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벼줄무늬잎마름병을 매개하는 애멸구의 전염생태
Studies on the Some Aspect of Small Brown Planthopper Transmission of Rice stripe tenuiviru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5 no.4, 2011년, pp.490 - 494  

박진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팀) ,  이민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이기운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벼줄무늬잎마름병(Rice stripe tenuivirus; RSV)은 벼에 발생하는 주요 바이러스병으로 2000년대 이후 서해안을 중심으로 벼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다. RSV는 벼의 주요 해충인 애멸구에 의해 영속적으로 전염되기 때문에 애멸구의 적절한 방제로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 RSV의 방제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RSV와 애멸구 간의 생태학적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애멸구의 흡즙 및 감염생태가 결정적인 키포인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SV에 감염된 벼에서 애멸구의 흡즙 및 감염특성을 조사하였다. 애멸구의 영기별 RSV 전염능력을 조사한 결과, RSV 감염주에서 3일 이상 흡즙한 4령충 이상에서 바이러스 전염능력이 높았다. RSV 이병주를 3일간 흡즙하였을 때 성충의 전염능력은 44.8%인데 비해 4령충과 5령충의 전염능력은 69.2%와 67.9%로 성충보다 4, 5령충의 전염능력이 높았다. 이병주 흡즙시 온도에 따른 보독충의 전염능력 조사 결과에서는 $30^{\circ}C$에서 전염능력이 가장 높았으며, $30^{\circ}C$에서 3일간 흡즙하였을 때 전염능력은 93.3%로 $25^{\circ}C$$20^{\circ}C$의 70.6%, 43.8%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ce stripe virus (RSV) has been the main viral disease of rice plant in western coastal region of Korea since 2000. The control of the vector insect,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is the most effective management method of the persistently-transmitted viral disease. Thus, ecolo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후환경 및 재배여건의 변화에 따른 효율적인 RSV의 방제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 축적을 목표로 RSV를 매개하는 애멸구의 흡즙 및 감염특성을 조사하는 동시에 과거에 수행되었던 전염생태 연구와의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줄무늬잎마름병이란 무엇인가? 벼줄무늬잎마름병(Rice stripe tenuivirus; RSV)는 우리나라에서 벼검은줄오갈병(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RBSDV), 벼오갈병(Rice dwarf virus; RDV)과 함께 벼에 발생하는 주요 바이러스로 우리나라에는 1930년대부터 낙동강 주변의 영남 지방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일으켜 왔으며, 2000년대 이후 전국적으로 발생면적이 증가하여 큰 문제가 되고 있는 병해이다. RSV는 벼, 옥수수 등 화본과 37종을 기주로 하며 벼에 발생하는 주요해충인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mall brown planthopper-SBPH)에 의해 영속적 으로 경란전염하는데(Toriyama, 1983a) RSV에 감염된 벼는 초기의 퇴록 줄무늬가 진전되면서 결국에는 출수되지 않고 고사하여 수량감소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벼줄무늬잎마름병은 무엇에 의해 영속적으로 경란전염 되는가? 벼줄무늬잎마름병(Rice stripe tenuivirus; RSV)는 우리나라에서 벼검은줄오갈병(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RBSDV), 벼오갈병(Rice dwarf virus; RDV)과 함께 벼에 발생하는 주요 바이러스로 우리나라에는 1930년대부터 낙동강 주변의 영남 지방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일으켜 왔으며, 2000년대 이후 전국적으로 발생면적이 증가하여 큰 문제가 되고 있는 병해이다. RSV는 벼, 옥수수 등 화본과 37종을 기주로 하며 벼에 발생하는 주요해충인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mall brown planthopper-SBPH)에 의해 영속적 으로 경란전염하는데(Toriyama, 1983a) RSV에 감염된 벼는 초기의 퇴록 줄무늬가 진전되면서 결국에는 출수되지 않고 고사하여 수량감소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애멸구가 1세대 성충이 되는 과정은 무엇인가? RSV를 매개하는 애멸구는 대개 4령충의 형태로 논두렁이나 논의 화본과 잡초 등에서 월동약충은 2월 하순~3월 상순에 5령이 된 후 3월 중순경 우화하여 1세대 성충이 된다. 1세대 성충은 화본과 잡초나 보리, 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에 산란하고 이 알에서 부화한 약충이 보리나 밀밭에서 서식하면서 5월 중하순경 이후 우화하여 2세대 성충이 되며 2세대 성충은 장시형으로 광범위하게 분산하여 대대적으로 논에 날아든다(Maramorosch & Harris, 19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oi, Y. M., S. H. Lee., J. S. Kim and J. T. Yun (1985) Effect of feeding preference and development of L. striatellus on some rice cultivars to infection of rice viruses. Res. Rept. RDA. 27(2):70-75. 

  2. Chung, B. J., S. H. Lee and S. J. Lee. (1966) Studies on the insect transmission f the rice stripe disease. Res. Rept. RDA. 9(1):217-220. 

  3. Chung, B. J. and S. H. Lee. (1969) Studies on the transmission mechanism of the rice stripe disease. Res. Rept. RDA. 12(3):105-110. 

  4. Chung, B. J. and S. H. Lee. (1971a) Studies on the host range rice stripe virus disease. Res. Rept. RDA. 14:94-98. 

  5. Chung, B. J. and S. H. Lee. (1971b) Studies on the damage of rice stripe virus disease. Res. Rept. RDA. 14:99-102. 

  6. Chung, B. J. (1974) Studies on the occurrence, host range, transmission, and control of rice stripe disease in Korea. Kor. J. Pl. Prot. 13(4):181-204. 

  7. Gingery, R. (1988) The rice stripe virus group. In The Plant Viruses, ed. RG Milne, 4:297-329. New York : Plenum. 

  8. Lett, J-M., M. Granier, I. Hippolyte, M. Grondin, M. Royer, S. Blanc, B. Reynmud and M. Peterschmitt. (2002)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geminiviruses in leafhoppers of the genus Cicadulina monitored by conventional and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Phytopathology 92(1):65-74. 

  9. Maramorosch, K. and K. F. Harris. (1979) Leafhopper Vectors and Plant Disease Agents. New York : Academic. 654p. 

  10. Narayama, Y. D. and V. Muniyappa. (1996) Virus-vector relationships of a planthopper-borne sorghhum stripe tenuivirus. Int. J. Pest Manag. 42:165-170. 

  11. Okuyama, S., K. Yora and H. Asuyama. (1968) Multiplication of the rice stripe virus in its vector,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Ann. Phytopathol. Soc. Jpn. 34:255-264. 

  12. Toriyama, S. (1983) Rice stripe virus. CMI/AAB Description of Plant viruses, No. 26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