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th-type 초음파(超音波) 세척기(洗滌器)를 이용(利用)한 태양전지모듈 접착제(接着劑) EVA(Ethylene Vinyl Acetate) 분해특성(分解特性)
Decomposition of EVA(Ethylene vinyl acetate) used as an adhesion of photovoltaic(PV) module by ultrasonic irradiation in bath-type cleaner 원문보기

資源리싸이클링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v.20 no.6, 2011년, pp.50 - 55  

김영진 (강원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이재영 (강원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태양전지(Photovoltaic, PV) 모듈의 층간 접착제로 사용된 EVA(Ethylene Vinyl Acetate)를 초음파 조사(irradiation)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분해함으로써 모듈실리콘웨이퍼(Si-wafer)로 제조된 셀(cell)을 분리, 회수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초음파 발생장치는 bath-type의 초음파 세척기 (Output: 130 W, Frequency: 40 kHz)로, PV모듈과의 거리는 2 cm로 고정하고 유기용매 종류, 농도, 온도를 조절하면서 EVA 분해 및 셀의 분리 최적 조건을 도출하였다. $55^{\circ}C$, 5M인 조건에서는 용매 종류에 상관없이 160 min 이내에 EVA층의 완전 분해는 가능하였으나, 분해과정 중 발현되는 팽창현상(swelling)에 의해 셀의 일부분이 파손된 상태로 회수되었다. 반면에 $65^{\circ}C$, 5M조건에서는 셀의 파손이 억제된 상태로 회수 가능하였으며, 이는 온도 상승에 의해 EVA 성분의 분해속도가 상승되고, 이로 인해 EVA층의 팽창현상이 발현되기 전에 분해가 일어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ultrasonic irradiation, the separation and recovery of PV cell, made of silicon wafer, from PV module was carried out through selective decomposition of EVA used as an interlaminated binder. The ultrasonic cleaner of bath-type (Output: 130 W, Frequency: 40 kHz) was used as an ultrasonic appa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자는 유기용매 내에서 EVA 필름의 분해가 초음파 조사에 의해 향상되는 결과를 확인하였고8),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제 태양전지모듈을 대상으로 초음파에 의한 접착제 EVA의 분해 및 결정질 실리콘인 셀의 회수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대한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원인은? 최근 화석연료의 유한성으로 인한 가격상승, 수급 불안정의 산업적인 요소와 지구 온난화, 원자력 폐기물 처리, 일본의 원전사태와 같은 방사능 물질의 유출과 같은 환경적인 요소에 의해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대한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광발전은 가장 대표적인 무공해, 비고갈성 에너지원으로 최근 10년간 43%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등 가장 효율적인 신재생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태양전지에 대한 연구와 발전설비 생산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태양전지의 모듈은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가? 태양전지는 다수의 모듈로 구성되며, 대부분의 모듈은 강화유리/접착제/태양전지셀/접착제/백시트의 샌드위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모듈의 강도, 광투과도 향상을 위해 강화유리를, 후면 보호 및 열적 안정성을 위해불소함유 플라스틱필름으로 백시트를 사용하고 있다.
태양전지의 모듈강도, 광투과도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것은 무엇인가? 태양전지는 다수의 모듈로 구성되며, 대부분의 모듈은 강화유리/접착제/태양전지셀/접착제/백시트의 샌드위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모듈의 강도, 광투과도 향상을 위해 강화유리를, 후면 보호 및 열적 안정성을 위해불소함유 플라스틱필름으로 백시트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층간 접착재로는 빛 투과율 저하가 적은 polyvinylbutyral(PVB) 혹은 내습성이 우수한 ethylenevinylacetate(EVA)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이수홍, 2006: 실리콘 태양전지,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17(4), pp. 400-406. 

  2. 이재형, 2008: 태양전지 개발동향, 한국정밀공학회지, 25(10), pp. 7-22. 

  3. T. Doi, et al., 2001: Experimental study on PV module recycling with organic solvent method, Solar Energy Materials & Solar Cells, 67, pp. 397-403. 

  4. 강석민, 유성열, 이진아, 부봉현, 류호진, 2011: 태양전지폐 모듈로부터 실리콘 및 강화유리 회수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지, 20(2), pp. 45-58. 

  5. T.M. Bruton, R,D,W Scott, J.P. Nagle, 1994: Re-cycling of High Value, High Energy Content Components of Silicon PV Modules, Proc. of the 12th EC Photovoltaic Solar Energy Conf., pp. 303-304, Amsterdam, Netherlands, 11- 14 April 1994. 

  6. R. Bohland, I.I Anisimov, 1997: Possibility of recycling of silicon PV modules, 26th IEEE PV specialist Conf., 26, pp. 1173-1175, Anaheim, CA, 29 September-03 October 1997. 

  7. L. Frisson D. Sandra, F. Brisard, 1998: Cost effective recycling of PV modules and the impact on environment, life cycle, energy payback time and cost, WCPEC-2, pp. 2210-2213, Vienna, Austria, 6-10 July 1998. 

  8. 김도형, 김영진, 이재령, 2010: 초음파를 이용한 EVA 분해,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47(5), pp. 647-652. 

  9. 임봉빈, 김선태, 2002: 초음파분해반응에 있어서 희가스의 영향, 한국환경과학회지, 11(7), pp. 749-755. 

  10. 최헌종 등, 2005: 초음파 케비테이션을 이용한 디버링 기술, 한국정밀공학회지, 22(9), pp. 14-19. 

  11. Thompson. L.H., Doraiswamy. L. K., 1999: Sonochemistry, Ind. Eng. Chem. Res., 38(4), pp. 1215-1249.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