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앞정강근에 기능적 전기자극 적용이 발목관절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Ankle Joint Movement by FES Application on Tibialis Anterior Muscle in Chronic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6 no.3, 2011년, pp.277 - 286  

조미숙 (나사렛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ention of spasticity with modified Ashworth scale(MAS) and range of motion(ROM) increase with goniometer in ankle joint by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FES) and exercise for 4 weeks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 60 chronic stroke pati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직을 완화시키는 중재 방법으로는 외과적인 수술치료, 내과적 약물치료 및 물리치료가 적용될 수 있으나, 경직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은 아직 없으며 단지 경직을 어느 정도 감소시켜 수의적인 운동을 촉진하고 이차적인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경직의 감소는 물리치료 학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데, 경직감소를 위해 열, 한랭, 전기자극, 건 압박, 마사지, 진동자극, 탄력붕대 및 근전도 생체되먹임 등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박래준과 오정림, 2002).
  • 그러나 만성 뇌졸중 후 통상적 운동치료로 발목관절의 경직이 개선되지 않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통상적 운동치료군, FES 적용군 및 FES+운동치료 적용군으로 나누어 발목관절에서 FES의 경직 개선 효과를 분석한 논문은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으로 발목관절의 경직이 심해 통상적 운동치료로 보행기능이 개선되지 않는 환자에게 기능적 전기자극 적용이 발목관절의 경직 감소와 관절 가동범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는 것도 의미 있다 판단되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은 통상적 운동치료군, FES 적용군 및 FES+운동치료군 사이의 MAS 및 ROM 변화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 그러나 만성 뇌졸중으로 인한 경직 유발 시 경직 감소의 치료적 중재로 FES와 통상적 운동치료를 비교 관찰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FES 치료군, FES와 운동치료 병행군 및 운동치료군으로 구분하여 MAS와 발목관절의 ROM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재활과정에서 발처짐 현상의 주요 원인이 되는 발바닥쪽굽힘근의 경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치료적 중재를 보편화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 검사 분도기(protractor)와 팔(arm)이 두 개 달린 각도계(double armed universal goniometer)를 이용하여 발목관절의 관절 가동범위를 측정하였다. 발목관절의 발등쪽굽힘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들이 뇌졸중으로 편마비가 동반되어 6개월 이상 치료 중인 환자이므로 능동적 근수축이 아니라 수동적으로 시행함으로써 발바닥쪽굽힘근의 신장성(extensibility)을 좀 더 정확히 알아보려 하였다. 따라서 측정축(axis), 고정팔(stationary arm) 및 운동팔(moving arm)에 대해 국제 SFTR식(sagittal frontal transverse method)의 관절가동측정법을 참조하여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시 기능적 전기자극(FES) 과 운동치료를 실시하여 MAS 점수와 발목관절의 관절가동범위의 변화를 통해 발바닥쪽굽힘근의 경직 개선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으로 발목관절의 경직이 심해 통상적 운동치료로 보행기능이 개선되지 않는 환자에게 기능적 전기자극 적용이 발목관절의 경직 감소와 관절 가동범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는 것도 의미 있다 판단되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은 통상적 운동치료군, FES 적용군 및 FES+운동치료군 사이의 MAS 및 ROM 변화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뇌졸중(stroke, cerebrovascular accident)은 혈전에 의한 혈행막힘(ischemic stroke) 또는 혈관파열(hemorrhagic stroke)에 의해 뇌의 혈액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발생된다(Granz 등, 1996). 뇌졸중으로 인해 초래되는 기능의 변화는 뇌졸중의 유형 및 뇌손상의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는데, 근육마비, 언어장애, 행동양식, 사고의 변화 및 기억력과 감정의 변화 등이 수반되게 된다(Burridge 등, 2001).
발목관절의 경직을 개선시키는 중재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수행되고 있는가? 경직을 개선시키는 중재 방법으로는 운동치료와 전기자극 치료가 통상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전기 자극 방법은 경직근을 직접 자극하는 방법과 경직의 대항근(antagonist)을 자극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구분되지만 경직에 대한 치료적 전기자극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 선행의 연구들 중 치료적 전기자극이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들의 경직 감소 및 기능향상에 효과적임이 다수 보고되었으나 (Robinson 등, 1988), 오히려 악화시킨다는 연구 결과들도 보고되고 있어(Monaghan 등 2010),이에 대한 명확한 규명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뇌졸중으로 인해 초래되는 기능의 변화는 무엇인가? 뇌졸중(stroke, cerebrovascular accident)은 혈전에 의한 혈행막힘(ischemic stroke) 또는 혈관파열(hemorrhagic stroke)에 의해 뇌의 혈액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발생된다(Granz 등, 1996). 뇌졸중으로 인해 초래되는 기능의 변화는 뇌졸중의 유형 및 뇌손상의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는데, 근육마비, 언어장애, 행동양식, 사고의 변화 및 기억력과 감정의 변화 등이 수반되게 된다(Burridge 등, 2001). 만성 뇌졸중 시 운동기능의 회복은 재활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임상적 요인으로 최근 많은 중재 수단들이 뇌졸중 후 신경계 보호와 재생 및 회복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용철, 이석민, 송창호.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가 편마비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4;16(3):539-48. 

  2. 박래준, 오정림. 기능적 전기자극이 뇌성마비아의 앉은 자세 균형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2;14(4):281-6. 

  3. 최현자, 오정림, 박래준.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와 신경발달치료가 편마비 환자의 하지 경직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3;15(3):645-58. 

  4. Baer HR, Wolf SL. Modified Emory functional ambulation profile: an outcome measure for the rehabilitation of poststroke gait dysfunction. Stroke. 2001;12(4):973-9. 

  5. Bajd T, Gregoric M, Vodovnik L et al. Electrical stimulation in treating spasticity resulting from spinal cord injury. Arch Phy Med Rehab. 1985;66(8):515-7. 

  6. Bohannon RW, Smith MB. Interrater reliability of a modified Ashworth scale of muscle spasticity. Phy Ther. 1987;67(2):206-7. 

  7. Burridge JH, Wood DE, Taylor PN et al. Indices to describe different muscle activation patterns, identified during treadmill walking, in people with spastic drop-foot. Med Eng Phy. 2001;23(6):427-34. 

  8. Glanz M, Klawansky S, Stason W et al. Functional electrostimulation in poststroke rehabilitation: a meta-analysis of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ch Phy Medicine Rehab. 1996;77(6):549-53. 

  9. Gregson JM. Leathley M. Moore AP. Reliability of the tone assessment scale ant the modified Ashworth scale as clinical tools foe assessing poststroke spasticity. Arch Phy Med Rehab. 1999;80(2):1023-6. 

  10. Hausdorff JM, Ring H. Effects of a new radio frequency-controlled neuroprosthesis on gait symmetry and rhythmicity in patients with chronic hemiparesis. American J Phy Med Rehab. 2008;87:4-13. 

  11. Lamontagne A, Malouin F, Richards CL. of passive stiffness to ankle plantar flexor moment during gate after stroke. Arch Phy Med Rehab. 2000;81(3): 351-8. 

  12. Monaghan CC, Hermens HJ, Nene AV et al. The effect of FES of the tibial nerve on physiological activation of leg muscles during gait. Med Eng Phy. 2010;32(4):332-8. 

  13. Popovic MR, Keller T. Modular transcutaneou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Med Eng Phy. 2005;27(1):81-92. 

  14. Robinson CJ, Ket NA, Bolam JM. Spasticity in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1. Short-term effects of surface electrical stimulation. Arch Phy Med Rehab. 1988;69(8):598-604. 

  15. Sabut SK, Lenka PK, Kumar R et al. Effect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effort and walking speed, surface electromyography activity, and metabolic responses in stroke subjects. J Electromyol Kin. 2010;20(6):1170-7. 

  16. Schmid A, Duncan PW, Studenski S et al. Improvements in speed-based gait classification are meaningful. Stroke. 2007;38(5):2096-100. 

  17. Taylor PN, Burridge JH, Dunkerley AL et al. Clinical use of the Odstock dropped foot stimulator: its effect on the speed and effort of walking. Arch Phys Med and Rehab. 1999;80(12):1577-83. 

  18. Yan T, Hui-Chan CW, Li L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mproves motor recovery of the lower extremity and walking ability of subjects with first acute stroke: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Stroke. 2005;36(3):8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