작하였고, 충진된 흡착제는 670 g(수분 96.5±0.5%)이었다.
  • 본 연구에 사용된 중금속 시약은 Sigma-Aldlich사의 특급시약을 사용하였으며, 중금속 용액은 Pb(NO3)2, CuSO4, CdSO4, ZnSO4, CoSO4, MnSO4, CrCl3 및 NiSO4를 사용 하여 각 중금속 농도가 10,000 mg/L 되게 조제 한 후 일정한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 Lab-scale의 생물흡착시스템에서 최적조건을 구명하기 위해서 생물흡착시스템별, 유입속도별 및 농도별 중금속 제거능력을 각각 조사하였고, 최적조건인 PBCC 시스템의 처리단계별 및 중금속 종류별로 중금속 제거능력을 각각 조사하였다. 폐미역을 이용한 생물흡착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전남 완도에서 채취된 미역을 사용하였다. 채취된 미역의 중금속 함량은 약 0.

이론/모형

  • 중금속분석은 수질오염공정시험법(Choi et al., 2004) 및 APHA의 standard method(APHA, 1995)에 준하여 용액 중에 남아있는 중금속 잔존량을 플라즈마 분광광도법(ICP, Optima 3300DV, Perkin-Elmer, Waltham, MA, U.S.A.)으로 각각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금속제거가 가능하다고 알려진 생물흡착제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중금속제거가 가능하다고 알려진 생물흡착제로는 균류, 박테리아 및 조류 등이 있다. 그 중에서 갈색해조류의 일종인 미역은 우리나라 해조류 생산 중 최대량을 차지하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며 쉽게 구할 수 있고, 생산량은 2008년 기준으로 약 38만톤 이었다.
도금폐수중에 존재하는 중금속 처리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생태계와 인간을 해치는 중금속오염은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특히 도금폐수중에 존재하는 중금속 처리방법으로는 침전법, 이온교환법, 막분리법, 용매추출법, 흡착법 및 증발법 등이 있다(Stephen et al., 1986; Suh et al.
도금폐수중에 존재하는 기존 중금속 처리방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 2001). 이러한 기존의 공정들은 전처리가 필요하거나 2차 오염을 발생시키고(Thomas and Drew, 1989), 처리비용이 과다하여 대부분의 영세 규모인 국내 도금업계의 실정으로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들이 있다(Ahn and Suh, 1995; Say et al., 2001).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에서 친환경적인 생물흡착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Davi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n, K.H., Suh, K.H., 1995. Biosorption of heavy metals by Saccharomyces uvarum, J. Korean Environ. Sci. Soc. 4, 527-534. 

  2. Ahn, S.J., Kim, Y.S., Park, K.P., 2004. Storage of waste-brown seaweed and degradation of alginate using microorganism, J. Environ. Sci. 13, 313-318. 

  3. APHA, AWWA, WCF,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4. Cho, J.S., Park, I.N., Heo, J.S., Lee, Y.S., 2004. Biosorption and desorption of heavy metals using Undaria sp., Korean J. Environ. Agric. 23, 92-98. 

  5. Choi, I.W., 2004. Biosorption of heavy metals and development of biosorbent by using seaweeds. Master Science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Korea. 

  6. Choi, I.W., Kim, S.U., Seo, D.C., Kang, B.H., Sohn, B.K., Rim, Y.S., Heo, J.S., Cho, J.S., 2005. Biosoroption of heavy metals by biomass of seaweeds, Laminaria species, Ecklonia stolonifera, Gelidium amansii and Undaria pinnatifida, Korean J. Envirion. Agric. 24, 370-378. 

  7. Choi, K.C., Kwan, O.U., Kim, Y.D., Kim, Y.H., Lee, W.S., Lee, J.Y., jun, S.J., Jung, S.K., 2004. Annotation for standard methods of water quality. printed in Dong Hwa Technology Publishing Co. Korea. 

  8. Davis, T.A., Volesky, B., Mucci, A., 2003. A review of the biochemistry of heavy metal biosorption by brown algae, Water Research 37, 4311-4330. 

  9. Hashimoto, K. 1993. Chemical reaction engineering. Baifukan, Japan. 

  10. Kratochvil, D., Volesky, B., Demopoulos, G., 1997. Optimizing Cu removal / recovery in a biosorption column, Water Research. 31, 2327-2339. 

  11. Say, R., Denizli, A., Arica, M.Y., 2001. Biosorption of cadmium(II), lead(II), and copper(II) with the filamentous fungus Phanerochaete chrysosporium, Bioresour. Technol. 76, 67-70. 

  12. Shim, J.H., Hwang, J.R., Lee, J.S., Kim, J.H., Kim, S.S., 2010. Variations in nutrients and $CO_{2}$ uptake with growth of Undaria pinnatifida from the south coast of korea, Kor. J. Fish Aquat. Sci. 43, 679-686. 

  13. Stephen, B., Normal, S.W., 1986.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wastewaters, B.&L. Information Service, Canada. 

  14. Suh, K.H., Ahn, K.H., Cho, M.C., Cho, J.K., Jin, H.J., Hong, Y.K., 2001. Sargassum Confusum for biosorption of Pb and Cr, J. Korean Fish. Soc. 34, 1-6. 

  15. Thomas, E.H., Drew. P.O., 1989. Metal finishing and processing, WPCF 61, 6-12. 

  16. Vilar, V.J.P., Cidalia, B.M.S., Loureiro, J.M., Boaventura, R.A.R., 2008. Biosorption of copper by marine algae Gelidium and algal composite material in a packed bed column, Bioresource Technology 99, 5830-58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